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경원, 2015, "한반도'의 개념과 내재적 문제,"문화역사지리, 27(3), 1-17.
- 강창숙, 2008, "학생들의 '북부지방' 이해에 대한 특성과 지역이미지,"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79-96.
- 고유환, 2009, "북한연구 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통일과 평화, 1, 29-71.
- 고유환, 2015, "분단 70년 북한연구 경향에 관한 고찰," 통일정책연구, 24(1), 29-54
- 곽영호, 1999, "북한 민항공노선의 지리학적 고찰," 국토지리학회지, 33(3), 173-183.
- 국토지리정보원, 2013, 한국지명유래집-북한편 I.II, 대한지리학회.
- 권동희, 1994, "한반도 통일 관광교통 체계구상," 관광지리학, 4, 373-390.
- 권혁재, 1991, "국토지리-왜 배워야 하나?," 대한지리학회지, 26(3), 253-258.
- 김기혁, 2013,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4-30.
- 김기혁, 2014, "도로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구조 변화 연구," 문화역사지리, 26(3), 33-54.
- 김덕현, 1996, "통일을 준비하는 국토 정비 방향,"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12(1), 5-16.
- 김덕현, 1997, "북한지리 교재 연구,"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13, 5-16.
- 김동성, 2015, "통일경제특구를 넘어 한반도 국제협력지 도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39-39.
- 김두일.이형호.한욱, 1993, "GIS기법을 이용한 최적입지 선정 연구 서울-동두천간의 최적 방어지역 선정," 대한지리학회지, 28(2), 137-147.
- 김두일.한욱.정상조, 1998, "위성 영상을 이용한 황해도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연구," 지리학연구, 32(4), 135-146.
- 김상빈, 2003, "동독지역의 지역지리 최근 연구동향: 라이프찌히 지역지리연구소의 연구활동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37(2), 91-105.
- 김상빈, 2004, "통독이후 동독 주택시장 상황의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38(2), 127-142.
- 김상빈.이원호, 2004, "접경지역 연구의 이론적 모델과 연구동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117-136.
- 김상태, 2015, "통일 한국의 관광개발 방향,"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24-124.
- 김성민.박영규, 2013, "통일학의 정초를 위한 인문적 비판과 성찰," 통일인문학, 56, 85-113
- 김재완, 2003,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53-168.
- 김재진, 2015, "북방시대 강원도 철도의 역할,"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40-40.
- 김재한, 1994,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지향적 개선방향 모색," 지리학논총, 23, 1-11.
- 김재한, 1996, "통일후 북한의 대량 난민문제에 대비한 접경지역 개발,"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12(1).
- 김재한, 1999, "통독 이후 군용부지의 민수용 전환과 지역 개발," 대한지리학회지, 34(4), 435-448.
- 김재한, 2001, "접경지역 지원법 운용과 지원 효과의 한계," 국제문화연구, 19(2), 청주대학교.
- 김재한, 2003, "한국 사회정치지리학의 조류변화," 교육과학연구(청주대학교), 16(2), 127-145.
- 김재한, 2009, "서해5도의 지정학적 고찰," 청대학술논문집, No 13 S-3, 1-26.
- 김재한, 2014, "동북아 국제정치질서와 한반도 북방경계선의 변천," 청대학술논문집, No 24 S-8, 67-86.
- 김진영, 1998, "남.북한 자연지리 용어의 비교," 청주지리, 13, 51-60.
- 김창환, 2007a,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4), 454-460.
- 김창환, 2007b, "북한의 GIS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89-197.
- 김창환, 2009a, "DMZ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96-105.
- 김창환, 2009b, "DMZ와 그인접 지역의 지형경관 조사와 활용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3), 317-327.
- 김창환, 2011, DMZ 지리 이야기, 살림터.
- 김창환, 2013, "GIS를 이용한 강원 평화지역 지오파크(Geopark) 거점시설 최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3), 31-42.
- 김창환.김귀곤.최영은.김상식.신중열, 2010, "민통선, 비무장 지대(DMZ)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동해 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3(6), 63-74.
- 김창환.이태희, 2013, "GIS를 활용한 민북마을의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121-140.
- 김창환.정성훈.배선학,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모델과 지리공원-강원도 DMZ 지리공원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발표논문집, 21-23.
- 남상준, 1982, "전북 김제지방의 북한 난민 개척촌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지리교육, 12, 43-61.
- 남상준, 1993, "북한지리교육의 정향," 사회과교육, 26, 150-160.
- 남영우, 2005, "사회주의 도시 평양," 한국도시지리학회 동계학술대회기요.
- 남종우, 2014, "북한의 지정학적 담론과 그 변화," 2014 대한지리학회 발표논문집, 127-130.
- 데게 에카르트(E. Dege), 1995,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Eye's of a German Geographer: The Comparison of Spatial Structure,"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 류우익, 1989, "국토의 재인식-문제와 미래상," 지리학논총, 별호7, 7-18.
- 류우익, 1993,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동북아권," 대한지리학회지, 28(4), 312-320.
- 류우익, 1995, "통일국토의 공간구조 개편,"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 류우익, 1996, "통일 국토의 미래상: 공간구조 개편 구상," 대한지리학회지, 31(2), 44-56.
- 류우익, 2010, "지정학적 화해를 위하여," 지리학논총, 55.56합본, 1-8.
- 류호상.김상빈, 2004, "경기도 접경지역 환경부하의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157-170.
- 문남철, 2004, "북한이탈주민의 이주 요인과 이주 패턴 및 이주 경로," 국토지리학회지, 38(4), 497-511.
- 문순철, 1999, "통일 이후 북한의 농촌 주택 문제의 전망과 대책," 한국지리학대회-북한지리분과-발표논문집.
- 문순철, 2000, "통일 이후 북한 농촌 주택문제의 전망과 대책," 국토지리학회지, 34(1), 1-12.
- 박 경.김창환, 2012, "강원도 양구, 화천 일원의 분지 지형과 지오투어리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9(4), 97-108.
- 박삼옥.이원호.이현주.김상빈.정은진, 2005, 사회.경제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소외성과 낙후성의 형성과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 박삼옥.허우긍.박기호.박수진, 2007, 북한 산업개발 및 남북 협력방안-지리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 박순호, 2016, "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68-179.
- 북한연구학회, 2012, 분단 반세기 북한연구사, 2판, 한울.
- 사공호상.서기환.한선희, 2007, "북한지역 국토이용 DB구축연구," 한국GIS학회지, 15(3), 323-333.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1989, "한국 사회의 발전과 국토구조의 재편성," 지리학논총 별호 7.
- 손용택, 1993, "북한의 조선지리 교과서 내용 분석," 사회과교육, 26, 168-182.
- 손용택, 2004, "남북한 지리교과서 내용구성의 체제 탐색과 대북미관," 국토지리학회지, 38(3), 199-214.
- 송호열, 2004, "금강산 관광 사업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4(2), 1-35.
- 신성희, 2006, 장소의 선택적 조성과 자산화-북한 금강산 관광특구의 개발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성희, 2016, "'금강산'에서 전승되는 아름다움의 장소신화: 사회적 자연과 명산의 여행지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51-167.
- 안영진, 2001, "독일 통일과 구통독지역에 대한 공간정책," 국토지리학회지, 35(3), 261-272.
- 안영진, 2012,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구동독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6(4), 445-456.
- 안재섭, 2004, "두만강 하류 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하산 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38(2), 155-165.
- 안재섭, 2013a, "북한 도시연구를 위한 도시지리학의 주요 연구방법 검토,"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2), 21-33.
- 안재섭, 2013b,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의 평성시와 함흥시의 도시 공간구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4), 161-176.
- 오인혜, 2007, "탈북자의 고향의식과 그 변화," 지리학논총, 49, 1-22.
- 오인혜, 2013,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과 행동양식-장소심리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인혜, 2014,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 유형과 대북 NGO 특성: 장소심리학적 접근," 공간과 사회, 50, 118-157.
- 오인혜, 2016, "탈북자의 토포필리아와 사회적 의미," 공간과 사회, 26(2), 264-299.
- 유진삼.김추윤.권원기, 1998, "남북통일에 대비한 경기 북부 접경지역의 개발방안," 국토지리학회지, 32(3), 17-44.
- 유진삼.김추윤.권원기, 2001, "남북 철도 복원에 따른 중.러.몽골 대륙철도망과의 연계와 효과," 국토지리학회지, 35(3), 283-296.
- 윤옥경, 2004, "북한지역에 대한 초.중등 학교 학습자료 개선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27-341.
- 윤옥경, 2009,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6), 820-833.
- 윤옥경, 2010,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통일에 대한 태도의 관계-서울 지역 중학교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69-279.
- 이간용, 1998, "북한의 지리학 연구 동향," 지리.환경.교육, 6(2), 127-139.
- 이간용, 2000, "북한 지역의 인구지리적 고찰," 지리교육논집, 44, 44-53.
- 이건영, 1995, "분단 반세기의 남.북한 공간구조,"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 이광률, 2005, "북한소설 '대학시절'에 나타나는 지리학 및 지리관,"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4, 59-69.
- 이기석, 2003, "외관으로 본 북한 평양 정주 묘향 지역," 지리교육논집, 47, 36-46.
- 이기석, 2014, "혼돈기의 지리학자 정갑(1904-1988) 교수의 생애와 활동," 지리교육논집, 58, 47-73.
-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2002, "나진-선봉 경제 무역지대의 입지특성과 지역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7(4), 293-316.
-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2012, 두만강 하구녹둔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이기석.이옥희.최한성, 2002, "북한 지리학 연구동향에 대하여," 지리교육논집, 46, 84-90.
- 이기석.최한성.강지영, 1999, "금강산의 장전항의 지리," 지리교육논집, 41, 2015-01-14.
- 이민부, 2004, "북한의 지리교육,"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3, 119-141.
- 이민부, 2005, "북한의 농업,"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4, 85-92.
- 이민부, 2015, "통일시대를 대비한 한국의 지리학 연구,"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07-108.
- 이민부, 최한성, 김남신, 신근하, 2003, "Landsat 영상을 활용한 지리학습교재 구성방안-고등학교 한국지리 북한 관련 단원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2), 17-28.
- 이민부.전종한, 2005, "'추가령'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 이민부.김남신.강철성 외, 2003, "북한 회령지역의 농경지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추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373-384.
- 이민부.최석주, 2008, "북한의 인구와 농업의 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6), 709-717.
- 이상준, 2001, "경제적 구조 변화에 따른 북한의 국토개발 전망,"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3-116.
- 이상준, 2015a, "통일한반도 국토비전과 과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23-123.
- 이상준, 2015b, "북한지역 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LHI Journal, 6(2), 101-106.
- 이승욱, 2012, "개성공단의 지정학, 예외공간, 보편공간 또는 인질공간," 공간과 사회, 26(2), 132-163.
- 이승욱, 2015, "북한의 영역화, 개발구, 분권화,"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260-260.
- 이양우, 1993, "북한의 지리교육-남북한 지리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하여-," 사회과교육, 26, 129-149.
- 이영택, 1994, "북한의 지명 변혁과 지명의 유형," 아세아연구, 91, 41-54.
- 이영희, 2006a,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 문화지명의 유래와 특성," 한국학연구, 24, 237-268.
- 이영희, 2006b, "지명속에 나타난 북한 개성시의 자연경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1(3), 283-300.
- 이옥희, 2004,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3), 344-359.
- 이옥희, 2011, 북.중 접경지역, 푸른길.
- 이옥희.남영.이기석, 2001, "최근 나진.선봉의 현황과 지역 특성,"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7.
- 이원호, 2005, "개성공단 개발과 월경적 지역 경제 발전 방향의 모색," 지리학논총, 45, 297-314.
- 이인희, 1986, "8.15와 6.25를 전후한 북한 출신 피난민의 월남 이동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3, 47-68.
- 이장춘, 2000, "통일 한반도 경영을 위한 관광정치지리학적 접근," 관광정책학연구, 6(1), 7-43.
- 이재하, 1996, "북한의 국토개발과 지역간 경제 격차," 대한지리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이재하, 2000, "북한의 지역격차와 균형개발전략," 대한지리학회지, 35(1), 77-93.
- 이 전, 1998, "북한의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분석,"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14(1), 123-155.
- 이 전, 2005, "북한의 지리교과서에 대한 일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6), 607-619.
- 이정훈, 2015, "접경지대의 변화과정과 전망: 북한-중국, 미국-멕시코접경지대의 초국경 생활.경제권 형성사례,"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37-38.
- 이 찬, 1984, "백두산의 자연지리 조건과 인문환경," 북한, 1984. 8, 68-75.
- 이채문, 2003, "러시아 극동지역의 북한노동력과 러시아인의 인종편견에 관한 연구 중국노동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1), 1-23.
- 이희연.홍현철.최재헌, 1997, "통일을 대비한 북한지역의 국토공간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반도 통일론: 전망과 과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377-437.
- 임덕순, 1969, "한국의 공간변화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 26-40.
- 임덕순, 1972, "한국 휴전선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8, 68-75.
- 임덕순, 1990, "양독 통일화 동태의 정치지리학적고찰: 관계열강의 입장과 그 변화(1989. 11-1990. 8)," 대한지리학회지, 25(2), 23-34.
- 임덕순, 1996, "한국 정치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일반-50년의 회고와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1(2), 295-308.
- 임은진, 2012, "6.25전쟁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장소," 문화역사지리, 24(2), 155-166.
- 임현진.정영철, 2005, "21세기 통일 한국을 향한 모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 장윤정, 2013, 인천상륙작전 영화속 장소 재현: 제작자 포지셔낼러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윤정, 2014, "인천상륙작전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 대한지리학회지, 49(1), 77-90.
- 정 철.장민청.황희연, 2012, "개성공단 입지결정요인에 대한 전문가와 기업의 인지도 비교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6(1), 67-83.
- 정영철, 2007, "북한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 현황과 전망," 통일학연구원,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73-87.
- 정은진.김상빈.이현주, 2004, "경기도 접경지역의 실태: 정치적 환경과 경제기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137-156.
- 정현주.정희선, 2014, "남북 분단을 소재로 한 영화속 정치적 담론과 장소의 재현," 문화역사지리, 26(2), 83-103.
- 조우현.조영주, 2015, "분단연구의 동향과 과제," 북한학연구, 10(2), 35-63.
- 지상현.Colin Flint, 2009, "지정학의 재발견과 비판적 재구성," 공간과 사회, 31, 160-199.
- 지상현, 2013, "반도의 숙명: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에 대한 비판적 검증," 국토지리학회지, 47(3), 291-301.
- 지상현, 2015, "지정학적 담론과 실천으로서의 반통일 담론의 구성: 한국계 중국인을 사례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258-258.
- 진종헌, 2005, "금강산 관광의 경험과 담론분석: '관광객의 신선'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 문화역사지리, 17(1), 31-46.
- 최병두, 2003a, "북한의 환경문제와 통일을 위한 생태 전략," 사회과학연구(대구대학교), 2(2), 343-396.
- 최병두, 2003b, "신제국주의, 미국의 신안보전략, 그리고 동아시아의 미래," 대한지리학회지, 38(6), 887-905.
- 최병두, 2004a, "국제환경안보와 동북아 국가들의 한계," 대한지리학회지, 39(6), 933-954.
- 최병두, 2004b, "미국의 신제국주의와 동아시아의 미래," 마르크스주의 연구(경상대학교), 1(1), 166-206.
- 최병두, 2015, "분단 및 통일 담론과 한반도 공간계획: 관계론적 접근,"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21-122.
- 최석주, 2003, "북한의 지명-북한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7, 235-251.
- 최석진.남상준.류재명.손용택.이동엽, 2000, "북한 고등 중학교 지리 교과서 분석연구," 사회과교육, 33, 283-308.
- 최정호.박선미, 2013, "북한 이탈주민 거주지 분포의 특성화 영향 요인-경기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71-85.
- 최정호.박선미, 2014,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특성의 거주지 선택에 미친 영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83-98.
- 최한성.안재섭, 2001,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자연과 토지이용,"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
- 하태기, 1993, "북한 초등 사회과교육의 현황-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과 관련내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26, 297-312.
- 하태기, 2000, "남북한 중등학교 지리교육 연구: 교과서를 중심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문제연구원, 1997, 한반도 통일론: 전망과 과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 한균형, 1987, "인공위성 사진을 이용한 북한 쌀 생산량 추정," 지리학논총, 14, 311-320.
- 한병선, 2004,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리학습 콘텐츠 개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4(2), 99-104.
- 한봉희, 1993, "북한의 세계지리교과서 분석," 사회과교육, 26, 161-167.
- 한주연, 2005, "(북한) 환경문제 및 농업침체와 인구변화,"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4, 70-84.
- 한지은, 2001, "중국 단동시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11.
- 허 련, 2011, "개성공단 개발 사업의 성과와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46(4), 518-533.
- 허만호, 2014, "산림훼손에 대한 북한정부의 주민통제와 인권협상론의 관점에서,"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 발표논문집, 12-20.
- 형기주, 1963, "국토통일-지정학상의 가능성," 20세기 한국(홍이섭.조지훈 편), 박우사, 170-185.
- 홍 민, 2007, "급변하는 한반도와 통일학(북한학)의 발전 방향," 통일학연구원,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89-112.
- 홍 민, 2011,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분단연구," 동향과 전망, 83, 47-78.
- 홍금수, 2009, "역사지리의 파국적 단절과 미완의 회복," 문화역사지리, 21(3), 104-138.
- 황만익.이기석, 2005, 북한 산업 지역 재조직 및 개방지역 확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 황진태, 2015, "지정학, 안보화(secutitization), 자연: 평화의 댐 건설을 사례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261-261.
- 황희연, 1999, "통일대비 통합국토정비 정책 방향에 대한 일고,"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 95-105.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홈페이지 http://www.riss.kr
- 한국학술정보(주), 홈페이지 http://www.kiss.kstudy.com
- 한국연구자정보, 홈페이지 https://www.kri.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