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Character Education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요구 영향요인

  • 임광명 (평택대학교 교양학부) ;
  • 박덕병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개발학부) ;
  • 이신영 (평택대학교 교양교육센터)
  • Received : 2016.11.12
  • Accepted : 2016.12.13
  • Published : 2016.11.22

Abstract

Since the discussion on solving some problems in modern socity began in the late 1990s, the interest in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obtained from 318 students in a university. Three factors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were individual, interpersonal, social character factor. Results showed that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character educations are academic achievement and volunteer activities for individuals characte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ctivities in campus for interpersonal and social character educational factor. The findings should be of interest to practitioner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008). 21 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30, 1-38.
  2. 김명순, 김성회. (2012). 대학생용 유교적 인성 척도 개발. 교육학연구. 50(1). 27-53.
  3. 김명화. (2015). 인성교육을 위한 정의적 특성 평가 재조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981-1000.
  4. 김상진. (2002).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5. 김선주. (2016). 대학생 인성수준 및 요구도에 따른 인성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2). 1-19.
  6. 김승진. (2013).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인성과 학업열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7. 김재춘. (2012). 실천적 인성교육이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정책, 2012. 9.
  8. 노이경, 정남운. (2007). 인성교육을 목적으로 한 구조화된 집단상담의 성장촉진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4(2), 99-123.
  9. 박성미, 허승희. (2012).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아동교육, 21(3), 35-47.
  10. 박소정. (2014). 중학생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관여에 따른 인성과 공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1. 박태인. (2016). 중학생 창의적 체험활동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인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2. 박효정. (2000). 한국 사회의 도덕성 측정을 위한 도덕성 개념 및 덕목요소 추출, 한국교과교육학회, PR 2000-2.
  13. 방효업. (2000).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4. 서경혜, 최진영, 노선숙, 김수진, 이지영, 현성혜. (2013).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44(1), 147-176.
  15. 성명희, 김은주. (2015).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중요도 인식 및 인성발달 수준과 요구도 분석. 윤리교육연구. 38, 177-202.
  16. 손봉호, 조영달, 이승종, & 김해성. (1999). 연구논문/ 한국의 시민사회와 시민윤리: 규범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 탐색. 시민교육연구, 28, 1-44.
  17. 신차균. (2001). 체험중심 인성교육의 이념과 실제. 교육철학, 23, 205-225.
  18. 안범희. (2005). 미국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내용 및 특성 연구. 인문과학연구, 13, 133-169.
  19. 양순미, 정민자, 오윤자. (2015). 농촌의 다문화와 비다문화 가구 청소년의 인성과 영향 변인 비교. 농촌지도와 개발. 22(4), 365-382.
  20.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회지, 45(3).
  21. 은지용. (2002). 청소년 봉사활동 반성 경험이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2. 이가원. (2003). 봉사활동이 청소년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3. 이강하. (2009).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4.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4.
  25. 이영애. (2006).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개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9, 95-104.
  26. 이원희, 홍기칠, 김용조. (1999). 초등학교 아동의 정신건강과 인성발달을 위한 심리교육의 이론정립. 초등교육연구, 13(1), 103-134.
  27. 이전이, 장형심, 조은정. (2015).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종합연구, 13(1), 1-20.
  28. 이주희, 최명선, 박희현. (2009).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인간발달연구, 5(2).
  29. 이형득. (1996). 대학의 인성교육과 교육 관련 연구소의 역할, 교육학연구, 14, 67-82.
  30. 이효성, 이용환. (2011).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시사점. 교육연구, 34, 17-35.
  31. 임광명. (2016).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3(2), 157-167.
  32. 장사형. (2011). 공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강화 방안. 교육철학, 43, 193-222.
  33. 전제아. (2005).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 과정 사례 분석. 인간연구, (9), 5-31.
  34. 정창우, 손경원, 김남준, 신호재, 한혜민. (2013).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교육부 정책연구개발사업.
  35.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36.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37. 조난심, 이종태. (1997). 개인연구/인간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현대 사회에서의 인간 교육의 의미와 실천 방향 탐색. 교육철학, 18, 99-123.
  38. 조연순, 김아영, 임현식, 신동주, 조아미, 김인정. (1998).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1. 교육과학연구. 28(1). 131-152.
  39. 지은림, 이윤선, 도승이(2014). 인성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윤리교육연구. 35, 151-174.
  40. 지희진. (2013).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교양교육연구, 7(5), 433-466.
  41. 진의남. (2012).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실과교육연구, 18(3), 145-169.
  42. 최의창. (2011). 운동소양의 함영:전인교육을 위한 초등체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체육학회지 인문사회과학, 50(1), 93-107.
  43.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 & 임청묵. (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 89-112.
  44. 한덕규. (2014).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45. 한은택. (2015). 창의적체험활동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대한 중학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46. 홍경자. (2004). 청소년의 인성교육. 서울: 학지사
  47. Nerdrum, P. (1997). Maintenance of the effect of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A controlled follow-up study of level of communicated empathy.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27(5), 705-722.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bjsw.a011261
  48.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49. Carr, D. (1997). Character in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55(4), 369-389. https://doi.org/10.1111/j.1467-8527.2007.00386.x
  50. Hersh, R. H., Miller, J. P., & Fielding, G. D. (1980). Models of moral education: An appraisal. New York: Longman.
  51. Lickona, T. (1992).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s and beyond. Washington, DC: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52. Lickona, T. (1993).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al leadership, 51(3), 6-11.
  53. Maclntyre, A. (2007).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3rd, ed.). Nortre Dame, IN: University of Nortre Dame Press.
  54. Pearson, Q. M., & Nicholson, J. I. (2000).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trategies for administrators, teachers, and counselors. The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38(4), 243-251. https://doi.org/10.1002/j.2164-490X.2000.tb00085.x
  55. Ryan, K., & Lickona, T. (1992). Character development. The challenge and the model. I K. Ryan & T. Lickona (ed.):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s and beyond. Washington, DC: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56.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Cited by

  1. A Study on a Humanity Education Content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Dietary Norms in 『Sasojeol』 vol.38, pp.None, 2016, https://doi.org/10.21483/qwoaud.38..20171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