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on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Old Age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 Park, Ju-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9.01
  • Accepted : 2016.11.25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on the level of their later life preparation. This study randomly sampled a birth cohort between 1955 and 1963 consisting of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South Korea with a spouse and a child/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455 subjects from March 2 to March 20, 2016. The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family relationships and their effects on their later life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55.4% of the subjects had at least 2 children, and 44.6% had 1 child. Concerning their children's marital status, 33.8% had married children and 66.2% had unmarried children. The level of their children's support was found at 2.82 points (standard deviation [SD] = .64),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2.5. The spouse satisfaction among the subjects was found to be 3.59 (.79) which is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3. The general status of later life preparation was 2.70 (SD = .44), which is lower than the mean value of 3. In the sub-dimension, the level of social preparation was 2.98 points (SD = .61); the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 was 2.60 (SD = .64); and the level of physical preparation was 2.53 (SD = .45). All the values were lower than the mean value of 3. The overall status of later life preparation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low. The physical preparation level was particularly low.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baby boomers' later life preparati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As a result, a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specific factors, such as spouse satisfaction (${\beta}$ = .32, p < .001), age (${\beta}$ = .26, p < .001), number of children (${\beta}$ = -.18, p <.001), health status (${\beta}$ = .18, p < .001), gender (${\beta}$ = -.11, p < .05), household income (${\beta}$ = .10, p < .05), and children's marital status (${\beta}$ = .10, p < .05). That is, the higher the spousal satisfaction, the older the age, and the lower the number of children, the higher the levels of later life preparation. Further, a higher level of later life preparation was observed in women, those with higher household incomes, and those with married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2. 곽인숙.홍성희(2008). 남녀직장인의 인적자본 개발이 직무만족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07-120.
  3. 권중돈(2011).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4. 김미혜(2010).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준비 실태와 노후준비교육의 방향. 노인인력개발포럼, 5, 29-58.
  5. 김성령(2011).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주의 가치관, 노후준비도,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화(2012). 노인-기혼성인자녀 간 지원교환, 사회활동 및 성공적 노후 수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8. 김승권.박종서.김유경.김연우.최영준.손창균.윤아름(2012).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영남(2015). 제주지역 중장년층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인식이 노후준비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완(2010).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정(2009). 중년 부부의 삶의 의미: 코오리엔테이션 모델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윤정.강현정(2013). 베이부머의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논문지, 14(3), 1090-1099.
  13. 김윤정.최윤희(2004).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4(2004.여름호), 197-214.
  14. 김인숙(2004).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지영(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혜경(2013). 중고령 남녀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결혼 유지.파탄 및 부부 만족도의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7, 63-83.
  17. 김혜진(2012).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제도 인지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 53-80.
  18. 나지나.백승애.신응경, 김미혜(2010). 결혼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보건사회연구, 30(2), 29-54.
  19. 문숙재.김순미(1997). 은퇴준비를 위한 재무계획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가족생활주기적 관점의 재정복지실현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35(5), 1-15.
  20. 박영란.홍백의(2011). 베이비부머 은퇴 후 생활지원을 위한 신복지모형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21. 박지숭(2012). 한국인은 어떤 여가활동을 하는가?: 40-50대 중년층을 중심으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22. 박진영(2006). 자산계층별 사교육비지출과 재무성과의 관련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61-77.
  23.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 297.
  24. 박태정(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29-57.
  25. 박현식(2012).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과 성공적 노후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58. 281-302.
  26. 방하남.신동균.이성균.한준.김지경.신인철(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한국노동연구원
  27.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28. 보건복지부(2012). 노후준비지표 예비조사 결과.
  29. 부말숙.김혜연(2007). 은퇴 후 노후생활 준비 정도에 대한 인식과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30.40대 직장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제60차 하계학술대회, 7-19
  30. 서 전(2004). 중년기 가족의 노부모 부양 행동 및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서울복지재단(2015). 서울시 노인실태 및 욕구조사.
  32. 서울시 보도자료(2015). 50+세대 인생이모작 실태 및 욕구조사 착수보고회 결과보고. 서울시 보도자료, 2015.12.16.
  33. 송양민(2010). 베이비붐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파주: 21세기 북스.
  34. 신승희(2010). 중년층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어성연.조희금.고선강(2010). 전문직 미혼 남녀의 만혼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4(2), 1-19.
  36. 이미숙(2009).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5, 5-32.
  37. 이선형(2007). 중년기 가구의 노인 및 자녀 세대 부양과 노후준비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선형.문은영.김보람(2014). 젠더관점에서 본 서울시 베이비부머의 가족생활실태및지원 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39. 이소정(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47, 72-80.
  40. 이윤경.정경희.정홍원.염주희.김세진(2013). 노후준비 지원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41. 이은경(2002). 중년기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동부산대학 논문집, 21, 715-744.
  42. 이정연(1987). 주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수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5(1), 105-119.
  43. 이정화(2009).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44. 임은경(2013).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노후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임희정(2003). 중년층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정경희(2011). 베이비 붐 세대의 제 특성 및 복지욕구. 보건복지포럼, 174, 5-10.
  47. 정경희.이금룡.홍백의.이수연.김소영.권중돈.김기흥.선우덕.우석진.이소정.박영란.정석인.정순둘.천현숙.한경혜(2011). 베이비 붐 세대 은퇴 및 고령화에 따른 정책수립 방향 연구. 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48.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2010).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9. 정순돌.이현희(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노인세대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8, 209-231.
  50. 정영옥(2014).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자녀관련 특성 중심으로. 덕성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52. 차성란(2012).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 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1), 67-83.
  53. 최재석(2009). 한국의 가족과 사회. 파주: 경인문화사.
  54. 추기철(2000). 한국 중년층의 노후대책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홍성희(2006). 중년기 봉급생활자의 노후부양 책임에 따른 노후 경제적 준비. 과학논문집, 32, 135-152.
  56. 통계청(2010). 통계로 본 베이비 붐 세대의 어제와 오늘.
  57. 통계청(2011). 2011년 사회조사 결과.
  58. 통계청(2014). 2014 혼인.이혼통계.
  59. 한경혜(2011).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가족에 대한 이해.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60. 홍성희.곽인숙 (2007).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분석: 경제적 준비와 건강 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61. 홍성희.곽인숙(2014). 성인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69-91.
  62. Baek, E. & DeVaney, S.(2004). Assessing the baby boomers' financial welllness using financial ratios and a subjective measur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2(4), 321-348. https://doi.org/10.1177/1077727X04263826
  63. DeVaney, S. A.(1995). Retirement preparation of older and younger baby boomer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6, 25-34.
  64. Erickson, E. H.(1994).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65. Kinckman, J. R. & Snell, E. K.(2012). The 2030 problem: Caring for aging baby boomers. Health Service Research, 37(4), 849-884. https://doi.org/10.1034/j.1600-0560.2002.56.x
  66. Laslett, P. (1991). A fresh map of life: The emergence of the third ag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7.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68. Maples, M. F. & Abney, P. C. (2006). Baby boomers mature and gerontological counseling comes of ag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4, 3-9.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6.tb00374.x
  69. Radner, D. B.(1998). The retirement prospect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Social Security Bulletin, 61, 3-19.
  70. Rusell, C. (1993). The master trend: How the baby boom generation is remarking America. New York: Plenum Press.
  71. Straudinger, U.M. & Bluck.(2001). A view on midlife development from llife-span theory. In M. E. Lanchman(Ed).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pp. 345-394). New York: John Willy.
  72. Whitbourne, S. K. (2001). The psychological aging process in midlife: Interactions with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M. E. Lachman(Ed),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pp. 109-155). New York: John Willy.
  73. Zapolsky, S. (2003). Baby boomers and retirement. In Lois, A. V.(ed.) Encyclopedia of Retirement and Finance. Wetport, CT: Greenwoo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