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olicy Priorities for Training Agro-healing Experts Using the AHP Method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

  • Hong, Ji-Young (Center for Food, Agricultural & Rural Policy) ;
  • Lee, Byung-Oh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2.16
  • Published : 2016.11.22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priorities for training agro-healing experts. Training agro-healing experts is an important task that should boost local community in rural areas. In order to make an efficient decision making, the study analyses priority of relevant policies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R&D comes out first.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financial support, and the construction of legal system comes after R&D. In R&D, qualifications and guidelines for participants comes out the most significant issue. In the aspect of HRD,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nd utilize regional personnel such as unemployed youth and retirees from related fields. As for financial support, funding for educational facilities (i.e. classrooms and farmland for practice) is needed. In case of legal system,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the recruiting experts system and qualification system certified by gover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농업기술원. (2013). 치유농업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춘천: 강원도농업기술원.
  2. 김경미, 문지혜, 정순진, & 이상미. (2013). 한국 치유 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4), 909-936.
  3. 김기태, & 조봉순. (2008).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6(1), 115-157.
  4. 김남선. (2014).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리더십유형과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농촌지도와 개발, 21(1), 177-217.
  5. 김남선, & 안현숙. (2016). 마을평생교육지도자의 특성에 따른 마을 평생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3(1), 89-99.
  6. 김용렬. (2013). 시대변화에 따른 농업.농촌의 공익적.경제적 가치 재조명.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용렬, 김태곤, & 허주녕. (2014). 농업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홍기, & 이종원. (2013). 자원기반 이론과 AHP 방법을 활용한 민간 경호경비 기업의 전략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통권 36호, 177-200.
  9. 김희동, 박정운, 이석원, & 양성범. (2012). 녹색치유농업에 대한 참여의사 및 지불의사추정: 직무 스트레스가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호텔리조트연구, 21(3), 245-262.
  10.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3). 치유농업정착을 위한 전략 개발. 수원: 농촌진흥청.
  11. 박석돈. (2011). 미국재활상담사의 다면적 역할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3), 49-67.
  12. 박우성. (2002).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13. 백성준, 강일규, 류장수, & 윤성. (2005). 지역인적자원 개발 거버넌스 체제 구축 방안 연구. 세종: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14. 서윤정, 박정운, 한상연, 황대용, & 양정현. (2013). 6차 산업화 경영체 경영.기술수준 평가지표 개발: AHP 분석을 적용하여. 벤처창업연구, 8(4), 177-191.
  15. 송근원, & 이영. (2013). AHP의 일관성 향상을 위한 척도 재구성. 사회과학연구, 29(2), 271-288.
  16. 유나연(2016). 원예치료사의 직업 전문화를 위한 직무 실태 분석.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현실, & 김창대. (2011).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241-268.
  18. 윤덕찬. (2010). AHP분석을 통한 장애인생활시설의 경쟁력 예측요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이경아, &김경희. (2006). 평생교육사 전문성 구인 타당화 및 전문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에 관한 실증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2(2), 91-119.
  20. 이민선, 백태선, 신희성, 이왕림, 박수진, 박찬우, et al. (2013). 통합 의료적 관점에서 바라 본 산림치유 지도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1(8), 227-234.
  21. 이민우. (2008).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분석 및 매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15-236.
  22. 이상문. (2016).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3. 이석원. (2013). 녹색치유농업의 해외 실태 및 국내도입 전략 개발. 부천: 유한대학교.
  24. 이동철. (2012). 외식 프랜차이즈 슈퍼바이저의 핵심 역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HP분석을 이용하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장용선, 김민수, 이강민, & 조대환(2014). 중소기업의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9(3), 103-114. https://doi.org/10.9723/JKSIIS.2014.19.3.103
  26. 정순진, 김경미, 유은하, 장윤아, 이상미, & Jan Hassink. (2016). 네덜란드 치유농업 인력 양성 체계 분석을 통한 국내 치유농업 활용방안 모색. 원예과학기술지. 34(별호II), 228-229.
  27. 최승일. (2011). AHP 분석을 이용한 금융기관 운영리스크 측정. 한국경영과학회지. 28(3), 73-82.
  28. Qi,Ting, 이연숙, & 장재우.(2014). 노인복지를 위한 그린 케어 파밍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4(1), 122-124.
  29. 濱田 健司. (2013). 福祉農業のとりくみの広がりとその可能性. 農業と経済. 79(10), 5-17.
  30.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108
  31. Barney, J. B., & Wright, P. M. (1998). On becoming a strategic partner: The role of human resources i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Human Resource Management, 37(1), 31-46. https://doi.org/10.1002/(SICI)1099-050X(199821)37:1<31::AID-HRM4>3.0.CO;2-W
  32. Dyer, J. S. (1990). Remark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6(3), 249-258. https://doi.org/10.1287/mnsc.36.3.249
  33. Eweg, H. P. A., & Hassink, J. (2009). Business models of green care in the netherlands. Paper Presented at Special Session on Care Farming VII. Brazil: International PENSA Conference.
  34. Hassink, J., & Van Dijk, M. (2006).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Vol. 1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5. Hine, R., Peacock, j., & Pretty, J. N.(2008). Care farming in the UK: Evidence and Opportunities. Report for the National Care Farmin Initiative UK : University of Essex.
  36. Sat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McGraw-Hill.
  37. Saaty, T. L. (1983).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30(3), 140-155.
  38. Satty, T. L. (2001). Decision making for leader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 in a complex world. Pittsburgh: RWS Publications. cop.
  39. Takeuchi, R., Lepak, D. P., Wang, H., & Takeuchi, K. (2007).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mechanisms mediating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the performance of japanese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4), 1069-1083. https://doi.org/10.1037/0021-9010.92.4.1069
  40. Tone, K. (1989).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decision making. Tokyo: Japanese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41. Zahedi, F. (1986).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 survey of the method and its applications. INFORMS, 16(4), 96-108.

Cited by

  1. 국내 치유농장 경영주의 사업동기에 따른 특성 분석 vol.24, pp.3,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7.24.3.0173
  2. Survey on Demand and Operation Status of Care Farms in South Korea vol.21, pp.1, 2018, https://doi.org/10.11628/ksppe.2018.21.1.001
  3. 곤충체험을 통한 치유농업의 심리치유효과 -왕귀뚜라미 사례 - vol.25, pp.2,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8.25.2.0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