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urriculum Design Modelling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the Already-Accredited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the Junior College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연구 - 전문대학 사회복지과를 중심으로

  • 박용운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
  • 김경미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
  • 유태완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5.11.19
  • Accepted : 2015.12.22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r NCS is an educational system that emphasizes developing job-related abilities. Therefore it will be an effective solution in training field-oriented work forces if properly applied. However,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t is not easy to apply NCS to the curriculum since most academic subjects concerning social welfare focus not on practice but on theory and in addition, most of social welfare departments in junior colleges have an accredited curriculum for the 2nd degree of the social worker qualification. This means it is preposterous if NCS is applied to the curriculum without prior changes in the existing qualification system. So, this paper proposes a draft model to apply NCS to the already-accredited curriculum for the 2nd degree social workers in the junior colleges and detail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y units will be customized for the existing academic subjects in the curriculum rather than developing new subjects in accordance with NCS competency units. Secondly, some client-related competency units including children, seniors, the disabled are newly developed and then applied to the curriculum, which are crucial for the career development at the junior college level. Thirdly, the competency uni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job relevancy - type 1, type 2, type 3. Fourthly, four out of 11 basic job abilities are selected and then developed into academic subjects. Fifthly, all competency units concerning the main job market are regarded as one virtual competency unit and then arranged in the order of type 1s, type 2s and type 3s and then the scope of their study is adjusted to the job abilities required at the main job market.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들을 체계화 및 표준화한 것으로서 전문직업인 양성이 교육목적인 전문대학에 NCS를 적절히 적용할 수만 있다면 현장 중심의 인력 양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문사회계열 학문인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실기보다는 이론 숙지가 주를 이루며 또한 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위한 과정이수형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격제도 변화없이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정이수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 사회복지과 교육과정에 NCS를 적용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NCS 능력단위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가 아닌 기존 교과목에 NCS 능력단위를 매핑하는 역공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주 취업시장의 직무능력 함양을 위하여 노인, 아동, 장애인 등 대상에 따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관한 능력단위를 개발 추가한다. 셋째, NCS 능력단위를 주 취업시장의 직무와의 연관정도에 따라 유형 1,2,3 등 3 유형으로 분류하여 적용한다. 넷째, NCS 직업기초능력 중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4개 요소를 추출, 독자적인 과목으로 개설한다. 다섯째, 주 취업시장에서의 직무능력 함양을 위한 능력단위들의 조합을 하나의 가상 능력단위로 간주하고 유형 1, 유형 2, 유형 3 등의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유기적으로 배치한 다음 학습 범위를 주 취업시장에서의 직무 수준으로 조정하여 3단계에 공통적으로 적용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만덕, 이승희,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51-6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51
  2. 정향진, "NCS의 도입 및 당면 과제," 제1차 NCS 포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NCS 활용 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집, pp.1-24, 2013.
  3. 주인중, 조정윤, 임경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THE HRD REVIEW, pp.19-39, 2010.
  4. 정재창, 민병모, 김종명 역, 알기 쉬운 역량모델링, PSI컨설팅, 2008.
  5. S. R. Parry, "The Quest For Competencies," Training, pp.48-56, 1996.
  6. 박동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역량 교육 추진 실태와 과제," The HRD REVIEW, pp.52-71, 2013.
  7. 박동열, "교육기관에서의 NCS 적용 성과와 향후과제," 제1차 NCS포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NCS 활용 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집, pp.57-74, 2013.
  8. 이진수, 양승훈, "보건계열학과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pp.281-291, 2014.
  9. 이병석, "NCS로 가는 길 좀 가르쳐 주세요," 한국대학신문, 2014.11.17.
  10. 이기영, 주찬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과 사회복지계의 대응방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WORKSHOP, pp.147-164, 2014.
  11. 조병섭,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진단 및 증진 방안,"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연구 제2012-10호, p.29, 2012.
  12. 이광용 외 5인, "2014 전문대학생의 언어 기초학습능력 영역별 진단도구 개발 및 적용,"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연구 제2014-07호, p.102, 2014.
  13. 이현주, "제9회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우수사례,"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연구 제2010-35-1호, pp.15-17, 2010.
  14. 김상진,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도입관련 주요이슈," HRD 리뷰 11월호, pp.36-47, 2011.
  15. 한국연구재단,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