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호철, 이정환. (2007). 남해 물건리 숲의 구조 분석 (I): 수종 분포 및 직경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93-100.
- 김미영, 김광남. (2009). 경관보전직불제사업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6(4), 837-867.
- 김재웅, 김승민. (2014).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91-20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191
- 김학범, 장동수. (1994). 마을숲: 한국전통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서울: 열화당.
- 김학범. (2009). 복합유산 마을숲. 월간 문화재사랑, 52, 22-25.
- 농림축산식품부. (2015). 국가 중요농업유산 및 세계 중요농업유산 등재 추진 백서. 2015.12.
- 문화재청. (2008). 천연기념물과 명승, 지정명칭,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제 정비. 문화재청 보도자료, 2008.4.15.
- 문화재청. (2008).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 내용 및 결과, 2008.11.12.
- 신상섭. (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 최재웅, 김동엽. (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 최재웅, 김동엽.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 최재웅, 김동엽, & 김미희.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 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 최재웅, 김동엽. (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강방훈, 정명철, 조록환, & 김상범. (2011). 의성 사촌리 가로숲의 현황 및 천연기념물 명칭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 52-60.
-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 안옥선. (2013). 고흥군 신금마을 당산숲의 관리 개선을 통한 농촌마을 활력 제고방안 고찰. 농촌지도와 개발, 20(2), 535-554.
- 최재웅. (2015). 한국 당산숲의 특징과 관리 현황: 마을숲 통해 한국의 전통 조경 문화를 세계에 알리다. 월간 ecoscape, 84, 110-113.
- 최재웅, 김동엽, & 이창환. (2015). 세계문화유산 잠재지로서 순천 낙안읍성 일원 당산숲의 경관 특성. 농촌지도와 개발, 22(3), 345-354.
- Chen, B., Z. Qiu. (2013). Green tourism in Japan: opportunities for a GIAHS pilot site.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4(3), 285-292. https://doi.org/10.5814/j.issn.1674-764x.2013.03.012
- Choi, J. U., D. Y. Kim. (2014).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old and sacred dangsan forests in Korea. In S. K. Hong., J. Bogaert., Q. Min (Eds.), Biocultural landscapes-diversity, functions and values (pp.129-142). Springer.
- Hashimoto, S., S. Nakamura, O. Saito, R. Kohsaka, C. Kamiyama, M. Tomiyoshi, T. Kishioka. (2015). Mapping and characterizing ecosystem services of social-ecological production landscapes: case study of Noto, Japan. Sustain Sci, 10, 257-273. https://doi.org/10.1007/s11625-014-0285-1
- Hayashi, H. (2014).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between agriculture and biodiversity in Kunisaki GIAHS.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5(4), 395-397. https://doi.org/10.5814/j.issn.1674-764x.2014.04.016
- Hong, S. K., J. E. Kim. (2011). Traditional forests in villages linking humans and natural landscapes. In: Hong S. K., J. Wu, J. E. Kim, N. Nakagoshi (Eds.), Landscape ecology in asian cultures, Ecological Research Monographs. Springer.
- Mary, J. D. C., K. Parviz. (2009).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a shared vision of agricultural, ecological and traditional societal sustainability. Resources Science, 31(6), 905-913.
- Parviz, K., J. D. C. Mary. (2011). Conservation and adaptive management of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2(1), 22-28.
- Sonja, B., K. Parviz, J. D. C. Mary, Q. Min, W. Jiao, Y. Sun, M. Liu. (2013). Conceptual framework for economic evaluation of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case of rice-fish co-culture in China.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4(3), 202-211. https://doi.org/10.5814/j.issn.1674-764x.2013.03.003
- Qiu, Z., B. Chen, K. Takemoto. (2014). Conservation of terraced paddy fields engaged with multiple stakeholders: the case of the Noto GIAHS site in Japan. Paddy Water Environ, 12, 275-283.
- UNEP. (2010). Paris declaration on the satoyama initiative.
- YTN 사이언스 tv. (2015). 한국사 탐(探)-바람을 다스리는 자연병풍, 마을숲. 5월 20일 방영.
- http://ec.europa.eu/agriculture/cap-post-2013/index_en.htm
- https://ja.wikipedia.org/wiki/%E9%AD%9A%E3%81%A4%E3%81%8D%E6%9E%97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6,01500000,38&queryText=
- http://portal.nrich.go.kr/kor/overviewUsrView.do?menuIdx=572&mcidx=19765
- http://www.fao.org/giahs/giahs/features-and-criteria/en/
- http://www.region.go.kr
- https://www.youtube.com/watch?v=invUp0SX49g
- 朝鮮總督府林業試驗場. (1938). 朝鮮の林藪. 8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