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Career Maturity of Technical Meister School Students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신경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
  • 김서정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 Received : 2015.12.07
  • Accepted : 2016.01.21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at technical meister high schools. The Social Support Scale adjusted by Kim, Hye-Jin(2006) and the Career Maturity Attitude Inventory Scale produced by Lee, Ki-Hak(1997) were administered. The data from 194 were ultimately included to analyze. Corrlational coeffic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teachers' social support was higher than friends. Second, the effect of teachers'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friends was found.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from friends, emotional and informative support were foun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of technical meister high schools.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 및 그 하위요인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P지역 소재 2개 마이스터고 3학년 남학생들로서 전원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었다. 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는 김혜진(2006)이 수정 제작한 것이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1997)이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검사지는 200부가 배부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194부가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각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친구의 사회적 지지보다 높았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교사가 더 많이 하고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친구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 중 진로결정성과 진로확신성, 진로성숙도 총점에는 친구의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독립성에는 친구의 정보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상담 및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인주, 고등학생의 부모.교사.또래 애착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 : 기숙사 생활 여부를 조절변인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 곽윤정,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227-237, 2015,
  3. 김유미, 권윤정, "개인 및 부모자녀관계 요인이 일반계,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다층 모형의 적용," 한국인간발달학회, 제22권, 제2호, pp.93-111, 2015.
  4. 김도연, 오옥선, 김성봉,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71-91, 2012.
  5.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0.
  6. 김정원, 김옥인,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 수준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제16권, 제4호, pp.75-82, 2007.
  7. 김혜진,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지지와 학업성취도 및 교우관계와의 연관성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노미순,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9. 맹희주,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제18권, 제3호, pp.579-599, 2014.
  10. 박성현, 조신섭, 김성수, SPSS17.0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아카데미, 2010.
  11.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12. 변지현, 사회적 지지의 효과-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배상훈,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마이스터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1호, 2012.
  14. 오은경, 사회적 지지와 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5. 이경희, 윤미현,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175-199, 2011.
  16. 이복원, 청소년의 애착요인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7. 유영달, "신라대학교 대학생활 만족도조사," 학생생활연구, 제34권, pp.87-229, 2014.
  18. 이기학, 고등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9.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0. 이현림, 송재영,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제5권, 제2호, pp.393-407, 2004.
  21. 이현진,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조명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3. 진성미,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관련변인별 집단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9권, 제2호, pp.133-156, 2011.
  24. 하영숙, 염동문,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 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4권, pp.153-180, 2013.
  25. 한수현,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6. 함승연,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의 성과와 과제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제27권, 제4호, pp.948-962,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4.948
  27. D. L. Blustein,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5, pp.260-274,
  28. W. Furman and D. Buhrmester,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Vol.63, No.1, pp.103-115, 1992. https://doi.org/10.2307/1130905
  29. P. Greed, L. A. Prideaux, and W. Patt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areer decisional states in adolesce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7, pp.397-412, 2005.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