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5.10.16
  • Accepted : 2015.12.17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is study, we analyzed the follow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First, correlations among depression, family solidarity and suicide variables were analysed.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icidal ideation. Third, family solidarity Sobel-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family solidarity mediates the link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data used in the study comes from the survey conducted by Hallym Aging Research Institute in 2014. Through stratified multi-stage random sampling, 2,034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and living in Chun-cheon city were analysed. The result with depression and family solidarity together show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is, the more suicide ideation is. which means depression has a direct impact on suicide ideation. In addition, it indicates the higher family solidarity is, the less suicide ideation is. Sobel-test which examines indirect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family solidarity produc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The result is family solidarity mediates the link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가족연대감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4년 춘천시 노인생활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2,03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변수의 수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연대감은 낮아졌고, 자살생각은 높아졌다. 또한 가족연대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졌다. 우울과 가족연대감을 동시에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졌고, 가족연대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가족 연대감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특히,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가족 연대감의 향상을 통해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을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경, 2010,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사회복지연구, 41(2): 67-100.
  2. 고민석․서인균,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37(1): 1-14.
  3. 고정은․이민홍, 2015, "노인의 우울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분석", 가족과 가족치료, 23(2): 363-380.
  4. 구춘영․김정순․유정옥, 2014, "노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1): 24-32.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24
  5.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최근 5년간 노인우울증 질환자 1.7배 증가-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서울:국민건강보험공단.
  6. 권중돈․김유진․엄태영, 2011,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살시도경험과 음주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1(-): 297-320.
  7. 김궁자, 2010, "노인자살의 이해:가족 기능적 관점으로", 21세기사회복지연구, 7(1): 103-130.
  8. 김기태․최송식․박미진․박선희․고수희․박현숙, 2011, "가족구조와 심리사회적 요인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0): 205-228.
  9. 김동배․박서영, 2010, "노인의 사회관계망 특성과 자살생각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 109-129.
  10. 김동배․손의성, 2005,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25(4): 167-187.
  11. 김미령, 2010,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사회적∙심리적 영향", 노인복지연구, 47(3): 113-136.
  12. 김미호․문재우, 2013, "노인의 가족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10(-): 1-26.
  13. 김윤정․강현정, 2014, "우울감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3): 241-249.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241
  14. 김지훈․김경호, 2013,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관련된 유발변인의 영향력 분석: 심리상태와 가족관련 변인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5(4): 246-272.
  15. 김태현, 1989, "한국노인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가족학적 측면", 한국노년학, 9(-): 168-176.
  16. 김형수, 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10: 25-45.
  17. 김형수,2000,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한국인구학, 23(2): 167-187.
  18. 김형수,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9-172.
  19. 김형수․권이경, 2013,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6): 236-245.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36
  20. 김효창․손영미, 2006, "노인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1-19.
  21. 곽윤복, 2012, "노인의 알코올 사용 우울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권중돈․김동기․김기수․박수진, 2012, "노인의 가족응집력,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 23(3): 3-25.
  23. 권태연, 2011, "심리사회적행동요인을 고려한 우울수준과 음주행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3(1): 187-215.
  24. 류현수․이정숙․김주아, 2007, 가족관계와 복지, 동문사.
  25. 박선애․허준수, 2013,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교성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62(0): 79-108.
  26. 박완규, 2015, "노년기 학대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박원명․민경준 외, 2012, 우울증, 시그마프레스.
  28. 박지영, 2007, "노인 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현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295-330.
  29. 송남호, 1989, "만성질환자 가족군과 정상가족군의 가족적응력과 가족결속력의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송영달․손지아․박순미, 2010,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분석", 한국노년학회, 30(2): 643-660.
  31.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32. 신학진,2012, "노년의 4대 고통이 심리적 요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이르는 모형", 노인복지연구, 57: 357-380.
  33. 양옥경․주소희, 2011, "독거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 321-347.
  34. 오창석, 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179-191.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179
  35. 유정헌․성혜영, 2009,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29(2): 717-728.
  36. 윤현숙․구본미, 2009, "노인이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2): 303-324.
  37. 이미숙, 2010,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7: 5-30.
  38. 이미애, 2011,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요인과 가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4): 623-635. https://doi.org/10.7856/kjcls.2011.22.4.623
  39. 이영경․정명희, 2013,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1: 111-134.
  40. 이은희․구정화, 2009, "가족탄력성이 한부모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9(1): 195-216.
  41. 이현경․장창곡, 2012,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대한 보건연구, 38(1): 69-79.
  42. 임금선, 2010,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대한 노인생명존중프로그램의 중재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임미영․김윤정, 2011, "노인자살생각시도자의 자살시도전 경험", 대한 간호학회지, 41(1): 61-71.
  44. 전진숙․이상신․노종래․오병훈, 2005, "한국노인의 자살사고에 연관된 사회심리학적 요인", 노인정신의학, 9(2): 132-139.
  45. 정순둘․구미정, 2011,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노인복지연구, 52(0): 305-324.
  46. 정호영․노승현, 2007,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우울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7(4): 789-805.
  47. 천재영․이난희, 2011, "노인의 우울에 대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연구",한국노년학, 31(4): 1169-1187.
  48. 추경진․이승연, 2012,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청소년과 노인의 비교", 한국 심리학회지:발달, 25(3): 31-53.
  49. 최성재․장인협, 2010, 고령화 사회의 노인 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 문화원.
  50. 최신애, 2010,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중증만성질환자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2(6): 265-279.
  51. 최 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2): 103-123.
  52. 통계청, 2013,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사회통계국.
  53. 통계청, 2013, 2013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54. 통계청, 2013, 2013년 고령자 통계, 통계청.
  55. 한국자살예방협회, 2011, 자살예방 기본계획, 한국자살예방협회.
  56. 허준수․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7-35.
  57. Andresen E. M., J. A. Malmgren, W.B. Carter, et al. 1994.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0: 77-84. https://doi.org/10.1016/S0749-3797(18)30622-6
  58. Bandur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59. Baron and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0. Beck, A., Kovacs, M., and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 Psychology, 47(2): 343-352. https://doi.org/10.1037/0022-006X.47.2.343
  61. Chou, K. L., E. Chi, and N.W.S. Chow. 2004, "Sources of income and depression in elderly hongkong chines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strain", Aging And Mental Health, 8(3): 212-221. https://doi.org/10.1080/13607860410001669741
  62. Conwell, Y., 1997, "Management of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Psychiatric Clinics North American, 20: 67-83.
  63. Conwell, Y. Duberstein, P. R. and Caine, E. D., 2002,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52: 193-204. https://doi.org/10.1016/S0006-3223(02)01347-1
  64. Conwell Y, Duberstein P. R., Connor K, Eberly S, Cox C, Caine ED, 2002, "Access to firearms and risk for suicid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m J Geriatr Psychiatry, 10: 407-416. https://doi.org/10.1097/00019442-200207000-00007
  65. Conwell, Y. Duberstein, P. R. and E. D. Caine, 2002,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Biological Psychiatry, 52: 193-204. https://doi.org/10.1016/S0006-3223(02)01347-1
  66. Fan, X. 2003, "Using commonly available software for bootstrapping in both substantive and measurement analys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 24-50. https://doi.org/10.1177/0013164402239315
  67. Harris, T. L., and Molock, S. B., 2000, "Cultural orient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support i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Suicide and Life - Threatening Behavior, 30: 341-353.
  68. OECD한국정책센터, 2014, 한눈에 보는 사회 2014, OECD대한민국 정책센터.
  69. Olson, Ruccell, Sprenkle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s", Family Process, 22: 69-83.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3.00069.x
  70. Patricia L. R, Haţegan M., Carmen B., Mircea T. A., 2010, "The emergenc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 4966-4971.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3.804
  71.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72. Shrout and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73. Simon, R. L. and Murphy, P., 1985, "Sex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4(5): 423-434. https://doi.org/10.1007/BF02138837
  74. Waerna, M., Rubenowitzb, E., and Wihelmsonb, K. 2003, "Predictors of suicide in the old elderly", Gerontology, 49(5): 328-334. https://doi.org/10.1159/000071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