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ccident Patterns and Hazard Factor for Life Safety in Rental Housing Complex

임대주택단지의 생활안전 사고유형 및 위해요인 분석

  • Received : 2016.07.21
  • Accepted : 2016.08.03
  • Published : 2016.08.05

Abstract

The government has been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for stable life of low-income group since 1989. However, deteriorated public rental housing are likely to caused accident due to aging facilities.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accidents that occur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and analyzed the hazard factors for each type. First, identified the type of accidents that occur in apartment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Next determined the type of accidents that occur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analyzed the hazard factors through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basic information of planned and systematic management plan for safe and comfortable residental life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it can be utilized on the basis information that can improve the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to supply future public rental housing.

정부는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1989년부터 공공임대 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노후 공공임대 주택들은 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 임대주택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안전 사고의 유형을 조사하고, 각 유형별 위해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방법은 먼저 선행연구와 인터뷰조사를 통해 아파트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안전 사고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 임대주택단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생활안전 사고의 유형을 파악하고, 사고유형별 생활안전 위해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주거생활을 위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계획관리의 기본정보가 될 것이며, 향후 신규 임대주택공급 시 설계 및 관리방법 개선의 기초정보로 유용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희, 박병규, 노세희(2010),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 주거지 정비 수요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1):43-51. https://doi.org/10.6107/JKHA.2010.21.1.043
  2. 송애희, 김미경(2012), "신도시 공동주택에 나타난 무장애공간 계획개념 및 적용실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3): 114-119.
  3. 유종옥, 박재승(2011), "노인주거 복지시설 안전사고 실태조사에 의한 시설기준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논문집, 17(2):7-16.
  4. 정윤혜, 이유미(2010),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 안전한 공동공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2): 219 -226.
  5. 한국소비자원(2013), 2012년도 가정 내 안전사고 사례분석.
  6. 한국소비자원(2014), 어린이 안전사고 사례분석.
  7. 한국소비자원(2013), 2012년도 고령자 안전사고 사례분석.
  8. 한국소비자원(2011), 계단 사고 관련 위해 정보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