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정하, 최인수(2006).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0(3), 679-701.
- 권오남, 김정효(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9(2), 81-99.
-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 김보을,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수업 만족도 비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96.
- 김석우(2008).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 win 12.0 활용의 실제. 교육과학사.
- 김영채(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 노형진(2003).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프로그램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 성의석, 나승일(2012).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255-274.
- 성진숙(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019-237.
- 송해덕(2007).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인과 교수설계원리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4(3), 55-73.
-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2015). STEM, STEAM 교유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 35(4), 709-72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09
- 이경화(2006). CPS를 활용한 미래 도시건설 프로젝트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0(2), 487-506.
- 이상균(2015). 스마트 기기 활용 설계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과학 흥미도 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40-250.
- 이선주(2015). 공학적 설계 과정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창훈, 서원석(2012). 오토마타(automata) 만들기를 통한 STEAM 통합 기반의 창의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67-91.
- 이춘식(2012). 미국 STEM 교육의 최신 동향과 딜레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01-122.
- 이효녕, 박경숙, 권혁수, 서보현 (2013).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원교육, 29(3), 301-326.
- 이효녕, 권혁수, 박경숙, 오희진(2014).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4(2), 63-78.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63
- 임강숙, 김희수(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고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80-191.
- 전은선, 이영철(2015).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46-354.
-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석희, 한석실, 안도희(2005).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에 대한 경로 분석. 교육심리연구, 19(3), 745-760.
-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5). 공학교육인증기준2015 (KEC2015).
- 허준(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한나래출판사.
- 홍기칠(2012). AbPS 창의력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8(1), 51-76.
- Apedoe, X., Reynolds, B., Ellefson, M., & Schunn, C. (2008).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The heating/coolinguni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 454-465. https://doi.org/10.1007/s10956-008-9114-6
- Brophy, S., Klein, S., Portsmore, M. & Rogers, C (2008). Advancing engineering educationin K-12 classroom.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7, 369-387.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8.tb00985.x
- Cho, J., Choi, Y., & Kim, S. (2011). Development of integrative STEM invention education program model of chemical area.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7, 165-188. https://doi.org/10.17055/jpaer.2011.17.1.165
- Choi, In-soo (2006). Creativity: A sudden risingstar in korea.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pp. 395-4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rocker, L., & Algina, J.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Fort Worth: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 Davis, G. A., & Rimm, S. B. (1998).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 Hjalmarson, M., & Lesh, R. (2008). Engineering and design research: Intersections for education research and design. In A. E. Kelly, R. A.
- Isaksen, S. G., & Trefinger, D. G. (1985). Creative problem solving : The basic course. Buffalo, NY : Bearly.
- Isaksen, S. G., Doval, K. B., & Trenfinger, D. J. (2000).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A framework for change. Dubuque, Iowa: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 Lee, S., & Rho, T. (2011).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TEM integrated approach in technolog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 1-20.
- Moore, T. J., Tank, K. M., Glancy, A. W., Kersten, J. A., & Ntow, F. D. (2013). The status of engineering in the current K-12 state science standards (Research to practice). 2013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Atlanta, GA.
- Moore, T. J., Glancy, A. W., Tank, K. M., Kersten, J. A., Smith, K. A., Stohlmann. M. S. (2014). A Framework for Quality K-12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13
- Moore, T. J., Tank, K. M., Glancy, A. W., & Kersten, J. A. (2015). NGSS and the landscape of engineering in K-12 state science standar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2, 296-318. https://doi.org/10.1002/tea.21199
- Nam, Y. K., Lee, S. J., Paik, S. H. (2016). The impact of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EIS) Curricula on First-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 of Engineer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 1881-1907
-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09).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Engineering in K-12education: Under 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Successful K-12 STEM Education: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Engineering in K-12education: Under 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 Olds, S., Harrell, D.,&Valente, M. (2006). Get a grip! A middle school engineering challenge. Science Scope, 20, 21-25.
- Samuel, M., Robert, T. P., Ryan, J. D., & Dina, C. M. (2011). Racial and Ethnic Minority Students' Success in STEM Education. New Jersey:Jossey-Bass.
- Schunk, D. H., Pintrich, P. R., & Meece, J., L. (2008). Motivation in education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 Woolfolk, 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6th ed.) London :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