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perception of the agricultural dry stonewalls under agri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case of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are most external walls, many of which are curvy. Concrete walls have recently shown up to enclose fields. Second, the height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va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ir length was calculated 16.514km(two farming region) based on a field survey and numerical cadastral maps. Third, farmers in Hado-ri perceive a great need for agricultural dry stonewalls. This means tha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have a sustainable value despite rapid social change. Fourth, the methods for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volve improving eco-friendly agricultural environment for the stonewalls, building database by village about them, carrying out their transformation and building according to promulgated ordinances, promoting the value of the stonewalls to Jeju citizens, and educating them to perceive the value of the stonewalls.
본 연구는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를 사례로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리 밭담은 대부분 외담이면서 곡선형이 많고, 최근에 시멘트 밭담이 출현하고 있다. 둘째, 밭담의 높이는 입지에 따른 특징이 있고, 밭담의 길이는 현장조사와 수치지적도를 통해서 16.514km(두 농업 지구)로 산출되었다. 셋째, 하도리 농가들은 현재까지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데 이는 급격한 사회변화에서도 밭담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밭담의 지속가능한 보전 방안은 밭담 친환경적인 농업환경 개선, 마을별 밭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밭담의 변형과 축조 시 지정된 조례에 의한 시행, 지역주민에게 밭담의 가치 인식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