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현영, 고은성, 김태순, 조완영, 이경화, 이동환 (2011).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학교수학, 13(4), 363-380.
- 곽영순, 김경준(2010).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국가수준 장학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4.
- 권나영, 이은정, 박미미, 박진형(2012),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국외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수학 교육학연구, 22(3), 387-400.
- 교육부(2016). 교원양성과정 주요 개선 사항 안내. 교육부 교원복지연수과.
- 김남균(2013). 초등교사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 수학적 규범에 관한 연구. 교원교육, 29(3), 419-441.
- 김남희(2002).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사례방법. 학교수학, 4(4), 617-631.
- 김남희(2006). 예비수학교사의 산파법 적용 수학 수업 실행. 학교수학, 8(1), 89-106.
- 김남희(2008).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159-175.
- 김선희(2016). 한국 예비교사가 미국 교육 현장에서 실시한 수학 수업에 대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 59-69.
- 김현진, 김진수, 최성육, 박영민, 이광호, 이혁규 (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16.
- 박성선(2004). 수학교육 연구 공동체를 통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 초등수학교육, 8(1), 13-22.
- 방정숙(2003).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13(2), 143-157.
- 심상길, 윤혜순(2012a).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반성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25(1), 89-105.
- 심상길, 윤혜순(2012b).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1(2), 131-144.
- 오영열(2006).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6(3), 251-272.
- 오택근(2016). 수학 수업의 성찰적 실천을 위하여: 학교 안 수학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학교수학, 18(1), 105-126.
- 이성숙(2005).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봉주(2008).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1-18.
- 이화진, 강대현, 권점례, 곽영순, 김명화, 송현정, 유정애, 이경언, 오은순, 오상철, 양윤정, 이병천, 이미숙, 전효선, 진의남, 홍선주(2006).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교 수법(PCK)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서 RRI 2006-1.
- 정광조, 강종구(2015). 학습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현장 반응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 특수교육, 14(3), 193-216.
- 정미영, 김정원, 류성창, 박인심(2011). 교사 선발 방식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 RR 2011-05.
- 조덕주(2009).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411-436.
- 주미경(2006).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 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수학교육, 45(3), 295-313.
- 주미경, 양성관(2007).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63-384.
- 최돈형, 권동택, 김경철, 김성혜, 김정환, 김진수, 박병기, 박선화, 박소영, 박영민, 박종률, 조난심, 조성기, 조성화(2010).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 과정과 교사 임용시험 체제의 연계성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1.
- 최승현, 임찬빈(2006). 수업평가 매뉴얼;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6-24-5
- 한혜숙(2014).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47-769.
- 함승환,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107-136.
- Barnett, M., Higginbotham, T., & Anderson, J. (2006). Didn't I tell you that?: Challenges and tensions in developing and sustaining schooluniversity partnerships. In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sciences (pp. 23-29).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Learning Sciences.
- Bredo, E., & McDermott, R. P. (1992). Teaching, relating, and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1, 31-35.
- Burke, J. W. (2004).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d training. Abingdon, Oxon: Routledge Falmer.
- DuFour, R. (2004). Schools as Learning Communities. Educational Leadership, 61(8), 6-11.
- DuFour, R., Eaker, R., DuFour, R., & Karhanek, G. (2004). Whatever it takes: How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spond when kids don't learn. Bloomington, IN: National Education Service.
- Glaser, B. G. & Strauss, A. L. (2011). 근거 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공역), 서울: 학지사. (영어 원작은 1967년 출판).
- Hoaglund, A., Birkenfeld, K., & Box, J. (2014).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reating a foundation for collaboration skills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134(4), 521-528.
- Korthagen, F. A., & Kessels, J. P. (1999). Linking theory and practice: Changing the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8(4), 4-17.
-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 Smith, M. S., Cartier, J. L., Eskelson, S. L., & Tekkumru-Kisa, M. (2012). Building a school-university collaboration: A search for common ground. In J. Bay-Williams & W. R. Speer (Eds.). Professional collaboration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eeking Success for All (pp. 117-13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Stein, M. K., Smith, M. S., & Silver, E. (1999).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evelopers: Learning to assist teachers in new settings in new way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9(3), 237-270. https://doi.org/10.17763/haer.69.3.h2267130727v6878
- Wenger, E. (2009). Communities of practice. http://www.ewenger.com/theory/
- Zaslavsky, O. & Leikin, R. (2004).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Growth through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7, 5-32. https://doi.org/10.1023/B:JMTE.0000009971.13834.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