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구재선, 김혜리, 양혜영, 김경미, 정명숙, 이수미, 최현옥 (2008). 중학생의 마음이해 능력과 사회적 상호 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2), 17-33.
- 김경미, 김혜리, 정명숙, 양혜영, 구재선 (2008). 유치원 아동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21-39.
- 김광웅, 조유진, 홍기묵 (2005). 심리적 성장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2(3), 1-13.
- 김용환 (2003). 공감과 연민의 감정의 도덕적 함의. 한국철학회, 76, 155-180.
- 김진아, 엄정애 (2006).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아동학회지, 27(2), 85-100.
- 김태훈 (2013). 도덕적 정서의 성격과 종류에 관한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38, 81-98.
- 김해주 (2013). 기질과 공감능력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향미 (2010). 유아의 공감능력 및 언어표현능력 수준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숙 (2012). 유아의 마음읽기.공감하기와 또래 인기도 간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성희 (1996).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연구. 교육학연구, 34(5), 143-166.
- 신건호 (2003). 아버지의 특성과 인간지향적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논문집, 42, 1-20.
- 연진영 (1987). 아동의 공감발달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연경, 유미숙 (2012). 성별에 따른 아동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연구, 25(1), 17-32.
- 윤지영, 이용주 (2006). 유아의 정서지능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3(1), 146-159.
- 이성진 (2005). 학령기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윤옥 (2003).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능력 평가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7(1), 141-167.
- 이인재 (2003). 도덕적인 삶을 위한 감정의 역할과 감정교육에 관한 연구. 윤리연구, 54(3), 167-207.
- 이지연, 곽금주 (2010). 5세 아동의 정서조절과 공감의 예언변인들: 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85-102.
- 장미선, 문혁준 (2004). 유아의 공감에 관련된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9), 53-66.
- 장영주 (2013). 캐서린 부스의 '교감신학' 연구-이은선의 '한국생물여성영성 신학'의 관점에서.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은정 (2009). 아동의 공감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옥분 (2007).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 조은진 (1993). 유아의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 연구의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 분석. 아동학회지, 14(2). 137-147.
- 조한익, 이미화 (2010).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11). 140-159.
- 조효진, 손난희 (2006). 공감능력과 이타행동. 상담학연구, 7(1). 1-9.
- 최미숙 (2010).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발달 특징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255-271.
- 최양미, 이태섭, 김보현 (2014). 또래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행동의 차이 연구. 유아교육연구, 34(2). 49-75.
- 칸트사전 (2015). 도덕적 정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2685&cid=41908&categoryId=41954에서 2015년 10월 5일 인출.
- 하수경, 노희정 (2014). 초등 도덕교과에서의 감정교육 방법. 초등도덕교육, 44, 433-456.
- 한규령 (2005). 유아의 또래 관계 증진을 위한 신체 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헨리 나웬, 도날드 맥네일, 더글라스 모리슨 (1976). 동정심: 영적 지도력의 핵심. 사목연구, 2, 203-217.
- 홍기묵 (2005).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ednersh, F., & Peck, C. A. (1986). Assessing social environments : Effect of peer characteristics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severe handicaps. Child Study Journal, 16, 315-329.
- Baron-Cohen, S., & Wheelwright, S. (2004). The empathy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ager's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34(2), 163-175. https://doi.org/10.1023/B:JADD.0000022607.19833.00
-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T., & Reis, H. T.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100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91
- Eisenberg, N., & Fabes, R. A. (1991).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A multimethod,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Clark, M.(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p. 34-61). CA: Sage, Newbury Park.
- Feshbach, N. D., & Roe, K. (1968). Empathy in sex and seven year old. Child Development, 39, 133-145. https://doi.org/10.2307/1127365
- Hoffman, M. L. (2001).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uges, R., Tingle, B. A., & Sawin, D. B. (1981). Development of empathic understanding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2, 122-128. https://doi.org/10.2307/1129221
- Katz, L. G., & McC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The teacher's role.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8. Michigan: NAEYC.
- Malti, T., Eisenberg, N., Kim, H., & Buchmann, M. (2013).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ympathy, Moral Emotion Attributions, and Moral Reasoning: The Role of Parental Support. Social Development, 22(4), 773-793. https://doi.org/10.1111/sode.12031
- Malti, T., Gummerum, M., Keller, M., & Buchmann, M. (2009). Children's Moral Motivation, Sy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80(2), 442-460.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9.01271.x
- Martha C. N., 오병선 (2008). Compassion: Human and Animal. 서강법학연구, 10(2), 201-231.
- Michalik, N. M., Eisenberg, N., Spinrad, T. L., Ladd, B., Thompson, M. & Valiente, C. (2007).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and Sy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in Adolescence. Social Development, 16(2), 286-309.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7.00385.x
- Paul, R. E., & Robert, O. (2012). Humanity On a Tightrope: Thoughts on Empathy, Family, and Big Changes for a Viable Future. 공감의 진화(고기탁 옮김). 서울: 에이도스(원판 2010).
- Pease, D., Clark, S. G., & Crase, S. J. (1979). 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 school age and preschool manual. Iowa State Research Foundation, Inc.
- Rubin, K. H., & Schneider, F. W. (1973).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 egocentrism, and altuistic behavior. Child Development, 44, 661-665. https://doi.org/10.2307/1128027
- Rose-Krasnor, L. (1977). The nature of social competence: A theoretical review. Social Development, 6, 111-135.
- Scheler, M. (2009). Wesen und Formen der Sympathie. 공감의 본질과 형식(이을상 옮김).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원판 1973).
- Smith, A. (2009).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도덕 감정론(박세일, 민경국 옮김). 서울: 비봉출판사(원판 1996).
- Spinrad, T. L., Losoya, S. H., Eisenberg, R., Fabes, R. A., Shepard, S. A., Cumberland, A., Guthrie, I. K., & Murphy, B. C. (1999). The relations of parenal affect and encouragement to children's moral emotions and behavior. Journal of Moral Education, 28(3), 323-337. https://doi.org/10.1080/030572499103115
- Walker, L. J., & Taylor, J. H. (1991). Family Interactions and Development of Maral Reasoning, Child Development, 62(2), 264-283. https://doi.org/10.2307/1131002
- Wilson, J. (1989). Philosophical Issues in Moral Education and Development,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3(1), 129-133. https://doi.org/10.1111/j.1467-9752.1989.tb0063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