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대직 (1964). 유선방송과 농어촌의 근대화. <유선방송소식>, 창간호.
- 거북이 지원부대를 돌아보다 (1964, 11, 11). <방송>, 14호.
- 관훈클럽 신영연구기금 (편) (1982). <한국언론법령전집, 1945-1981>. 서울: 서울신문사 출판국.
- 기획실 (1965a). 관영앰프 운영형태의 쇄신을 촉구한다. <유선방송소식>, 송년호.
- 기획실 (1965b). 65년을 되돌아 본다: 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유선방송소식>, 송년호.
- 김재문 (1982, 8월). 사설 '유선음악방송' 그 내막. 월간 <방송>, 창간호.
- 농촌진흥청 (n.d.). <새마을 앰프용 영농방송기법>. 농촌진흥청.
- 도지부 (道支部)를 돌아보고: 전북도지부 편. <유선방송소식>, 창간호.
- 박기성 (1991). 한국방송사. 방송문화진흥회 편 (1991). <한국방송총람>. 서울: 나남.
- 박성휘 (1964). 유선방송의 공개건의서. <유선방송소식>, 창간호.
- 박용빈 (1964). 재건사업과 협동정신. <유선방송소식>, 창간호.
- 방송좌담회: 무허가유선방송업자 일제단속을 주제로 (1965). <유선방송소식>, 8월호.
- 백봉하 (1964). (기술지도란)유선방송시설은 우선 이렇게. <유선방송소식>, 창간호.
- 안미암 (1963, 12월). 앰프촌을 진단한다. <방송문화>, 19호.
- 유방(有方)논단: 백 마디 건의보다 한 가지 의무이행(義務履行) (1965). <유선방송소식>, 9월호.
- 유선방송사업자 허가증갱신 (1965). <유선방송소식>, 8월호.
- 유선방송의 활로는 CATV인가 (1971). <방송>, 9월호.
- 유선방송 청취료 인상 건의 공개 (1965). <유선방송소식>, 9월호.
- 윤상길 (2011a). 1960년대초 한국 유선라디오 방송제도의 성립과 발전: 공보부와 체신부 간의 대립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5-1호.
- 윤상길 (2011b). 1960년대 한국 라디오 테크놀로지의 '부락화'. 한국방송학회 (편). <한국방송의 사회문화사: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서울: 한울아카데미.
- 이석 (1965a). 유선방송협회의 발자취 (上). <유선방송소식>, 8월호.
- 이석 (1965b). 유선방송협회의 발자취 (中). <유선방송소식>, 9월호.
- 이시복 (1966). 보고 각도지부장 회의: "유선방송 확장의 해" 결의를 굳혀. <유선방송소식>, 1.2월 합병호.
- 임석윤 (1964). 협회운영은 우리손으로. <유선방송소식>, 창간호.
- 정대철 (1992). 유선방송사. <방송문화연구>, 4집. 서울: 한국방송공사 (KBS).
- 정민 (1961). 유선방송의 개관. <전파과학>, 21호.
- 조항제 (2009). <한국방송의 이론과 역사>. 서울: 논형.
- 조항제 (1998). 1960년대 한국 방송의 자율성의 성격: 코포라티즘과 복합대기업화. <한국방송학보>,10권 1호, 289-322.
- 진계림 (1963, 8월). 국내유선방송고찰. <방송문화>, 15호.
- 최준 (1965). <방송론>. 서울: 일조각.
- 최창섭 (1985). <방송원론>. 서울: 나남.
- 편집부 (1961, 3월). 농촌의 귀염둥이, 유선방송은 이렇게 되어 있다. <전파과학>, 21호(3월호).
- 한국방송사업협회 (1965). <65방송연감>. 서울: 한국방송사업협회.
- 허준 (1965). 유선방송은 국내최고의 보도기관: 미약한 육성책은 정부의 미쓰. <유선방송소식>, 1965년 8월호.
- 황보영 (1965). 자체방송(自體放送) 제한규정의 완화를 바람. <유선방송소식>,1965년 9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