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the Contingency Plan upon Prediction of Toxicity Damage Considering Seasonal Characteristics

계절 특성을 고려한 독성 피해예측에 따른 위기대응 고도화에 관한 연구

  • Hwang, Man Uk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 Hwang, Yong Woo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 Lee, Ik Mo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 Min, Dal Ki (Environment Technology and Safety Technology Convergence, INHA Univ.)
  • 황만욱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 황용우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 이익모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 민달기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Received : 2016.12.09
  • Accepted : 2016.12.19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oday the issue of deterio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that are located close to life space of residents has been raised as a cause of threats to the safety of local communit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risk analysis and scope of community notification, simulated threat zon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utilizing the threat zones of alternative accident scenarios and modes of seasonal weather, and the area with a high probability of damage upon the leakage of toxic substances was predicted by examining wind directions observed at each time slot for each season. In addition, limit evacuation time and minimum separation distance to minimize casualties were suggested, and a proposal to enable more reasonable safety measures for on-site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made by reviewing the risk management plan currently utilized for emergency response.

오늘날 주민 생활공간과 인접해 있는 산업단지의 노후화 문제는 지역사회 안전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의 위험도 분석 및 지역사회 고지범위를 제고하기 위해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의 영향범위와 계절별 기상 최빈값을 활용하여 모사된 영향범위를 비교 분석하였고, 시간대별로 관측된 풍향을 계절별로 검토하여 독성물질 누출 시 피해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하였다. 또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한계 대피시간 및 최소 이격거리를 제시하였으며, 비상대응에 활용되고 있는 위해관리계획서를 고찰하여 인근 근로자 및 주민에 대해 한층 더 합리적인 안전대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2. 국민안전처, 위기관리 대응체계.
  3. 국민안전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4. 기상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http://sts.kma.go.kr/.
  5. 안전보건공단, 사고피해영향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6. 일과건강(2016.10.10), "화학물질안전원 <2015년 하반기-2016년 상반기 화학사고 보고서> 분석결과".
  7. 한국산업단지공단, http://www.kicox.or.kr/.
  8.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9.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사고 대응체계 개선.
  10.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안전정보공유시스템(http://csc.me.go.kr/)
  11. 환경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외벽으로부터 보호대상까지의 안전거리 고시.
  12. 환경부, 화학물질관리법.
  13. 환경부, 화학사고 즉시 신고에 관한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