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의 중재법과 몽골의 중재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A Study on the Comparative Method of Arbitration Law of China and Arbitration Law of Mongolia

  • 김용길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투고 : 2016.10.30
  • 심사 : 2016.11.29
  • 발행 : 2016.12.01

초록

Recently, China has brought many political, economical, and ideological changes in order to complete the "socialistic market economy." In terms of legal system, they make much effort to seek compatibility and stability of law and order. China recognizes that the breakdown of corruption, which is rampant in society, is an essential short-cut for national development. To realize anti-corruption reformation, it strengthens the supervision of relatives and close officials o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Recently, China has suffered from expanded trade disputes internationally and has also experienced severe management-labor conflicts domestically due to economic recession. From 2012 onward, civil lawsuit and other litigations have increased sharply. Also, they face severe conflicts in the land system. It is expected that many disputes arise due to speculation on rural housing. Meanwhile, Mongolia expands the size of trade with Korea in mutual cooperation since their diplomatic relation in 1990 by entering more than 20 treaties and agreements. As Mongolia has rich natural resources and Korea is equipped with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 two countries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ve relations. Recently, the arbitration system has attracted attention instead of litigation as a means of dispute settlement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rade between Korea and Mongolia.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figure out desirable methods for dispute settlements in case of trade disputes among Korean companies that would advance into China and Mongoli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정, "몽골의 국제상사분쟁해결법원으로서의 중재법", 무역보험연구, 통권 제15권 제3호,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년 9월.
  2. 김석철, "몽골 중재제도의 주요특징과 유의사항에 관한 연구", 仲裁硏究, 제23권 제4호, 韓國仲裁學會, 2013.12, 55-76 (22 pages)
  3. 김용길, "中國 勞動爭議의 仲裁에 관한 考察", 仲裁硏究, 제19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09.
  4. 김용길, "중국 농지임대차분쟁의 중재에 관한 고찰", 仲裁硏究, 제21권 제3호, 韓國仲裁學會, 2011.
  5. 김용길, "中國의 仲裁制度에 관한 管見-中國 物權法의 制定을 中心으로-", 仲裁硏究 , 제17권 제3호, 韓國仲裁學會, 2007.
  6. 목영준 (2011), 상사중재법 , 박영사.
  7. 박규용.서세걸, "중국 중재제도의 새로운 발전과 외국중재판정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 仲裁硏究, 제25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15.
  8. 박영길, "국제상사중재에 있어서의 분리원칙과 중재인의 자기관할권판정의 원칙", 仲裁硏究, 제13권 제2호, 2004.
  9. 송수련, "CISG의 적용에 관한 CIETAC 중재사례 연구-중국과 홍콩 당사자간 분쟁을 중심으로-", 仲裁硏究, 제23권 제4호, 韓國仲裁學會, 2013.
  10. 신군재.김경배, "중국기업과의 효율적인 분쟁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仲裁硏究, 제13권 제2호, 2004.
  11. 신창섭, "우리나라와 중국 중재법에서 중재판정의 취소사유에 관한 연구", 仲裁硏究, 제16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06.
  12. 오원석.김태경, "중국상사중재의 사법감독실태와 개선방안", 仲裁硏究, 제20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10.
  13. 우광영, "중국국제경제무역중재위원회의 중재규칙에 관한 연구", 仲裁硏究, 제16권 제1호, 韓國仲裁學會, 2006.
  14. 유병욱, "한국과 몽골의 무역과 상사중재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貿易商務硏究, 제69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6.
  15. 尹晋基, "중국 중재법", 기업법연구, 제12집, 한국기업법학회, 2003.
  16. 이경화, "중국의 상사중재관할권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63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4.
  17. 이경화.서경, "중국 중재조정의 적법성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69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6.
  18. 李萬熙, "새로이 제정된 中國의 仲裁法에 관한 연구", 법조, 482호, 1996.
  19. 이시환, "중국에서의 국제상사중재합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50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1.
  20. 이주원, "중국 중재제도의 특징에 관한 소고", 仲裁硏究, 제15권 제3호, 韓國仲裁學會, 2005.
  21. 장경찬, "중국에서 내국인 간의 투자계약 관련 중재 사례 검토", 仲裁硏究, 제24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14.
  22. 최석범, "중국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운용실태와 개선방안", 仲裁硏究, 제14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04.
  23. 하현수, "중국 법원의 선택적 중재합의에 대한 태도", 仲裁硏究, 제26권 제2호, 韓國仲裁學會, 2016.
  24. 沈四寶.于健龍, 中國仲裁年度保告(2013-2014), 法律出版社 , 2016.
  25. 黃進.宋連斌.徐前權, 仲裁法學,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16.
  26. 袁杜娟, 上海自貿區仲裁糾紛解决机制的探索与創新, 法學, 2014年 第9期.
  27. 趙駿, 國際投資仲裁中"投資"定義的張力和影響, 現代法學, 第36卷 第3期, 2014年 5月.
  28. 何其生, 國際商事仲裁司法審查中的公共政策, 中國社會科學, 2014년 第7期.
  29. 王勇, 論 <<聯合國海洋法公约>> 中"强制性仲裁"的限制条件-兼評菲律賓單方面就中菲南海爭議提 起的仲裁-, 政治与法律, 2014年 第1期.
  30. 余勁松, 國際投資條約仲裁中投資者与東道國權益保護平衡問題研究, 中國法學, 2011年, 第2期.
  31. 肖 芳, 國際投資仲裁裁决在中國的承認与執行, 法學家, 2011年 第6期.
  32. 蔡從燕, 國際投資仲裁的商事化与"去商事化", 现代法學, 第33卷 第1期, 2011年 1月.
  33. 江平, "중국의 중재제도", 仲裁硏究, 제13권 1호, 韓國仲裁學會, 2003.
  34. 黄世席, 國際投資仲裁中最惠國條款的适用和管轄權的新發展, 法律科學(西北政法大學學報), 2013年 第2期.
  35. 全國人大常委會法制工作委員會民法室編, 中華人民共和國物權法條文說明-立法理由及相關規定, 北京大學出版社, 2007.
  36. 郭玉軍, 論國際投資條約仲裁的正当性缺失及其矯正, 法學家, 2011年, 第3期.
  37. 余民才, 菲律賓提起南海争端强制仲裁程序与中國的應對, 現代國際關系 , 2013年 第5期.
  38. 蕭凱, 羅驍, 仲裁第三人的法理基础与規則制定, 法學評論(双月刊), 2006年 第5期(總第139期).
  39. 余民才, 海洋爭端强制仲裁程序及我國的應對策略-以中菲南海爭端强制仲裁事件爲例-, 法商研究, 2013년 第3期(总第155期).
  40. 石川明.三上威彦, 比較裁判外紛爭解決制度, 慶應義塾大學出版會, 1997.
  41. 小島武司, 仲裁法, 靑林書院, 2000.
  42. 李衡東, 相互性による法とその執行, 神戶法學雜誌, 第46卷 4号, 神戶法學會, 1997.
  43. 胡光輝,"國際商事仲裁管理をめぐる實效性の確保-中國國際商事仲裁における證據と暫定的保全措置を中心に-", 早稻田大學法學會誌, 제55권, 早稻田大學法學會, 2005.
  44. Jason Pien, "Creditor Rights and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l Awards in China", 45 Colum. J. Transnat'l L. 586, (2007).
  45. William Heye, "Forum Selection for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in China - Chinese Courts vs. CIETAC", 27 Hastings Int'l & Comp. L. Rev. 535 (2004).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Amended Arbitration Law of Mongolia vol.27, pp.3, 2017, https://doi.org/10.16998/jas.2017.27.3.95
  2. The History, Status and Futur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China vol.27, pp.4, 2017, https://doi.org/10.16998/jas.2017.27.4.73
  3. 중국의 조정제도에 관한 고찰 vol.30, pp.1, 2016, https://doi.org/10.16998/jas.2020.30.1.113
  4. 자동차분쟁에 있어서 중재절차에 관한 고찰 vol.30, pp.4, 2020, https://doi.org/10.16998/jas.2020.30.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