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by Transnational Migration

  • 정유리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 Jeong, Yu-Ri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Post-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 투고 : 2016.01.18
  • 심사 : 2016.02.25
  • 발행 : 2016.02.29

초록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은 특정 장소나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리적 이동과 새로운 지역으로의 정착을 통해 유연적 유동적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라는 공간적 전환을 통해 구성 재구성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을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으로 유형화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생활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의 실행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지역적 특성과 그 속에서 주어진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들은 본국문화 정체성의 유지 및 표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유형보다 생활만족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전히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동화와 순응이 적응과 동일개념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이문화 역량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가능하게 하며, 한국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를 상호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전세계적 시민성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The local identity of a female marriage migrant is not fixed to certain boundary or location, but rather comprised flexibly according to geographical movement or new settlement to different pla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that are constituted/reconstituted according to spatial transition, or migr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raits of changes in the period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ization: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assim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exclusion and origin country identity, marginalization and marginal ident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having identical experience in terms of a migration, the local identities of marriage migrant women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reg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respective roles within those traits. In addition, most of females showed passivity in maintaining and exposing their cultural identities of original states. Moreover the life satisfaction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 that is type of assil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is appeared more than others. through this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mean adaptation to female marriage migrant lived in Korea. However the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both marriage migrant woman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ilitate the connection among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se outcomes, with th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space,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y of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for mutual recognition of each culture, thus enabling coexist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배균.장건화, 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2. 박신규, 2008,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및 주체성의 사회적 위치성에 따른 변화: 구미 지역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1), 40-53.
  3. 이강형.문종대, 2006, 지역민들의 '지역 정체성'이 지역뉴스 시청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6(3), 342-377.
  4. 이춘호, 2014, 재한 중국 동포의 정체성의 정치: 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1(3), 143-180.
  5. 임선일, 2010,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이담.
  6. 장기영, 2009, 지역사회의 구조변동과 지역신문의 지역정체성 구성에 관한 연구: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7. 장남혁, 2012, 이주로 형성된 이중문화 환경을 지원화하는 방안 연구: 한필 다문화 가족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9, 93-123.
  8. 조민경.김렬, 2010, 한국 다문화사회에 있어서 이주민의 이중문화 정체성과 사회문화적응의 관계, 대한정치학회보, 18(2), 263-289.
  9. 조항제, 2006,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보, 34. 275-305.
  10. 조혜영, 2012,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 및 적응지원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4(4), 311-335.
  11. 최병두, 2011,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의 지리학: 연구 동향과 주요 주제, 현대사회와 다문화, 1(1), 65-97.
  12. 최병두, 2012,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7(1), 13-36.
  13. 현경자,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두문화정체성과 결혼의 안녕: 관점의 다각화에 기반 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4(2), 241-271.
  14. 홍장선, 2012, 다문화 구성원의 문화접변에 관한 연구: 미디어 이용과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Berry, J. W. & Sam, D. L., 1997,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J. W. Berry, et al. (Ed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 Social Behavior and Applications, Allyn& Bacon, 291-326.
  16. Berry, J., Poortnga, Y., Breugelmans, S., Chasiotis, A. & Sam, D., 2011,. Cross-Cultural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Kankesan, T., 2010, Understanding Bicultural Identity and its Impa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Well-being, PhD Thesis. University of Toronto.
  18. Kim, C., Laroche, M. & Tomiuk, M. A., 2001, A measure of acculturation for Italian Canadians: scale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5, 607-637. https://doi.org/10.1016/S0147-1767(01)00028-1
  19.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N,Y.: Mcgraw-Hill.
  20. Redfield, R., Linton, R. & Herskovits, M., 1936, Memorandum on the study of acculturation, American Antbropologist, 38, 149-152. https://doi.org/10.1525/aa.1936.38.1.02a00330
  21. Schlemper. M. B., 2007, From the Rhenish Prussian Eifel to the Wisconsin Holyland: immigration, identity and acculturation the regional scale,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33, 377-402. https://doi.org/10.1016/j.jhg.2006.05.001
  22. Suinn, R. M., Ahuna, C. & Khoo, G., 1992, The Suinn-Lew Asian self-identity acculturation scale: Concurrent and factorial valid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 1041-1046. https://doi.org/10.1177/0013164492052004028
  23. Taylor, D. M. & Lambert, W. E., 1996, Language in the lives of ethnic minorities: Cuban american families in miami. Applied Linguistics, 17(4), 477-500. https://doi.org/10.1093/applin/17.4.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