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Assessment of the Damage by a Pool Fire in Yard Storage Facilities of a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 옥외저장소에서의 액면화재에 대한 피해영향 평가

  • Hwang, Man Woong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 Lee, Ik Mo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 Hwang, Yong Woo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 Chun, Young Woo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황만웅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 이익모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 황용우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 천영우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Received : 2016.12.09
  • Accepted : 2016.12.19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Domestic harbor yard storage facilities are a place specifically located in a container terminal for import and export of packaged dangerous goods, and due to the recent relaxed criteria for the secured open area, concerns for the extended damage upon accidents are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impact of damages by radiant heat was analyzed through a simulation of a pool fire caused by the leakage of flammable liquids from a tank container.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distance of radiant heat according to threshold damage levels was beyond the current criteria of the secured open area, and the structural damage of adjacent containers could happen within a very short time if they were exposed to the early pool fire continuously.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eparing the proper criteria for the secured open area between yard storage facilities in a container terminal.

항만 옥외저장소는 포장위험물의 수출입을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특정 공간에 마련된 장소로, 옥외저장소 간 보유공지 기준을 완화하여 사고발생 시 피해확대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탱크 컨테이너로부터 인화성 액체 누출로 인한 액면화재를 모사함으로써 복사열에 대한 피해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계손상기준에 따른 복사열 도달거리가 현행 보유공지 기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접 컨테이너가 early pool fire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단시간 내 구조적 손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적절한 옥외저장소 간 보유공지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연보, 2015.
  2. 박남규, 박상국,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항만물류관리론, 범한(2015). pp.9-17.
  3. 해양수산부, 항만법(2016).
  4. Cedre (Centre of Documentation, Research and Experimentation on Accidental Water Pollution), http://wwz.cedre.fr/en/.
  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중국 천진항 폭발사고의 시사점, 2015.
  6. 국민안전처, 위험물안전관리법(2016).
  7. 윤지원, 물류기업의 위험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Freight Forwarder의 위험물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국제통상물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5).
  8. HAMIDOU, Mansoriya, et al. Management of dangerous goods in container terminal with MAS model. arXiv preprint arXiv:1403.7152, 2014.
  9. 해양수산부, 전국 항만의 위험물 물동량 통계자료, 2016.
  10. 국민안전처, 항만 수출입 하역장소의 위험물규제업무 처리지침, 2016.
  11. 해양수산부, 항만 내 위험물 컨테이너 하역 및 적재 매뉴얼, 2016.
  12. NFPA,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Third Edition, 2002.
  13. 권영진, 손봉세, 이해평, 이동명, PBD를 위한 화재역학, 동화기술(2012).
  14. 한국산업단지공단, 전국산업단지 현황통계, 2016.
  15. 해양환경관리공단, 인천지사 방제대응 계획서, 2014.
  16. ITOPF, Response to marine chemical incidents, 2014.
  17. 환경부, 화학물질관리법(2016).
  18.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관리법(2015).
  19. IMO,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IMDG) Code, 2014 Edition, Incorporating Amendment 37-14.
  20. CCPS,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 Simplified Process Risk Assessment, 2001.
  21. 한국산업보건공단,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2016.
  2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대책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2012.
  23. F. F. Gubareff, J. E. Janssen, and R. H. Torborg, Thermal Radiation Properties Survey, Honeywell Research Center, Minneapolis, Minnes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