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Development and Imple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Research in Recent 10 Years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 이재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15.07.13
  • Accepted : 2015.08.31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is, the articles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written in Korea from 2004 to 2014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number of articles analyzed is 202 in total: 41 doctoral theses, 88 master's theses, and 73 academic theses. Firstly, the basic trend of research of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examined per object and subject. Secondly, the trend of research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was examined by dividing the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ground for development, object of application, subject, type of program designing, the number and hours of the program, method of conducting the program, program educator, program effects.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made it possible to find out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in Korea. Such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on its basi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박사학위 논문 41편, 석사학위 논문 88편, 학술 논문 73편 등 총 202편이다. 먼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연구 동향을 대상과 주제별로 살펴보았다. 그다음,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을 개발 근거, 적용 대상, 주제, 프로그램 설계 유형, 프로그램 횟수와 진행 시간, 교수-학습 방법, 교육자, 프로그램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과정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운,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활용한 집단게임놀이 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김유정, 수용-전념치료 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 김정옥, 배나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 Vol.25, pp.69-90, 2003.
  4. 김정원, 이기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Vol.23, No.3, pp.183-197, 1999.
  5. 김진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교육과학사, 2005.
  6. 김진희, 초등학생 부모의 자기주도적 학습 지도능력 신장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7. 김혜경,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개발연구의 동향분석," 아동과 권리, Vol.18, No.3, pp.331-366, 2014.
  8. 노명숙,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9. 민성혜, 어머니 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인지․언어 발달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박수향, 부모역할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양미지, 김은경, 이상희,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12. 윤기영, 서지영,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교육발전, Vol.20, No.1, pp.129-155, 2001.
  13. 이경렬, 저소득 가정 어머니-유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언어 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4. 이소희, 이민경, "국내의 부모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분석: 1970년대 이후 부모교육 연구동향 중심으로," 부모교육연구, Vol.1, No.1, pp.107-133, 2004.
  15. 이숙영, 이윤주, 정혜선,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Vol.14, No.3, pp.637-653, 2002.
  16. 이완희, 최양미,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09년,"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 No.2, pp.87-109, 2009.
  17. 이재택, 자녀의 학업동기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8. 이정주, 이종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Vol.15, No.2, pp.943-967, 2014.
  19. 전춘애, 이미숙,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최근 10년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8, No.3, pp.1-29, 2003.
  20.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박희경,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3, pp.365-387, 2013.
  21. 정옥분, 정순화,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 양서원, 2002.
  22. 한이혁,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경향 분석: 1996-2005년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3. 허정무, "부모교육이론 및 프로그램 모형 분석:맞벌이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Vol.32, pp.389-428, 1995.
  24. 현미숙, 아동 부모교육․상담을 위한 부모역할 지능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5. A. E. Kazdin, Treatment of antisocial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omewood. IL: Dorsey Publication, 1985
  26. D. Dinkmeyer, Leaders resource guide: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STEP) of children under six kit, American Guidance Service, Inc. Minnesota, 1997.
  27. D. Koniak-Griffin, "Maternal role attainment.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25, No.3, pp.257-262, 1993.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3.tb00791.x
  28. D. R. Powell,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An analysis of program assumptions, In L. Katz(Ed.),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pp.121-139), Norwood, NJ: Ablex, 1984.
  29. D. Royse, B. A. Thyer, D. K. Padgett, and T. K. Logan, Program evaluation: An introduction(4th ed), Belmont, CA, US: Thomson Brooks Cole Publishing C, 428. 2001.
  30. J. H. Flavell, "Cognitive development: Past,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8, pp.998-1005, 1992. https://doi.org/10.1037/0012-1649.28.6.998
  31. J. J. Bigner, Parent-child relations, NY: MacMillan Publishing Co, 1985,
  32. J. Magill-Evans and M. J. Harrison, "Parent-child interactions, parenting stress, and developmental outcomes at 4 years," Children's Health Care, Vol.30, pp.135-150, 2001. https://doi.org/10.1207/S15326888CHC3002_4
  33. J. Wyatt Kaminski, L. A. Valle, J. H. Filene, and C. L. Boyle, "A Meta-analytic Review of components associated with parent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6, pp.567-589, 2008. https://doi.org/10.1007/s10802-007-9201-9
  34. K. Swick and S. Grave, Empowering at-risk families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93.
  35. L. R. Harris,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sixth-graders social competence at school,"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Vol.62, No.7-B, pp.3419, 2002.
  36. M. J. Fine and S. A. Henry, Professional issues in parent education, In M. J. Fine(E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pp.3-20,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89.
  37. P. Mantzicopoulos, "Flunking kindergarten after head start: An inquiry into the contribution of contextual and individual variabl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5, pp.268-278, 2003 https://doi.org/10.1037/0022-0663.95.2.268
  38. R. E. Culp, S. Schadle, L. Robinson, and A. M. Culp, "Relationship among parental involvement and young children's perceived self-confidence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91, pp.27-38, 2000.
  39. S. H. Landry, K. E. Smith, C. L. Miller-Loncar, and P. R. Swank, "The relation of change in maternal interactive styles to the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of full-term and preterm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69, No.1, pp.105-123, 199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37.x
  40. W. Dick, L. Carey, and O. James, Carey,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7/E,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