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재생사업 적용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 - 전주TB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 A Case Study of Jeonju Test-Bed -

  • 투고 : 2015.05.06
  • 심사 : 2015.11.24
  • 발행 : 2016.02.01

초록

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각광받고 있는 도시재생사업계획시 탄소저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며, 전주시 TB지역에서 논의되었던 실제 사업을 중심으로 실증코자 한다. 우선, 전주시의 구도심인 TB지역을 대상으로 문제점 및 잠재력을 분석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도시재생사업을 전략적으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각 사업별, 저감시나리오별 탄소 발생량 및 저감량을 분석하였다. 탄소배출원 분류는 IPCC에서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분류체계를 작성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통한 배출량 산정법, 기존 탄소 배출량 산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Down-Scaling 산정법, 원단위를 활용한 배출량 산정법,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정법(건축물 분야)을 서로 연개하여 탄소배출량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은 102,149tCO2eq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건축물' 부분의 배출 비중이 약 70%으로서, 도시재생사업시 건축물 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해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대상지역의 2020년의 탄소배출량은 2011년 대비 3,826tCo2eq 만큼 자연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상가 공실률 증가와 산업체 수 및 주거지역 인구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대상지역에 대해 5개의 분야(도시환경, 토지이용, 녹색교통, 저탄소 에너지, 녹색건축물)에 걸쳐 도시재생 전략사업을 적용 하였을 경우 총 10,628tCO2eq 만큼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축물 부문에 한정하여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세웠을 경우 탄소 저감량은 4,857tCO2로 15.47%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재생에 따른 탄소저감량을 높이기 위해서 시나리오 A, B, C로 구분하여 각 사업별 목표치를 설정하여 예측한 결과, 시나리오 A가 약 5%, B가 11%, C가 15%로 분석되어 최소한 11%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B를 도시재생 사업의 탄소저감 목표치로 설정하여 중장기 사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정부 정책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의 구체적인 계획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의 환경정비를 위한 재생의 이슈와 함께, 기후변화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노력을 종합해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 countermeasure to resolve climate change issues by analyzing the carbon-reduction effect of Jeonju test-bed cases. First,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designed for city, Jeonju by analyzing its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tential improvement. Then, carbon emission and reduction amounts are evaluated for different businesses and scenarios. Carbon emission sour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standard suggested by IPCC, and the emissions are calculated by various standard methods. The result shows that carbon emission amount in Jeonju test-bed is 102,149 tCO2eq. The fact that 70% of the emission from energy sector originates from buildings implies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concentrate on building portions to effectively reduce carbon emission. It is also projected carbon emission will decrease by 3,826tCo2eq in 2020 compared to 2011, reduction mainly based on overall population and industry shrinkage. Wh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pplied to 5 urban sectors (urban environment, land use, green transportation, low carbon energy, and green buildings) total of 10,628tCO2eq is reduced and 4,857tCO2 (=15.47%) when only applied to the green building sector. Moreover, different carbon reduction scenarios are set up to meet each goal of different sectors. The result shows that scenario A, B, and C each has 5%, 11%, and 15% of carbon reduction, respectively. It is recommended to apply scenario B to achieve 11% reduction goal in a long term.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a valuable guideline for planning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relative policies by analyzing the present urban issues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Ha, N. S., Kim, J. Y. and Kim, D. N.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ow-carbon strategies in the comprehensive plans of new york city, London, and Seoul."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5, No. 1, pp. 183-200.
  2. IPCC Revised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Th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
  3. Kim, B. S. and Jang, W. S. (2013). "A study on comparing the $CO_2$ emission estimating result for construction equi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4, pp. 1675-1682. https://doi.org/10.12652/Ksce.2013.33.4.1675
  4. Kim, T. H. (2011). "GIS based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for a local government uni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9, No. 4, pp. 81-89.
  5. Kim, Y. H. and Park, S. J. (2014). "Low-Carbon green planning elements and carbon reduction effec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With Case Study on the CBD of Cheongju City."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5, No. 1, pp. 167-182.
  6. Noon, D., James, S. C. and Eagland, M. (2000). "Economic regeneration and funding."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pp. 61-85.
  7. Park, H. K., Choi, C. K., Park, K. Y. and Lee, S. E. (2013). "Green growth master plan of jeonju regene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1-737.
  8. Park, H. K., Choi, C. K., Park, K. Y., Lee, S. E. and Shin, J. S. (2010). "Urban regeneration business 4 major construction and transport technology performance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1-411.
  9.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4). The study on the expansion plan of Seoul's cultural facilities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