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 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Separation of Mixtures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혼합물의 분리 개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10.04
  • Accepted : 2016.10.18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scientific 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mixtures'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was different by the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the more exactly they understood scientific concept. Misconception was observed at all the achievement level. The higher the achievement level, the common misconception was associated with concept definition. And the lower the achievement level, the common misconception was associated with phenomenon.

본 연구는 혼합물의 분리 개념과 관련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을 조사한 것이다.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준은 성취수준별로 달랐으며,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더 정확하고 복잡한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모든 성취수준에서 오개념이 나타났으며, 성취수준이 높을 수록 개념 정의와 관련된 오개념이 많았고, 성취수준이 낮을수록 현상과 관련한 오개념이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2.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4. 김동영, 이인호, 김미경, 정은영, 강훈식, 최요한 (2012).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2-5.
  5. 김준엽, 김정은 (2013). 학교내 학력격차 추이분석 및 학교특성간 차이 탐색. 교육평가연구, 26(5), 959-980.
  6. 김혜현, 유정문 (2000). 삼화 . 보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중학교 과학 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물의 순환과 일기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03-115.
  7. 박성익 (2003). 중학교 학습 부진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백병부, 김정숙 (2009).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 자아개념 결정요인 및 학습부진 지도수업의 조절효과 검증. 교육사회학연구, 19(1), 125-149.
  9. 백병부 (2010).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 보충 수업의 교육적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상로 (1971).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책과 방향. 서울: 교육과학사.
  11. 이인호, 심재호, 김현경, 이기영, 이봉우, 정인순 (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4-30-4.
  12. 이인호, 이상일, 김승현, 서민철, 성경희, 이광상, 임해미, 동효관, 배주경, 김성혜(2016).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6-31-4.
  13.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11-10.
  14. Preckel, F., Holling, H., & Vock, M. (2006). Academic underachievemen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nscientiousness. Psychology in the Schools, 43(3), 401-411. https://doi.org/10.1002/pits.20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