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의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인식과 보호 태도 연구 빅데이터 시대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심리적 반발에 주목하며

An Empirical Study of Peopl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Online Focusing on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e Big Data Age

  • 김형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학과) ;
  • 전은식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협동과정) ;
  • 김성태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Kim, Hyoung Jee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
  • Jeon, Eun Sik (Program in Science & Technology Studies, Korea University) ;
  • Kim, Sung Tae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6.09.30
  • 심사 : 2016.11.23
  • 발행 : 2016.12.15

초록

본 연구는 미래 새로운 경쟁력으로서의 빅데이터의 가치가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면서 우선시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전제하에서 온라인 이용자의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인식과 보호 태도를 알아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 활용주체에 대한 신뢰와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심리적 반발이 개인정보 노출 방법과 유형에 따라 다름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심리적 반발이 강할수록, 인적 개인정보 노출이 많을수록 개인정보 보호 규제에 대한 태도는 강경했다. 한편, 사람들이 개인정보 활용주체가 개인이나 기업일수록, 금융 정보의 노출이 많은 사람일수록 개인정보 보호 규제에 대한 태도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이들은 온라인상에서 공개한 자신에 관한 정보를 법의 테두리 안에서 보호받기 위해 자기정보에 대한 권리를 강화하고 자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경향을 엿볼 수 있겠다.

Recently, industrial values of big data as an important force of future society have been vastly paid attention. At the same time, more concerns about their private informations' disclosure online still echo around us, especially for them who have experiences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open onlin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estions; how people think about their personal information revealed online?; how much they have 'psychological reactance'?; what attitudes they have toward a certain governmental regulations on th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e should have more attentions to protect 'privacy' in the age of big-data and still need to make a lot of efforts to prepare a feasible regulation guide on this issu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혜미 (2013, 12, 18). 모바일 보안, 안녕들 하십니까. http://www.bloter.net/archives/173459
  2. 기소진.이수영 (2013).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1호, 81-110.
  3. 김민성.김성태 (2014). 개인정보 노출이 잊혀질 권리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권 2호, 307-336.
  4. 김선남.이환수 (2014).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안)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정보화정책>, 21권 4호, 20-39. https://doi.org/10.22693/NIAIP.2014.21.4.020
  5. 김성태 (2014). 이제는 ICT 정보 보안이 경쟁력이다. >>, IT인&아웃, 16호, 20-21.
  6. 김성태 외 (2015). 빅데이터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서울: 율곡출판사.
  7. 김지훈.조시행 (2010). 사이버 환경에서의 보안위협. <정보보호학회지>, 20권 4호, 11-20.
  8. 김지훈 (2015). 빅데이터와 개인정보보호!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빅데이터시대의 커뮤니케이션연구>(362-388쪽), 서울: 율곡출판사.
  9. 나은영 (2012).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소셜미디어. 한국언론학회(편), <한국 사회의 정치적 소통과 SNS(45-70쪽). 나남.
  10. 나은영 (2013). 트위터 이용자의 온라인 자기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위협감소 요인과 이익기대 요인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57권 4호, 124-148.
  11. 박현선.김상현 (2013). 정보 공유 및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네트워트 서비스 특성과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실증연구. <정보학회지>, 57권 4호, 502-516.
  12. 방송통신위원회 (2014, 12, 23).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위원회 보도자료.
  13. 성준호 (2013).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검토. <법학연구>, 21권 2호, 307-333.
  14. 오미영 (2011). TV 드라마 PPL에 대한 심리적 반발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124-148.
  15. 이재신.조희창 (2007). 사회수준과 개인수준의 온라인 위험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권 6호, 457-491.
  16. 이호영.김희연.정부연.장덕진.김기훈 (2011). <소셜미디어의 성장과 온라인사회관계의 진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7. 이환수.임동원.조항정 (2013).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지능정보연구>, 19권 1호, 125-139. https://doi.org/10.13088/jiis.2013.19.1.125
  18. 장규원.윤현석 (2011). 사이버 공간에서의 개인 정보보호: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2권 3호, 105-137.
  19. 주형일 (2002).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의 자기노출 기능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2집 1권(통권 40호), 231-254.
  20. 차상육 (2014). 빅데이터 환경과 프라이버시의 보호. , 8집, 193-259.
  21. 최대선.안은영 (2013).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노출된 개인정보 현황. <한국콘텐츠학회지>, 11권 4호, 61-64. https://doi.org/10.20924/CCTHBL.2013.11.4.061
  22. 최대선.김석현.조진만.진승헌.조현숙 (2013).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개인정보 노출 실태 분석.<정보보호학회논문지>, 23권 5호, 977-983. https://doi.org/10.13089/JKIISC.2013.23.5.977
  2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한국인터넷백서>.
  24. Brehm, J. W. (1966). A theory of psychological reactance. New York: Academic Press
  25. Brehm, J. W. (1993). Control, its loss, and psychological reactance. In G. Weary, F. Gleicher, & K. L. Marsh (Eds.), Control motivation and social cognition (pp. 3-30). New York/Berlin: Springer-Verlag.
  26. Brehm, S. S., & Brehm, J. W. (1981). Psychological reactance: A theory of freedom and control. New York: Academic Press.
  27. Burgoon, M., Alvaro, E., Grandpre, J., & Voulodakis, M. (2002). Revisiting the theory of psychological reactance. In J. P. Dillard & M. Pfau(Eds.). The persuasion handbook (pp. 213-232). Thousand Oaks, CA: Sage
  28. Dillard, J. P., & Shen, L. (2005). On the nature of reactance and its role in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72, 144-168. https://doi.org/10.1080/03637750500111815
  29. Dinev, T. & Hart, P. (2006).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7(1), 61-80. https://doi.org/10.1287/isre.1060.0080
  30. Hong, S. M., Giannakopoulosa, E., Lainga, D., & Williamsa, N.A. (1994). Psychological reactance: Effects of age and gender.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4(2), 223-228. https://doi.org/10.1080/00224545.1994.9711385
  31. Hong, S. M., & Page, S. (1989). A psychological reactance scale: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Psychological Reports, 64(1),323-1,326. https://doi.org/10.2466/pr0.1989.64.1.323
  32. Joubert, C. E. (1990).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psychological reactance and other persoanlity variables. Psychological Reports, 64(1), 323-1,326. https://doi.org/10.2466/pr0.1989.64.1.323
  33. Kim, J., & Lee, J-E. R. (2011). The facebook paths to happiness: Effects of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self-pres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6), 359-364. https://doi.org/10.1089/cyber.2010.0374
  34. Mayer, R. C., Davis, J. H., &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https://doi.org/10.5465/amr.1995.9508080335
  35. Miller, L. C., Berg, J. H., & Archer, R. L. (1983). Openers: Individuals who elicit intimate self-discl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6), 1234. https://doi.org/10.1037/0022-3514.44.6.1234
  36. Miller, C. H., Burgoon, M.,Grandpre, J. R. & Alvaro, E. M. (2006). Identifying principal risk factors for the initiation of adolescent smoking behaviors : The significance of psychological reactance, Health Communication, 19(3), 241-252. https://doi.org/10.1207/s15327027hc1903_6
  37. Miron, A.M. & Brehm, J.V. (2006). Reactance theory-40 years later. Zeitschrift fur Sozialpsychologie, 37(1), 9-18. DOI 10.1024/0044-3514.37.1.9
  38. OECD (2013). Exploring data-driven innovation as a new source of growth: Mapping the policy issues raised by big data. OECD Digita Economy Papers, 222.
  39. Rains, S. A., & Turner, M. M. (2007). Psychological reactance and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A test and extension of the interwined model.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3, 241-269.
  40. Rousseau, D. M., Siti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393-404. https://doi.org/10.5465/amr.1998.926617
  41. Quick, B. L., & Stephenson, M. T. (2007). Further evidence that psychological reactance can be modeled as a combination of anger and negative cognitions. Communication Research, 34, 255-276. https://doi.org/10.1177/0093650207300427
  42. Snyder, M. L., & Wicklund, R.A. (1976). Prior exercise of freedom and reactanc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2, 120-130. https://doi.org/10.1016/0022-1031(76)90063-9
  43. Zhang, Q., & Sapp, D. (2013). Psychological reactance and resistance intention in the classroom: Effects of perceived request politeness and legitimacy, relationship distance, and teacher credibility. Communication Education, 62, 1-25. https://doi.org/10.1080/03634523.2012.727008
  44. Wiium, N., Aarø, L. E., & Hetland, J. (2009). Psychological reactance and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tobacco-control measur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9(7), 1718-1738.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9.00501.x
  45. Wheeless, L. R. (1978). A follow‐up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trust, disclosure, and interpersonal solidar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2), 143-157.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8.tb00604.x
  46. Worchel, S.. & Brehm, J. W. (1970). Effect of threats to attitudinal freedom as a function of agreement with the commun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18-22. https://doi.org/10.1037/h0028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