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Based on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The Cultural Complex at the Thames River-

장소성의 개념을 적용한 건축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템스 강 복합문화공간 계획안-

  • Received : 2016.08.03
  • Accepted : 2016.11.10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is an architectural design thesis aimed at designing a building at the River Thames in London, which could float along the river and be anchored in the river, in terms of the concept of the sense of place. The proces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concepts of sense of place, placelessness, and non-place were examined and the sense of place of River Thames was analyzed. Second, th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could be applied to architectural desig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architecture, form of architecture, and behaviors of peoples. Third, the architectural design concepts and programs were specified based on the planning elements and a cultural complex that floats on the River Thames in London, England was proposed.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by the cognition of architecture and people's activity, and this study claimed that the sense of place could be materialized by the metaphorically inherent property of the architecture.

본 연구는 장소성의 개념을 건축공간 계획에 적용하고자 하는 설계연구이다. 본 연구의 계획 대상지는 영국 런던의 템스 강으로 강을 따라 이동하고 필요에 따라 강변에 정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을 계획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성과 무장소성, 그리고 비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템스 강이 갖는 특수한 성격의 장소성을 분석한다. 둘째, 장소와 건축물과의 관계, 건축물의 형태, 그리고 사용자의 행위의 세 가지 관점에서 각각의 계획개념을 계획안에 적용될 수 있는 계획요소로 정리한다. 셋째, 정리된 계획요소를 건축 프로그램으로 구체화하여 최종 결과물로서의 영국 런던의 템스 강에 부유하는 복합문화공간 계획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건축물의 인식과 건축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위가 상호보완적으로 장소성을 형성한다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안은 건축물이 위치하는 템스 강의 물리적, 자연적, 그리고 물질적 특성을 건축물이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 그 자체에 의한 장소성이 아니라 은유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내재되어 있는 속성으로서의 장소성을 구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E. Relph, Place and Placelessness, p. 114, 103, 290, Nonhyung, 2005.
  2. S. H. Hong, J. S. Park, S. B. Im,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for Sense of Place, Proceedings of the 2011 Symposium on Korea Landscape Council, pp. 39-52, 2011.4.
  3. J. Y. Uhr, H. K. Yuh, A Study on Place Value on the Notion Place,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6), pp. 21-34, 2010.
  4. S. H. Lim, Theoretical Approach on the Modern Space and Placeness - Focused on Foucault and Lefebvre's discussions of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6), pp. 185-192, 2014. DOI: http://dx.doi.org/10.5659/JAIK_PD.2014.30.6.185
  5. H. M. Jung, A Review of Studies on 'Non-place' of Marc Auge, Cross-Cultural Studies, 19(1), pp. 107-141, 2013.
  6. S. J. Shin, S. W. Kim, Y. C. Jeon,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lace using Digital Technology,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3(1), pp. 149-152, 2013.
  7. J. W. Kim, The Thames Riverside Village, The Essay Time, 1, pp. 131-133, 2006.
  8. J. H. Lee, The Landscape Management Plan for the Image Enhancement of the City of London, Planning and Policy, pp. 86-9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