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Rim, Haeme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Received : 2016.10.10
  • Accepted : 2016.11.10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and expectations toward mathematics, mathematics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ir child in PISA 2012 of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had positive effects on parent academic and professional expectations in mathematics. Second, parental expectations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and math achievement for their child. Third, instrumental motivation had strongest effects on math achievement. The next factors which had effects on math achievement were intrinsic motivation and parental expectations in order. This results shows that the parental awareness of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mathematics will help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value toward mathematics, math achievement and interest of math related carriers of their child.

본 연구에서는 PISA 학부모 설문의 수학과 관련한 설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때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ESCS와 자녀의 성별은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수학에 대한 학업적 직업적 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수학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관계를 발견하였다. 즉, 부모가 수학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자녀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수학 점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진로를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투입 변수 중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도구적 동기였으며, 그 다음은 내적 동기, 부모의 수학에 대한 기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수학 성취에 대해 부모의 영향이 있다하더라도 학생 스스로가 가진 동기를 넘어서지 않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201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 수학능력 관계에 있어 가정의 수학적 환경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2(2), 85-99.
  2.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 보도자료(2015.3.16.).
  3. 교육부(2016).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6.1.25.).
  4. 구자옥.김성숙.임해미.박혜영.한정아(2015).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상위국 성취 특성 및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6-1.
  5. 권재기(200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과외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마리아(2013).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17-139.
  7. 김아영(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16(1), 1-38.
  8. 김종렬(2014).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1), 93-113.
  9. 송미영.김성숙.구자옥.임해미.박혜영.한정아.임현정(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남녀 및 성취수준별 학생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4-1.
  10. 송미영.임해미.최혁준.박혜영.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1. 양미경(2012). 내재적 학습 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열린교육연구, 20(4), 187-209.
  12. 이명숙(1990). 시험불안과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종희, 김부미(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14. 이종희, 김수진(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15. 임선아(2012).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기대와 참여, 학생의 자아 효능감과 학업적 관여도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19(2), 179-204.
  16.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와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47-65.
  17. Bollen, K. A. & Stine, R. (1990).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lassical and bootstrap estimates of variability. Socialogical Methodology, 20, 115-140. https://doi.org/10.2307/271084
  18. DeWitt, J., Osborne, J., Archer, L., Dillon, J., Willis, B., & Wong, B. (2013). Young children's aspirations in science: The unequivocal, the uncertain and the unthink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6), 1037-106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1.608197
  19. Dickens, M. N., & Cornell, D. G. (1993). Parent influences on the mathematics self-concept of high ability adolescent girl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7(1), 53-73. https://doi.org/10.1177/016235329301700106
  20. Gunderson, E. A., Ramirez, G., Levine, S. C., & Beilock, S. L. (2012). The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of gender-related math attitudes. Sex Roles, 66(3-4), 153-166. https://doi.org/10.1007/s11199-011-9996-2
  21.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th ed.). NY: Guilford Press.
  22. Ma, X., & Kishor, N. (1997).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 meta-analysi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47.
  23. Mallincrodt, B., Abraham, W. T., Wei, M., & Russell, D. W. (2006). Advances in test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3), 372-378. https://doi.org/10.1037/0022-0167.53.3.372
  24. OECD (2009). PISA data analysis manual. SPSS(R) second edition. Paris: OECD.
  25.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Paris: OECD.
  26. OECD (2011). Parent Questionnaire for PISA 2012 (International Option) Main Survey. December 2011. Paris: OECD.
  27. OECD (2014). PISA 2012 Technical Report. Paris: OECD.
  28. OECD (2015.05). What do parents look for in their child's school?. PISA in Focus, 51.
  29. Ryan, R.M. and E.L. Deci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https://doi.org/10.1006/ceps.1999.1020
  30. Simpson, R. D., & Steve Oliver, J. (1990). A summary of major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 and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74(1), 1-18. https://doi.org/10.1002/sce.3730740102
  31. Sun, L., Bradley, K. D., & Akers, K. (2012). A multilevel modelling approach to investigating factors impacting science achieveme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PISA Hong Kong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4), 2107-2125. https://doi.org/10.1080/09500693.2012.708063
  32. Tenenbaum, H. R., & Leaper, C. (2003). Parent-child conversations about science: The socialization of gender inequities?. Developmental Psychology, 39(1), 34. https://doi.org/10.1037/0012-1649.39.1.34
  33. Wigfield, A., Byrnes, J. P., & Eccles, J. S. (2006). Development during early and middle adolescence.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2, 87-113.
  34. Wigfield, A., Eccles, J. S., & Rodriguez, D. (1998).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otivation in school context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3, 73-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