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영배 (2004). 중학교 청소년의 직업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1회 한국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157-188. 12월 23일.
- 교육부 (2013. 05. 29).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 http://moe.korea.kr/gonews/branch.do?GONEWSSID=9KvfYSdFqLfXWxBn360vhTGsqT2B2qrWFb3HWjLL9L15YpnPY8J2!1226262424!2115205746&act=detailView&dataId=155897826§ionId=b_sec_2&type=news&flComment=1&flReply=0 (검색일: 2016. 10. 15)
- 권혁본 (2001). 자아개념 및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 김병숙 (2005). 청소년의 진로의식 및 진로경로 분석. 제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541-558. 10월 7일.
-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김양미 (1990).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수준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김유미, 유순화 (2007).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8(1), 265-283.
- 김정숙(2006). 중학생의 직업포부 결정 요인: 의사직과 교사직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 125-146.
- 김충기, 천귀순 (2003).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성격특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16(2), 25-44.
- 김현옥 (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김희수, 홍성훈, 윤은종 (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37-65.
- 류한구, 김양분, 현주, 김일혁, 강상진, 김현철, 박성호 (2005).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I): 예비조사 보고서. (연구보고 RR2005-1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문미란, 정진선 (2005). 중학교 청소년들의 직업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개인, 가정, 학교변인을 중심으로. 제2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171-193. 12월 23일.
- 박완성 (2007).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진로교육연구, 20(4), 87-101.
- 박영균, 박영신, 김의철 (2010). 한국 청소년과 부모 세대간 심리특성 차이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1(4), 79-113.
- 박현진, 백성혜 (2015).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진로체험활동이 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1), 11-31.
- 박춘성, 이정규(2009). 영재학생의 가정환경 영향력 분석: 초등영재학급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8(1), 131-142.
- 신윤호, 오만록 (2005). 생활지도와 진로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 신은영, 김누리 (2004). 청소년기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탐색. 아동교육, 13(2), 185-199.
- 심재영, 박은영 (2003). 과학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2003). 영재교육연구, 13(2), 95-112.
- 유순화, 윤경미, 강승희 (2006).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상담학연구, 7(2), 399-415.
- 이광자 (1988).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 이기학, 한종철 (1997). 진로태도 측정도구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8(1), 219-255.
- 이병권 (1996). 지각된 양육태도와 진로성숙수준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 이인아 (2004).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개념이 진로의식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이정규, 김현철 (2005). 우리나라의 영재의 개인 및 가정환경적 배경변인 연구. 교육방법연구, 17(2), 239-259.
- 이재호, 최승희 (2014).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영재교육연구, 24(4), 613-628.
- 이충국 (1998).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이한나, 김재형, 김동기 (2009). 청소년의 진로활동 경험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신뢰 및 부모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6(8), 129-148.
- 이현림 (2007). 진로상담. 서울: 양서원.
- 이현주 (2012). 고등학생의 개인공부시간과 수업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3(2), 5-38.
- 이현주, 권희경, 신태섭 (2013). 또래관계와 자아개념 변화, 미래목표인식, 진로성숙의 수준 및 구조적 관계에서 성차. 교육심리연구, 27(1), 99-123.
- 이희복, 박상태, 변두원, 김정은 (2009). My Dream Job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의 미래 직업인식. 과학영재교육, 1(3), 33-41.
- 이희선, 선우현정 (2015).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의 방임. 청소년학연구, 22(6), 57-73.
- 장인규 (1998). 중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성숙도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 정미나, 노자은 (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3), 133-162.
- 정순희 (1989).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따른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3). 영재성의 발굴 및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차정은, 김아영, 이은경, 김봉환 (2007).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 미결정의 성별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교육심리연구, 21(4), 923-944.
- 한국교육개발원 (1991).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보고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황매향, 김봉환, 최인재, 허은영 (2010).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4). 75-94.
-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09). 영재 중학생의 영역과 학년에 따른 진로 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차이. 한국교육학연구, 15(2), 79-102.
-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과학영재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 Berger, S. L. (1989). College planning for gifted students. Restart.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Clark, B. (1992). Growing up gifted (4th ed.). NY: Macmilan.
- Colangelo, N. (1991).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 Crites, J. O. (1978).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lif(CTB): McGraw Hill.
-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Boston, MA: Pearson.
- Feldhusen, J. F., & Kolloff, P. B. (1986). The Purdue three-stage enrichment model for gifted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126-152).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 Greene, M. J. (2002). Gifted adrift? Career counseling of the gifted and talented. Roeper Review, 25(2), 66-72. https://doi.org/10.1080/02783190309554201
- Hartung, P. J., Porfeli, E. J., & Vondracek, F. W. (2008). Career adaptability in childhood. The Career Development Quaterly, 57(1), 63-74.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8.tb00166.x
- Herr, E. L., & Enderlein, T. E. (1976). Vocational maturity: The effects of school grade curriculum and sex.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2), 227-238.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23-3
- Keith, T. Z. (2006). Multiple regression and beyond. Boston: Pearson.
- Keller, B. K., & Whiston, S. C. (2008).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2), 198-217. https://doi.org/10.1177/1069072707313206
- Kelly, K. R., & Cobb, S. J. (1991). A profile of 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young gifted adolescents: Examining gender and multicultural differences. Roeper Review, 13(4), 202-306.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59
- Kelly, K. R., & Colangelo, N. (1990). Effect of academic ability and gender on career development.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2), 168-175. https://doi.org/10.1177/016235329001300205
- Kerr, B. A. (1991). Handbook for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Alexandria. VA: AACD Press.
- Marshall, B. C. (1981).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of gifted and talented adolescents: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4), 305-311.
- Milgram, R. M., & Hong, E. (1999). Multipotential abilities and vocational interests in gifted adolescents:Facts or fi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4(2), 81-93. https://doi.org/10.1080/002075999399981
- Novack, L. L., & Novack, D. R. (1996). Being female in the eighties and nineties: Conflicts between new opportunities and traditional expectations among white, middle class, heterosexual women. Sex Role, 35(1-2), 57-72. https://doi.org/10.1007/BF01548175
- Post-Kammer, P. (1987).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nd career maturity of 9th and 11th grade boys and girl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5(8), 420-423. https://doi.org/10.1002/j.1556-6676.1987.tb00746.x
-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 Renzulli, J. S., & Reis, S. M. (1991).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111-141). Needham Heights, MA: Allun and Bacon.
- Rubin, K. H., Dwyer, K. M., Booth-LaForce, C., Kim, A. H., Burgess, K. B., & Rose-Krasnor, L. (2004). Attachment, friendship,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4(4), 326-356. https://doi.org/10.1177/0272431604268530
- Scott, A. B., & Ciani, K. D. (2008). Effects of an undergraduate career class on men's and wom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4(3), 263-285. https://doi.org/10.1177/0894845307311248
- Stewart, J. B. (1999). Career counseling for the academically gifted student.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33(1), 3-12.
- Super, D. E. (1975). Career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for the life span and for life roles. Journal of Career Education, 2(2), 2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