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Focused on Gwangju, Jeonnam Area-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이계상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민숙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10.20
  • Accepted : 2016.11.21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ire attitude of journalists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mpact and satisfaction of life in old age, and prepare, perform and enhance the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to suggest journalists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preparing for retirement. Surveyed a total of 233 additional analysis was used to journalists working in Gwangju, Jeonnam media. We used the SPSS 18.0 and 20.0 AMOS program to derive a result,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liability test for the variables, the model was subjected to structure analysis for the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were the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retirement prepar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journalists were retir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s that are ready to maximize retirement life satisfaction. Based on such findings, we propose a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the retirement attitudes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journalists.

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기, 조성숙, "중년층의 재무교육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11호, pp.117-132,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1.117
  2.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45-54, 2000.
  3. 권혁창, 이은영,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2호, pp.61-85, 2012.
  4. 김선화, 임왕규, "은퇴예정자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호, 제10호, pp.570-58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570
  5. 김일철, 김승일, "언론인의 공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주관성 연구, 제18권, pp.25-39, 2009.
  6. 김의진, "규칙적인 운동이 언론인의 마감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제19권, 제2호, pp.145-153, 2008.
  7.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3호, pp.97-119, 2010.
  8. 박상영, 조성제, "언론인의 직무 스트레스가 정서적 탈진과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3548-3556,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548
  9. 박생규, 조성제, "언론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6155-6162,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2.6155
  10. 박창식, 송병호, "뇌졸중 환자의 낮병원 프로그램이 도구적.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267-27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267
  11. 박창제,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4호, pp.139-166, 2008.
  12. 박창제,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115-138, 2013.
  13. 배문조, "직장인의 은퇴기대가 은퇴준비교육요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45-158, 2007.
  14.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 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5권, 제2호, pp.102-126, 2013.
  15. 유용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738-7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38
  16.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45-2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45
  17. 이정화, "광주 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시고가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75-289, 2009.
  18. 이정훈, 김균,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샐러리맨화의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6호, pp.59-89, 2006.
  19. 이희자, 김영미, "청소년의 부모 부양의식과 중년기 부모의 노후 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2호, pp.117-128, 1996.
  20. 정운영, 백은영, "은퇴에 대한 의식, 은퇴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의 인과관계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5권, 제2호, pp.115-139, 2009.
  21. 지영숙, "인구고령화의 영향과 노년기 자기관리를 위한 소고," 생활과학, 제3호, pp.53-68, 2000.
  22. 홍석태, 양해술,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87-299, 2008.
  23. 강신기, 중년층의 재무교육,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4.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회위논문, 1988.
  25. 오병철, 베이비붐 세대 남성 직장인들의 퇴직 태도, 노후준비, 노년기 사회참여 의향, 한서대학교대학원, 2012.
  26. 허정무,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 과정과 퇴직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27.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0.
  28.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1.
  29. 주정민, 양용회, 박종률, 이유진, 언론인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30.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자치부, 2014.
  31. M. W. Brown and R. Cudeck, Alternar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lif.: Sage.
  32. B. D. Gamser, "Retirement from professional sport: The process and problems of occupation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Sociological Symposium, Vol.30, pp.126-143, 1976.
  33. L. K. George and L. B. Bearon, Quality of life in older persons: Meaning and measurement, Human Sciences Pr, 1980.
  34. J. F. Jr. Hair, W. E.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2006.
  35. N. R. Hooyman and H. A. Kiyak, "Minority and socioeconomic status: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aging," Aging and quality of life, pp.295-315, 1988.
  36. G. A. Hornstein and S. Wapner, "Modes of Experiencing and Adapting to Retirement," International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21, No.4, pp.291-315, 1985.
  37. J. Hendricks and C. D. Hendrick, Aging in mass Society : Myths and Realities, 3rd ed. N.Y. : Harper Collins, 1986.
  38. B. McPerson and N. Guppy, "Preretirement lifesyle and the degree of planning for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34, No.2, pp.254-263, 1979. https://doi.org/10.1093/geronj/34.2.254
  39. B. L. Neugarten, R. J. Havighur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No.2,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40. W. E. Thompson, "Pre-retirement Anticipation and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Vol.14, No.5, pp.35-45, 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