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n Characteristics of Shared Housing through the Boundaries of Shared Space - A Focusing on the case of Urban Area in Domestic and Overseas -

공유경계를 통해 본 공유주거의 계획특성 - 국내외 도심 속 사례를 중심으로 -

  • 강수경 (가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김용성 (가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6.10.31
  • Accepted : 2016.12.14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According to Plato's ontology, we lead our lives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society. However in rapidly changing era, our lives was gradually moving towards personal tendency. Even for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not with others. Thus, awareness about owning properties has changed due to the sociocultural factors and increas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So in this study, the considerations for single-person housing were perceiv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the elements making spatial boundary of shared housing were drawn to make rational space sharing based on the boundary with others and of the living environment. With overall analysis based on the spatial boundary features of planned shared housing, the pla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atial boundary of the current shared housing is to be drawn and analyzed. Third, The expressive and structural features of spatial boundary as above appear with mutual flexible connectivity,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modularity was the highest. Among them variable coupling modularity of shows how it is possible to combine efficiently and variously the private and public spaces with regularity of 'space of optimal unit'. This study drew plan characteristics from more detailed space border of shared housing. Therefore, The basic framework of the characteristics spin for the cases that newly emerge later on.

Keywords

References

  1. Amos Rapopot, 이규목 옮김,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85
  2. Edward Hall, 최효선 옮김, 숨겨진 차원, 한길사, 2013
  3. Henri Lefebvre, 양영란 역자,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4. Otto Friedrich Bollnow, 이기숙 옮김,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5. 국토해양부.한국주거학회, 미래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주택건설 방안 연구, 한국주거학회, 2008
  6. 남경희, 플라톤, 아카넷, 2013
  7. 서용식, 도시형 생활주택, 매일 경제 신문사, 2009
  8. 전남일. 손세관. 양세화. 홍형옥, 한국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2008
  9. 주거학연구회, 세계의 코하우징, 교문사, 2000.
  10. 지순 외, 집, 간삼건축, 2014
  11. 김진영, 실내공간에 나타난 경계의 모호성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5
  12. 김형자, 싱글사회를 위한 공유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4
  13. 성민호, 1인 가구를 위한 도심형 쉐어하우스 계획특성 및 개발 방향, 선문대 석사논문, 2014
  14. 윤소연, 공유 주택의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15
  15. 이혜복, 소규모 도시형생활주택의 주거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동북부지역 소재 원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 석사논문, 2012
  16. 임연주, 도심형 셰어하우스 內커뮤니티 계획에 관한 연구:타임셰어(Time share) 개념을 바탕으로, 홍익대 석사논문, 2013
  17. 김도연, 1인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기준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 2010 v.1(춘계)
  18. 김아롬 외, 대학생 1인가구의 주거중요도와 쉐어하우스에 대한 인식 및 선호,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학술 2014 v.1(춘계)
  19. 김한수, 주택 평면을 통한 원룸 주거 공간 분석 :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제25권 제3호, 2014
  20. 윤득근,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19권, 2015
  21. 이슬기 외 2인, 20-30대 남녀의 주거의식과 1인 주거 형태의 선호도, 한국주거학회 학술, 제25권 제2호 2013
  22. 이희원 외 3인, 1인가구를 위한 도시형 쉐어하우스의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6권 제3호, 통권 61호, 2014
  23. https://cbubu.hituji.jp
  24. ttp://d-well.in
  25. http://dic.naver.com
  26. http://shindonga.donga.com/3/all/13/112803/1
  27. http://ma-ga-ri.com/magari/007_ykhm_apartment
  28. http://www.archdaily.com
  29. http://www.cbsnews.com
  30. http://www.dailycnc.com
  31. http://www.etoday.co.kr
  32. http://www.hankyung.com
  33. https://www.the-share.jp/?p=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