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n the Application by Finding Errors in the Learning of Figure

도형 학습에서의 오류 찾기 활동의 적용 효과

  • Received : 2015.12.22
  • Accepted : 2016.01.29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case of error became the object of learning, and the investigator applied these cases to an actual class and established three study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udents' errors in figure based on before achievement test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most errors occurred in the figure was the ones from deficient mastery of prerequisite concepts and definitions. Specially, the errors from deficient mastery of prerequisite concepts and definitions have the majority. it is very high ratio even if it considers an influence of an evaluation question item. so, I think it is necessary to teach concept related figure above all. Second, as the results of application 'finding errors' to a clas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reasoning ability within significance level 5%. This means 'finding errors'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 that it develops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reasoning ability.

본 연구는 초등수학의 여러 영역 중 도형 학습에서 오류 찾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 유형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는 부정확한 개념과 정의에 의한 오류(55.8%)이며, 문제해결을 기피하는 오류(14.8%)를 제외하면, 시각적 자료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오류(11.4%), 문제 자료를 곡해하는 오류(9.2%), 기술적인 오류(6.2%), 논리적으로 부적절한 추론으로 인한 오류(1.6%), 문제 자료를 불충분하다고 여기는 오류(1.0%) 순으로 나타났다. 오류 찾기 활동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사전 및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와 추론 능력 검사에서 유의수준 5% 이내의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 이는 오류 찾기 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추론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교수 방법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Ministry of Education (2009). Mathematics Curriculum 2009-41.)
  2. 교육과학기술부 (2014). 4-2 교사용 지도서.(주)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 4-2 Teacher's Guide Book. Chunjae Education.)
  3. 김옥경 (1991). 고등학교 수학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의 분류모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Kim, O. K. (1991). (A) study on classified model for Mathematical errors in high school. Master's Thesis in Ewha Womans University.)
  4. 송영기 (1994). 오진 분석을 통한 사고과정 프로그램화가 나눗셈의 계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현장연구논문. 인천직할시(Song, Y. G. (1994). Effect on Division Calculation Ability by Thinking Programmed Learning Through Error Analysis. Action Research. Incheon Metropolitan City.)
  5. 임지현 (2005). 도형 학습에서의 오류 찾기 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Lim, J. H. (2005). The Effect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Reasoning ability by Finding Errors in the Learning of Figure. Master's Thesis i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장영은 (2003). 도형과 관련된 문제해결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Jang, Y. E. (2003). An Analysis on Err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eometric Problem Solving Proces s. Master's Thesis in Jeon- 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차승진 (2001). 문자와 식 단원에서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오류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Cha, S. J. (2001). Study on analysis of errors and corr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ability in chapter 'symbol and expression'. Master's Thesis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최진희 (1992). 수학에 관한 국민학생의 오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Choi, J. H. (1992). The Investigation of Misconception o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Master's Thesis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한미진 (2002). 소집단 토의 학습이 추론 능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Han M. J. (2002). The Effect of Small Group Discussion on Improving Reaso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Students. Master's Thesis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Cited by

  1. 고등학교 기하와 벡터 과목에서 풀이과정 서술의 오류 분석 vol.56, pp.1, 2017, https://doi.org/10.7468/mathedu.2017.56.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