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7.28
  • Accepted : 2015.09.02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tors like self-esteem, social support, empower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As a result,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In other words, when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have highe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their life satisfaction becomes higher, too. Based on the findings, this author will make politic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new employment program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new social support networks and develop and connect resources. Third, the empowerment approach to provide customized employment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elderly is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 및 노인의 생활만족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는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가 높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사회적지지망 형성과 자원 개발 연결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일자리 욕구에 부합되는 맞춤식 일자리 제공과 같은 임파워먼트 접근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용식, "노인근로자의 인권침해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6호, pp.37-54, 2015.
  2.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60-17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60
  3.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지지, 정서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4.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23-13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23
  5. 정세희, 문영규,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4권, 제4호, pp.216-226, 2013.
  6. 박용두, 정민숙,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16-226, 2013.
  7.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 2014.
  8.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41-25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41
  9. 윤현숙, 구본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2호, pp.303-324, 2009.
  10. 엄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73-90, 2012.
  11. 조윤득, 윤은경, "대인관계적 임파워먼트가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57-80, 2011.
  12. B. Neugarten, R. Havighurst, and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13. R. J. Havighurst,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Vol.8, pp.67-71, 1968. https://doi.org/10.1093/geront/8.2.67
  14. 김기태, 박봉길,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비교,"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 제5권, pp.65-85, 1996.
  15. 최순남, 현대노인복지론, 서울: 학현사, 2002.
  16. 김소향, 이신숙,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09-327, 2009.
  17. C. A. Depp, and D. V. Jeste,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4, No.6, pp.6-20, 2006. https://doi.org/10.1097/01.JGP.0000192501.03069.bc
  18. 권치영, 김선응, 임중철, 이흥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427-433, 2007.
  19. R. C. Atchley, Adjustment to loss job at retirement, In schaie and geiwitz(Eds), Adult development and aging, Boston: Brown And company, 1982.
  20.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21. 강현옥, 황혜원,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4권, pp.89-110, 2009.
  22. 소희영, 김현리, 주경옥 "ICF 모델에 근거한 노인의 삶의 질 예측 모형," J. of Korean Acad Nurs, 제41권, 제4호, pp.481-490,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4.481
  23. E. Ferrans and J. Powers,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l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15, No.1, pp.29-38, 1992. https://doi.org/10.1002/nur.4770150106
  24.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 노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197-222, 2006.
  25. S. J. Choi, A study on development of life satisfaction scale of elderly, Seoul: Ehwa Women's University Korea Culture Training Institute, 1986.
  26.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1호, pp.61-81, 1999.
  27. 지은숙,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의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8. M. Rog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Y: Princeton Univ, Press, 1965.
  29. 김계하,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련 주관적 질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0. 배지연,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1. I. H. Staples, "Powerful ideas and empowermen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 No.2, pp.29-42, 1990. https://doi.org/10.1300/J147v14n02_03
  32. G. M. Spreizer, "An empirical tes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3, No.5, pp.601-629, 1995. https://doi.org/10.1007/BF02506984
  33. 이선영,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수준과 직무스트레스,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4. 김영범, 이승훈,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서울 및 춘천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1-1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