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난 백년간 많은 영화가 꿈의 강박관념과 억압된 소망에 대한 충족을 표현하는데 급급하여 프로이드의 주장처럼 마음 속 깊이 은폐되어 있던 무의식속 욕망이 위장된 형식을 통해 드러나며 희망의 실현을 추구하는 실제 꿈의 형식과 같이 표현되어 온 영화는 극히 드물었다. 특유의 난해함과 몽환적인 구조와 스토리로 잘 알려진 명장데이빗 린치 감독은 그의 대표적인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에서 꿈의 이미지 프레젠테이션 과정과 형식을 보다 더 꿈과 같은 몽환적인 느낌으로 표현하는데 성공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낯설게 묘사된 그의 영화 구조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연구를 토대로 비교분석하여 그가 어떻게 리얼하게 꿈을 표현했는지를 분석하려한다. 통념적으로 꿈의 세계는 완전히 시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 사물에 대한 느낌이 가장 관건이며 이것이 바로 꿈의 세계에서 우리에게 현실과 같은 사실적인 체험을 제공해줄 수 있는 핵심적인 이유임을 보다 더 리얼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or the past hundred years, since many films have only been focusing on expressing suppressed desire and obsession, there have been few films in which unconsciousness desire is expressed and pursuing dream comes true as Freud says. Well known for a convoluted and dreamy structure and plot, David Lynch successfully represents a real dream sequence with his own way of image presentation form in his representative film "Mulholland Drive (2001)". In this study, I attempt to analyze how he expresses the realistic dream sequence with a strange film structure based on Freud's psychoanalysis. In general, dream world is known as completely visual matter, but the feeling of things is more important for making a realistic dream and it is the main reason that we can have more realistic experiences in a d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