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a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heir Job Satisfaction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공은화 (대구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07.14
  • Accepted : 2015.08.10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meta-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reby look into the effect size of the two variables and their sub-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hose a total of 37 theses for analysis and collected 289 data for analyzing the effect size. Based on the data,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hei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e medium effect size on the basis of Cohen(1992) research. In the sub-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the correlation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with job satisfaction showed higher effect size than that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In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job and teaching efficacy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In terms of thesis type as a moderating variable, Ph.D dissertations showed higher effect size than journals or M.A. theses. As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on publishing year and the number of sample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연구방법인 메타분석(mata-analysis)의 방법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의 효과크기 및 두 변수의 하위변수 간 효과크기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메타분석 전용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Cohen(1992)의 기준으로 중간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 하위변수 중에서는 개인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직무만족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직무자체 신념이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다. 조절변수인 논문유형에서는 박사 학위논문이 효과크기가 높았으며, 출판연도와 표본 수는 메타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은화,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 구수진, 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 권성민,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 김난숙,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카돌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 김명숙,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 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비교,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김 신덕,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 수행 능력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 김아영, 김민정,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3호, pp.5-29, 2000.
  8. 노은아, 공공형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75-298, 2009.
  10. 박유미, 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서주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손은주, 박영태,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pp.233-253, 2011.
  13. 송영선, 이희수,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 및 조직효과성 관계," HRD연구, 제11권, 제2호, pp.115-151, 2009.
  14. 송주연, "성취목표와 학업성취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1호, pp.225-250, 2012.
  15. 오순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연구, 제27권, 제3호, pp.327-347, 2010.
  16. 오승희, 학교조직 효과성의 메타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7. 윤연희,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8. 이경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제8권, 제1호, pp.269-284, 2013.
  19.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0. 이성희, 박영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pp.31-50, 2007.
  21. 이세나,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 제14권, 제2호, pp.1-21, 2007.
  22. 이종만,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활동과 성과변수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기조절학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3. 이지원,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교사효능감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이현정, 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임선아, 정윤정, "메타분석을 통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검증," 교육학연구, 제51권, 제3호, pp.83-105, 2013.
  26. 임성택, 교사효능감, 서울: 강현출판사, 2011.
  27.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301-318, 2013.
  28. 전은주,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9. 조부경, 고영미, 박근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개념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24권, 제6호, pp.81-94, 2003.
  30. 채영란,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연구, 제8권, 제3호, pp.115-135, 2009.
  31. 최병학, 공공스포츠센터의 조직구조와 조직문화 및 조직유효성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2. 최옥련, 유구종,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201-224, 2013.
  33. 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4. 황외성, 행정기관의 서비스지향성이 내부고객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5. 황현아,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6.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 제12권, 제2호, pp.157-180, 2013.
  37. P. T. Ashton,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No.5, pp.28-32, 1984.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38. P. T. Ashton and R. B. Webb,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1996.
  39. A. Bandura, Self-efficacy, N.Y.: W.H. Freeman and Company, 1997.
  40. M. Borenstein, L. V. Hedges, P. T. Higgins, and H. R. Roth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INC, 2009.
  41. J. Cohen,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Vol.112, No.1, p.155, 1992. https://doi.org/10.1037/0033-2909.112.1.155
  42. C. H. Denham and J. J. Michael, "Teachers'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Vol.6, pp.39-63, 1991.
  43. S. Gibson and M. H. Dembo,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an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6, No.4, pp.569-582, 1984.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44. R. D. Goddard, W. K. Hoy, and A. Woolfolk-Ho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7, No.2, pp.479-507, 2000. https://doi.org/10.3102/00028312037002479
  45. I. M. Riggs,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Vol.74, No.6, pp.625-637, 1988.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46. R. M. Steers and L. W. Porter, "Employee commitment to organizations,"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Vol.99, pp.441-451, 1983.
  47. H. M. Weiss, "Introductory comments: Antecedents of emotional experiences at work," Motivation and Emotion, Vol.26, No.1, pp.1-2, 2002. https://doi.org/10.1023/A:1015138223398
  48. D. M. Zuckerman, "Stres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How does gender make a difference," Sex Roles, Vol.20, pp.429-444, 1989. https://doi.org/10.1007/BF00288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