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iculties that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Cybe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nd Support Plan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 배진형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미현 (국제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1.03
  • Accepted : 2015.12.23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Many of them enter universities and major in social welfare in order to get jobs. As a required course, they must participate in field practicum and many difficulties are expec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orth Korean defectors' practicum experience in specific, and to support more effectively in the field work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ho go to G cyber university and have finished their field practicums, were interviewed in an in-depth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open coding through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Grounded theory's initial analysis. As the result, the following was found: 49 concepts, 18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and beginning with various obstacles; confusion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culture; tasks and functions that were not expected,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were burdensome to them; feeling a lack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evitable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nd 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better support in field practice education in the side of universities, community agencies, individual students and the general society were addressed.

최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 사회복지전공생의 증가와 더불어 필수과목인 사회복지실습에서의 경험탐색을 통한 적절한 실습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들이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실습을 마친 G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생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의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한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실습에서의 어려움은 49개의 개념, 18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로 최종 분석되었다. 범주는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인한 실습 진입의 어려움, 북한과의 차이로 인한 혼란, 기대와 다른 과업과 역할 수행, 부담되는 인간관계, 복지적 전문역량 부족감, 불가피한 환경적 어려움, 그리고 개인적 고충상황이었다. 이를 근거로 이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학교, 실습기관, 실습생과 사회의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unikorea.go.kr
  2. 김영일, 전혜연, 강선주, 기지혜, 권지성,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4호, pp.127-161, 2014.
  3. 이문숙,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의 on-line 대학교에서의 교육경험과 그들의 필요," 한국콘텐츠학회 2014 추계종합학술대회 자료집, pp.81-82, 2014.
  4. 박은미, 박준성, 정태연, "새터민 대학생의 적응에 스트레스 및 중재변인이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제17권, 제3호, pp.285-293, 2009.
  5. 이혜경,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체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 조영아, 전우택,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Vol.16, No.1, pp.167-186, 2004.
  7. 신희정, 박선아, "새터민 대학생의 체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3, No.1, pp.101-130, 2009.
  8. 김현아, "새터민의 남한 사이버 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pp.57-92, 2010.
  9. 박미정,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습지도 과정 및 내용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0. 주영애,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실습생을 중심으로, 상지대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김승용, 박은주,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7, pp.1-26, 2012.
  12. 배진형, 김희수, 안정선,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실습생의 어려움과 대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48, pp.1-43, 2014.
  13. 김진숙, 구혜영,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 사이버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Vol.5, No.1, 2009.
  14. 김주현, 전진호, "원격대학의 사회복지현장실습 3P-Plus모델에 관한 연구-사회복지현장의 실습수퍼바이저의 의견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2, pp.1-30, 2010.
  15. 김선영, 서원경, "보육실습현장에서 실습생이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 아동학회지, 제31호, pp.135-150, 2010.
  16. 한주빈, 양숙미, 오봉욱,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진로확신정도에 지도교수가 미치는 영향: 실습성과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83-205, 2014.
  17. 김현아, "북한이탈 성인학습자의 진로탐색 이행과정 연구: 사이버대학 경험자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Vol.26, No.2, pp.139-162, 2013.
  18. 엄미선, 김선아, 곽지영, "원격대학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직업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 지도요인들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5권, 제2호, pp.161-182, 2009.
  19. 최은희, "사이버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성과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Vol.11, No.12, pp.475-485, 2011.
  20. 김영호, 오정옥, 이은경,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이해, 양서원, 2004.
  21. 김희수, 안정선, 배진형, "사회복지실습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Vol.13, No.5, pp.740-752, 2013.
  22. 조해영,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심경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Vol.13, No.5, pp.311-321, 2013.
  24. S. J. Zunz and K. R. Oil, "A preliminary look at international students in MSW field placements at nonurban U.S. campuse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5, No.1, pp.131-137, 2009. https://doi.org/10.5175/JSWE.2009.200700012
  25. 최선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기초 이해에서 실제 조사까지, 공동체, 2012.
  26. 유태균,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나남, 2001.
  27. A. Jonson, "Increasing internationalization in social work programs,"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47, pp.7-23, 2004. https://doi.org/10.1177/0020872804036445
  28. 최옥채, 사회복지사를 위한 질적 연구, 신정, 2008.
  29. P. N. Stern,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gresses," In Grounded Theory, edited by B. G. Glaser, CA: Sociology Press, pp.29-40, 1995.
  30. A. C.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CA: Sage Publication, Inc., 1990.
  31. 박영희, 정순둘, 배진형, "지역사회복지관의 북한 이탈주민가족 사례관리모델 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4호, pp.87-11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