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riving Evaluation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박미영 (부천대 실내건축디자인과) ;
  • 소준영 (부천대 실내건축디자인과)
  • Received : 2015.10.30
  • Accepted : 2016.02.12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aimed to derive the evaluation factors for the survey of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To attain the objectiv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housing satisfaction for normal people and thos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found in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analyzed them to draw out the evaluation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n it drew out sub-factors and elements for the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The evaluation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are divided mainly into physical, social-psychological and economic factors. First, physical factor consists of 'functionality (usability)', 'safety', 'convenience', 'comfort', 'aesthetics', 'accessibility (mobility)', 'identifiability (recognition)'. Of them, 'functionality (usability)' factor consists of 3 sub-factors and 8 elements. 'Safety' was subdivided into securing safety and public order/crime prevention. and structural safety, and 7 elements were drawn out from 'safety'. 'Convenience' is sub-categorized into convenient usage and simple operation, and 9 elements were derived. 'Comfort' was classified into 2 sub-factors and 9 elements. 'Aesthetics' was classified into 2 sub-factors and elements. 'Accessibility (mobility)' was divided into 2 sub-factors and elements. 'Identifiability (recognition)' was classified into 2 sub-factors and 5 elements. Second, social-psychological factor includes 'sociality' and 'independence' factor. One sub-factor and one element were drawn from each of both factors. Third, 'economic factor' consists of 'economy'. One sub-factor and elements were drawn out from the factor. It is expected that the 10 evaluation factors, their sub-factors and element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and/or reference in designing residential spac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making policy for it after verifying them in following studies. The present study finds itself significance in that the findings here can ultimately improve the housing welfare and life quality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2. 윤홍장, 지체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휠체어 사용자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2002
  3.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요약 보도자료
  4. 박옥희 저, 장애인복지론, 2001
  5. 국토해양부 주거복지기획과 보도자료, 2010.7.21
  6. 김은희, 서치호, 공동주택 주거만족도의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이론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2008.2
  7. 김유일,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1988
  8. 신희용, 주거만족도 및 투자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2004
  9. 윤호,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부동산정책연구 제8집 제2호, 2007
  10. 이주택,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사논문, 1994
  11. 김종신, 아파트 주택산업의 시장조사와 마케팅 시사점-(주)SK 주택과 대구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생산성 논문집 제11권 2호, 한국생산성본부, 1997
  12. 이원준, 도시저층집합주거의주거환경만족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1998
  13. 김유일,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수도권 아파트 가구를 중심으로, 한양대 박사논문, 1988
  14. 정성용, 주거환경개선지구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대구대 사회과학연구소, 1999
  15. 하성규, 실버타운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Vol.25 2007
  16. 최은실, 수요계층별특성에 맞는 원룸주택 계획 지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 및 신촌지역 원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논문, 2001
  17. 김종호 외1,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영향요인 분석 : 청주시 공공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Vol.8 No.4, 2004.12
  18.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대한건축학회, Vol.24 No.5, 2008
  19. 정희교, 농촌 노인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 석사논문, 2012
  20. 유시은, 용도지역별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13
  21. 고병호, 도시형 생활주택 주거만족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운대 석사논문, 2014
  22. 한충남, 주거실태조사를 이용한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 석사논문, 2015
  23. 김경숙, 아파트브랜드와 소비자 주거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6
  24. 한수진, 주상복합건물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9
  25. 소준영, 신체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조에 관한연구-인천시 주거 개조 사례 27개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9 No.2, 2010.4
  26.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 건설교통부 제2007-001호, 2007.4.5
  27. 보건복지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보장에 관한 법률 제1조
  28. 안성준, 장애인 주거환경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2015.2
  29. 미국 장애인 편의시설 상세표준도, 한국맹인복지연합회, 1999.6
  30. 이호성, 무장애 주택 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 Vol.16 No.1, 2010.2
  31. 김규식,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우송대 석사논문, 2011
  32. 다카하시 기헤, 일본 복지마을 실현을 위한 고령자.장애인을 위한 건축설계 매뉴얼, 도서출판 자유공간, 2004.11
  33. 최향일, 이동성 장애인의 주택 사용실태와 개조요구, 가톨릭 석사논문, 2001
  34. 이소영,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3 No.5, 2012
  35. 김규식,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우송대 석사논문, 2011
  36. 박금영 외,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지체장애인 주거개조 실태 분석,대한건축학회, Vol.27 No.1, 2007
  37. 박주열, 중증장애인의 주거생활실태와 주거개선 욕구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 석사논문, 2006
  38. 박인석․강인호․강부성, 주거만족도에 의한 주거환경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9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