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9.07
  • Accepted : 2016.10.25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specific designs and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that team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using Naver Band had on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Variable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chosen as critical predi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7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18 groups and instructed to work on a team project using Naver Band for 6 week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lso, descriptions of Band from team reflection journal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econd, 5 functions were revealed as strengths about Band.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네이버 밴드 기반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정의적 학습성과 지표인 만족도와 인지적 학습성과 지표인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H대학교 학부생 70명을 4명씩 18개 팀으로 나누어 6주간 네이버 밴드를 활용해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단계를 마칠 때마다 팀별로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프로젝트 종료 후에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만족도에 대한 개별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팀별 성찰일지에서 네이버 밴드에 대한 생각을 기술한 내용들을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지각된 유용성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의 진술을 통해 네이버 밴드의 구체적인 장점들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는 것의 장점과 가능성을 바탕으로, 팀 프로젝트 학습 운영을 위한 매체 활용 전략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윤성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뢰, 지식공유 의도의 예측력," 학습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22-46, 2015.
  2. 김혜경, "팀 프로젝트 학습의 학습자 역량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7호, pp.521-544, 2015.
  3. 유지원,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팀 분위기와 공유정신모형의 영향," 평생학습사회, 제10권, 제4호, pp.193-215, 2014.
  4. 조일현,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3호, pp.1-20, 2010.
  5. H. Lee and C. Lim, "Peer Evaluation in Blended Team Project-Based Learning: What Do Students Find Important?,"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5, No.4, pp.214-224, 2012.
  6. M. D. Roblyer, M. McDaniel, M. Webb, J. Herman, and J. V. Witty, "Findings on Facebook in higher education: A comparison of college faculty and student uses and perceptions of social networking sit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13, No.3, pp.134-140, 2010. https://doi.org/10.1016/j.iheduc.2010.03.002
  7. 강명희, 김세영, 윤성혜, 강주현,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유정신모형의 예측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547-568, 2016.
  8. 신진, 전은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제18권, 제11호, pp.241-254, 2013.
  9. P. A. Ertmer, T. J. Newby, W. Liu, A. Tomory, J. H. Yu, and Y. M. Lee, "Students' confidence and perceived value for participating in cross-cultural wiki-based collabor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Vol.59, pp.213-228, 2011. https://doi.org/10.1007/s11423-011-9187-4
  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STAT Report (15-0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11. 임병하, 강동원,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6권, 제3호, pp.191-214, 2014. https://doi.org/10.14329/isr.2014.16.3.191
  12. 김은영, 김정현, 최예솔,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4호, pp.91-114, 2011.
  13. 김희진, 허광, "카카오 톡.구글플러스 행아웃을 활용한 이러닝 영어회화 과목의 교수.학습 방안," 어학연구, 제49권, 제3호, pp.489-525, 2013.
  14. 이정민, 오성은, "페이스북 기반 협력학습 성과를 예측하는 학습실재감 요인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7권, 제3호, pp.305-316, 2013.
  15. 이종연, "대학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학습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1호, pp.93-123, 2012.
  16. N. Jones, H. Blackey, K. Fitzgibbon, and E. Chew, "Get out of MySpace!," Computers & Education, Vol.54, No.3, pp.776-782, 2010.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07.008
  17. Q. Wang, H. L. Woo, C. L. Quek, Y. Yang, and M. Liu, "Using the Facebook group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 exploratory stud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3, No.3, pp.428-438, 2012.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1.01195.x
  18.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9. 김영애, 도현옥, "학내 온라인 강좌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이용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86-200, 2013.
  20. 정화민, 조원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웹 기반 원격교육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2호, pp.255-272, 2011.
  21. 주영주, 정애경, 강정진, 고경이, "협력학습에서 SNS 사용의도와 관련변인간의 예측력 규명,"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91-199, 2015.
  22. 주영주, 정애경, 임연욱, 김가연, "전문대 학생의 강좌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용.용이성, 몰입 및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3호, pp.217-238, 2010.
  23. R. Cheung and D. Vogel, "Predicting user acceptance of collaborative technologies: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Vol.63, pp.160-175, 2013. https://doi.org/10.1016/j.compedu.2012.12.003
  24. R. A. Sanchez, V. Cortijo, and U. Javed, "Students' perceptions of Facebook for academic purposes," Computers & Education, Vol.70, pp.138-149, 2014. https://doi.org/10.1016/j.compedu.2013.08.012
  25. J. S. Lee, S. Blackwell, J. Drak, and K. A. Moran, "Taking a leap of faith: redefin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Vol.8, No.2, pp.19-34, 2014.
  26. 조미헌, 허희옥, 강의성, 류숙희, 김용대, 서정희,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7권, 제3호, pp.291-304, 2013.
  27. S. Stover, "Project-Based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 Classes: Oxymoron or Optimizer," Global Education Journal, Vol.2014, No.1, pp.59-82, 2014.
  28. L. Helle, P. Tynjala, and E. Olkinuora, "Project-based learning in post-secondary education-theory, practice and rubber sling shots," Vol.51, No.2, pp.287-314, 년도삽입. https://doi.org/10.1007/s10734-004-6386-5
  29. 음영철, " 대학에서의 팀 프로젝트 학습과 매체 활용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2권, 제1권, pp.307-308, 년도삽입.
  30. 박해리, 장시영, "팀프로젝트 학습활동에서의 대학생 동료평가 사례연구-경영전공개설과목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7권, 제1호, pp.151-176, 년도삽입.
  31. J. S. Krajcik, P. C. Blumenfeld, R. W. Marx, and E. Soloway, "A collaborative model for helping middle grade science teachers learn project-based instruc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94, No.5, pp.483-497, 1994. https://doi.org/10.1086/461779
  32. 강문숙, 홍광표, "SNS 활용 프로젝트 학습 사례 질적 연구: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제10권, 제4호, pp.85-112, 2014.
  33. 주영주, 한상윤, 김나영,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성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제17권, 제2호, pp.461-475, 2013.
  34. N. Shi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Vol.24, No.1, pp.69-86, 2003. https://doi.org/10.1080/01587910303048
  35. 유병민, 박혜진, 차승봉, "SNS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3호, pp.133-159, 2013.
  36. 강명희, 협력학습의 이론과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37. 조형정, 이영민,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 제6권, 제2호, pp.27-42, 2008.
  38. 안준희, 이선영, "노인요양시설 장기요양인력의 스마트 기술 사용의도에 대한 탐색적 분석: 기술수용모델(TAM & TAM2)을 사용하여," 노인복지연구, 제68호, pp.357-387, 2015.
  39. 박민기, 박성열, 차승봉,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상호의존성, 동료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10호, pp.23-46, 2014.
  40.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2001.
  41. 강명희, 김민정, 이수지, 김혜선,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5요인 성격특성이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pp.197-223, 2008.
  42. 임정훈, 조주현,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찰일지 쓰기와 성찰일지에 대한 교사 피드백이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37-160, 2007.
  43. 유병민, 전종철, 박혜진,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4호, pp.837-859, 2003.
  44. 조규락, 지연정, "온라인 문제해결 토론과정에서 문제유형과 토론 메시지 유형에 따른 이모티콘 사용의 차이와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2호, pp.355-390, 2016.
  45. C. Lin, P. J. H. Hu, and H. Chen, "Technology implementation management in law enforcement COPLINK system usability and user acceptance evaluation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22, No.1, pp.24-36, 2004. https://doi.org/10.1177/0894439303259881
  46.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