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치매가족의 치매대상자 재가돌봄의사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Dementia Patient Home Care Intention of Family Caregivers

  • 조범훈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이동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5.11.12
  • 심사 : 2015.12.02
  • 발행 : 2016.02.28

초록

본 연구는 치매가족을 대상으로 재가돌봄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의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실증 분석함으로써 치매대상자 가족의 돌봄부담 경감을 포함한 효율적이고 원활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26개 시군구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치매 인식도 및 욕구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대상과 특성을 선별하여 2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에 분석대상은 치매가족 539명이고, 특성은 앤더슨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의 해당 변수를 삽입하였으며,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수준 5% 기준으로 소인요인에서는 거주지가 비도시일수록, 돌봄관계가 배우자 혹은 자녀일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가능성요인에서는 치매관련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치매대상자의 치매특성이 보다 경증일수록, 그리고 돌봄부담이 낮을수록 재가돌봄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앞서 고려한 세 가지 요인 중 욕구요인이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돌봄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치매정도와 경제적 특성에 부합되는 지원전략을 구축해야 함을 전제로, 긍정적 치매태도형성을 위한 가족대상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 지역 및 가족특성에 따른 차별화 실천전략의 마련 등을 실천적 함의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practical implication regarding efficient and smooth service utilization including care burden reduction of family caregive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mentia patient home care intention of family caregivers, based on Anderson's behavior model. For this study, the subjects and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were selected using the source data of "A Survey on the Dementia Recognition and Needs" targeting 26 cities and countries in Gyeonggi-do and then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targeted 539 dementia families, and based on Anderson's behavior model, variables related to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were inser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home care intention was high when family caregivers were not living in cities, they were spouses or children and their economic level was high as predisposing factors, and the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positive as a enabling factor, and the degree of dementia was mild and care burden was low as need factors. Moreover, need factors were relatively important variables among the three factors mentioned abov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for improving the home care intention,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a support strategy, which considers the degree of dementia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develop diverse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a positive attitude towards dementia and a differentiated strategy depending on regi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우, 이채정,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4.
  2. Y. M. Mufullul, "Burden of informal carers of mentally infirm elderly in Lancashire," East African Medical Journal, Vol.79, No.6, pp.291-298, 2002.
  3. 유문숙, 김용순, 김기숙,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117-1127, 2010.
  4. 한혜경, "노인에 대한 시설보호와 재가복지의 대체관계 분석-OECD 국가와의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4권, pp.105-128, 1999.
  5. A. M. Jette, S. Tennstedt, and S. Crawford, "How does formal and informal community care affect nursing home use?," Journal of Gerontology, 50B, 1995.
  6. S. Orodenker, Family Caregiving in a Changing Society, Garland Publishing, 1991.
  7. R. Briggs, Caregiving Daughters, Garland Publishing, Inc, 1998.
  8. OECD 아시아 사회정책센터, 노인 장기요양보호, 보건복지부.경제협력개발기구 아시아 사회정책센터, 2007.
  9. 선우덕, "독일의 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한 치매 케어정책과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제201권, pp.72-79, 2013.
  10. Alzheimer Scotland, The Dementia Epidemic, Edinburgh: Alzheimer Scoatland, 2007.
  11. 이현숙, "영국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시설이용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1호, pp.260-299, 2013.
  12. H. S. Kaye, M. P. LaPlante, and C. Harrington, "Do Noninstitutional Long-Term Care Services Reduce Medicaid Spending?," Health Affairs, Vol28, No.1, pp.262-272, 2009. https://doi.org/10.1377/hlthaff.28.1.262
  13. 박광준, 안홍순, 최성재, 황성철, 고령화 사회와 노인복지, 세종출판사, 1999.
  14. 김은정, "현대소설에 나타난 치매의 의미," 한민족어문학, 제63권, pp.313-340, 2013.
  15. 홍정민,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2호, pp.25-30, 2012.
  16. 이근창, "치매노인의 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 제6권, pp.34-53, 1998.
  17. K. Kosloski and R. Montgomery, "Investing patterns of service use by families providing care for dependent elder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6, pp.17-37, 1994. https://doi.org/10.1177/089826439400600102
  18. 이영휘, 김화순, 조인숙, "재가복지서비스 신청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영향 요인," 기본간호학회, 제15권, 제3호, pp.274-283, 2008
  19. 이혜자, "주간보호시설의 이용여부가 치매노인의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6권, 제2호, pp.329-346, 2006.
  20. M. Stommel, C. Collins, S. King, and C. Givens, "Assessment of the attitudes of family caregivers toward community services," Journal of Gerontologist, Vol.31, No.6, pp.756-761, 1992.
  21. 강상경,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궤적 및 예측요인: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3호, pp.83-108, 2008.
  22. S. C. Houde, "Predictors of elders' and family caregivers' use of formal home servic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21, No.6, pp.533-543,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8-240X(199812)21:6<533::AID-NUR7>3.0.CO;2-I
  23. Francesca, Colombo, Help wanted? providing and paying for long-term care, OECD, 2011.
  24. 최희경, "노인 돌봄과 노동의 양립을 위한 가족지원 정책 연구," 한국사회정책, 제18권, 제4호, pp.271-298, 2011.
  25. 유애정, 김태균, "일본의 경증치매대상자 지원정책 추진동향 분석과 그 시사점. 건강보장정책," 제12권, 제1호, pp.161-175, 2013.
  26. A. Moon, J. Lubben, and V. Villa,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long-term care services by elderly Korean and non-Hispanic White Americans," The Gerontologist, Vol.38, No.3, pp.309-316, 1998. https://doi.org/10.1093/geront/38.3.309
  27. 김혜숙, 구재관, 손용민, "등급 외 치매노인주간 보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초기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변화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6권, pp.167-188, 2014.
  28. R. M. Andersen and J. F. Newman,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United States," Mil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Journal, Vol.51, pp.95-124, 1973. https://doi.org/10.2307/3349613
  29. 오현숙, 이경미, "가족부양자의 노화과정에 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노년학연구, 제17권, pp.73-81, 2008.
  30. 박건우, 김지연, 최문기, 정재범, "치매환자 보호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 연구," 주관성연구, 제25권, pp.121-136, 2012.
  31. D. M. Bass and L. S. Noelker,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ers on elder's use of in-home services: An expand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8, pp.184-196, 1987. https://doi.org/10.2307/2137131
  32. R. M. Andersen, "Revis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6, No.1, pp.1-10, 1995. https://doi.org/10.2307/2137284
  33. 황선영, 장금성, "치매시설 조호자의 치매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조호활동실천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78-388, 1999.
  34. 송다영,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 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권, pp.105-128, 2003.
  35. 이인정,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노인 가족수발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183-205, 2004.
  36. 유희상, 이숙경, 이혜영, "건강증진프로그램 이용과 관련한 요인," 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2호, pp.157-184, 2008.
  37. 김성용, 강상경, "정신장애인 사회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 Andersen 모형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1호, pp.175-202, 2014.
  38. 이동영, 박종두, "재가독거노인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앤더슨 행동모형의 적용,"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4호, pp.1-23, 2010.
  39. 김혜경, "요보호 노인부양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서비스 유형별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123-147, 2004.
  40. 윤현숙, "노인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및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141-161, 2001.
  41. 최해경, "심신기능이 손상된 노인가족의 요양원 이용의사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6권, 제1호, pp.164-180, 1995.
  42. C. W. Tew, L. F. Tan, N. Luo, W. Y. Ng, and P. Yap, "Why family caregivers choose to institutionalize a loved one with dementia: a singapore perspective," Dement Geriatr CognDisord, Vol.30, pp.509-516, 2010. https://doi.org/10.1159/000320260
  43. H. Lee and J. Choi, "Pathway to Health Literacy in Korean American Immigrants: The mediating role of English Proficiency,"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22, pp.255-269, 2012. https://doi.org/10.1080/10911359.2012.655568
  44. 최성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인식 및 서비스 이용의향 조사," 제13권, 제1호, pp.127-134, 2009.
  45. 보건복지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매노인유병률조사, 2013.
  46. 이유나, 박지혁, 임경민, "신체활동 작업치료가치매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제5호, pp.322-33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