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 Received : 2016.11.16
  • Accepted : 2016.12.21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material which shows the orbit of moon tilted at $5^{\circ}$ with the orbit of earth is developed. 110 6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are sampled. They a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lessons using the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are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lessons using the material proposed in ordinary textbook are implement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e, post, delayed concept tests on the phase change of moon a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re conducted for each concept level. According to students' responses, the concept levels are divided into 'Phase recognition', 'Space viewpoint', 'Earth viewpoint', and 'No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homogeneous in the pre-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gains significantly mor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 and delayed tests. Also, in the post and delayed tests, mor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re in the highest level 'Phase recognition'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in the 'Phase recognition' and 'Space viewpoint' explain more scientifically than the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is effective.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의 공전 궤도와 $5^{\circ}$ 기울어진 달의 공전 궤도를 나타내는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교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시내 초등학교 6학년 110명의 학생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55명의 학생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55명의 학생은 현행 교과서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생들에게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지연 개념검사와 개념수준별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에 따라 '위상 인지', '우주적 관점', '지구적 관점', '인지 불가'로 개념 수준을 구분하였다. 사전개념검사에서 t-검정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개념검사와 지연개념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상위 개념 수준인 '위상 인지'에 속하는 학생 수가 많았다.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위상 인지'와 '우주적 관점'에 속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더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06). 과학과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지, 9(1), 339-361.
  2. 교육과학기술부(2015). 과학 6-1 교과서. 비상교육.
  3. 김종욱(2015). 초등학생들이 달 위상 이해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원인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 김종희(2006).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53-363.
  5. 김태선(2006). 달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개념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변재성 외(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19-531.
  7. 서원우, 김중욱(2002). 달의 모양 변화에 대한 재구성 수업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과학.수학 교육연구, 25, 11-29.
  8. 손준호(2015). 초등학생들의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 유형과 수업 방법의 제안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89-30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89
  9. 양일호, 김정연, 임성만(2015). 2007과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달의 위상 변화 삽화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56-65.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56
  10. 이기정(2011). 달 위상변화 지도를 위한 관측자료의 제작과 활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미애, 최승언(2008). 중.고등학생이 이해하는 달의 위상 변화 모델 분석을 통한 보완 모델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9(1), 60-77. https://doi.org/10.5467/JKESS.2008.29.1.060
  12. 이조옥(1994).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오개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3. 조병준(2013). 달의 운동과 위상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채동현(2008). 새로운 달 위상 모형의 개발과 그 적용. 초등과학교육연구, 27(4), 385-398.
  15. 채동현 외(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16. 한신 외(2015).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76-8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76
  17. 한주연(2009). 역할놀이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달의 운동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8. Abell, S. et al. (2001). That's what scientists have to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a moon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1095-1109.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25049
  19. Soulier, J. S. (1981). Real objects and models. In J. E. Duane(Ed.), The Instructional Media Library(Volume 12), (pp.1-82). New Jersey: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20. Zeilik, M. & Bisard. W. (2000). Conceptual change in introductory-level astronomy courses: Tracking misconceptions to reveal which-and how much-concepts chang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9(4), 229-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