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Indicators for Future Society

미래사회를 대비한 청소년의 생애학습역량지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Received : 2015.11.11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korean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to validate the structure of the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research aims, the indicators for assessing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were drawn by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they were validated and modified by expert review method and two surveys targeting youth. 28 youth experts participated in the expert review. Participants were 333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survey and 79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econd survey. As results, the 3 competencies and nine sub-competencies were developed: thinking(wholistic thinking, critical thinking, emotional thinking), intellectual tools use(language, mathematic and sci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arning adaptability(change capacity, intellectual curiosity, learning-dir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guidelines for developing various activities and establishing youth policies related to korean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이 연구는 21세기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국내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생애학습역량의 개념과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인들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을 개념화 하였으며, 이를 구성하는 하위 역량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생애학습역량의 구성체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및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생애학습역량지수의 타당성 조사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총 28명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생애학습역량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 71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3개 역량에 9개의 하위역량이 개발되었는데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은 사고력(통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감성적 사고력), 지적도구활용(언어능력, 수리과학능력, 정보통신활용능력), 학습적응성(변화수용력, 지적호기심, 학습주도성) 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지수의 구성체제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생애학습역량과의 차별성, 생애학습역량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윤정,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227-237, 2015.
  2. 김기헌, 김지연, 장근영, 소경희, 김진화, 강영배,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총괄보고서, 연구보고 08-R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3. 김기헌, 장근영, 조광수, 박현준, 청소년 핵심역량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I: 총괄보고서, 연구보고 10-R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4. 김기헌, 맹영임, 장근영, 구정화, 강영배, 조문흠,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 총괄보고서, 연구보고 10-R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5. 김창환, 엄문영, 김기헌, 김종민, 박종효, 박현정, 이광현, 이상돈,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 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2013-23,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박민아, "여성의 리더십역량이 직무 및 조직생활 만족, 경력경로 개발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289-299,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289
  7. 성은모,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1권, 제2호, pp.215-243, 2015.
  8. 성은모, 송상호, "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e-Learning 콘텐츠 테마분석," HRD연구, 제12권, 제2호, pp.89-112, 2010.
  9. 성은모, 최창욱, 김혜경, 오석영, 진성희,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117-144, 2015.
  10. 여성가족부,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11. 오헌석, 성은모, 미래인재의 조건과 인재개발 방향,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2012.
  12. 오헌석, 성은모, "융합인재역량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201-228, 2013.
  13. 조형선, 황선환, 방신웅, "청소년의 규칙적인 여가스포츠 참여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591-60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591
  14. 허희옥,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연구보고 KR 201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15. B. K. Beyer, "Critical thinking: What is it?," Social Education, April, pp.270-276, 1985.
  16.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pp.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17. P. A. Facione, The Delphi report.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Millbrae, Calif: California Academia Press. ERIC Doc. No. pp.315-423, 1990.
  18. L. Hu and P. M. Bentler,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Vol.3, No.4, pp.424-453, 1998. https://doi.org/10.1037/1082-989X.3.4.424
  19. D. McClelland, Introduction, In L. Spencer & S. Spencer(Eds.),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pp. 3-8).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20. J. Merrifield, Equipped for the Future-Research Report, Washington DC: NIFL, 2000.
  21. Ministry of Education, The New Zealand Curriculum: for English-medium teaching and learning in year, pp.1-13, 2007.
  22.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 mpetencies, 2015, September 12,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2005.
  2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Retrieved September 11, 2015 from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 2015.
  24. L. Spencer and S. Spencer,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25. S. Stein, "Equipped for the future content standards," Washington DC: NIFL, 2000.
  26. UNESCO, "Toward universal learning, Washington," D. C. : Center of Universal Education ant Brooking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