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광기, 김건엽, 김영복 등(2008). 보건교육사 제도정립의 방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5(2), 73-89.
- 김명(2013). 보건교육사 국가시험과목 타당성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 김영복(2010). 민간 의료기관에서 보건교육사의 활동 영역과 능력 개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2), 37-48.
- 남은우, 천성수(2010). 국제화와 보건교육사의 활동영역.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2), 49-57.
- 남철현(2010). 보건교육사의 어제, 오늘 그리고 미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2), 1-15.
- 박정운(2012). 신규 보건교육사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영아, 이주열(2010). 보건교육사의 질 관리 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2), 59-67.
- 이주열(2010). 공공부문에서 보건교육사의 활동 영역과 능력 개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2), 17-21.
- 최승희, 김명(2014).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 순위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1(5), 121-133.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5.121
- Aeree S, Jamie B(2010). The United States CHES program: The role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health educator.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Korean J Health Educ Promotion, 27(5), 63-71.
- Green LW, Kreuter MW(1999). Health promotion planning-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3rd ed, New York, Mayfield Publishing.
- McKenzie JF, Smeltzer JL(2001).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3rd ed, Allyn and Bacon Publication, MA.
- http://www.riss.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 http://www.kuksiwon.or.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6.
- http://www.nchec.org/ches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2016.
Cited by
- The recognition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qualification system of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in Busan vol.35, pp.2, 2018, https://doi.org/10.14367/kjhep.2018.35.2.103
- 임상병리기술학 전공 유사 취업연계 자격 현황 vol.50, pp.4, 2018, https://doi.org/10.15324/kjcls.2018.50.4.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