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ssociated with Preparation for Turnover in Youth Employees: a Pooled Analysis of Data from the Youth Panel 2007-2013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 관련 요인: 청년패널 2007-2013 자료 분석

  • 김경범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 이주현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
  • 노진원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의료경영연구소)
  • Received : 2016.09.01
  • Accepted : 2016.10.13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reparation for turnover in youth employees, using a data from the Youth Panel 2007-2013. Study population were composed by 17,037 employees and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using panel logit model was performed. It was identified that socioeconomic(age, sex, level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type of employment) and work-related factors(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tasks compared to level of education, perception on the Job-Major match, stabilization of employment, autonomy and empowerment of jobs, peer relationship in workpla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dissatisfaction on working environment or condition might lead to employees prepare to turnover and it is a series of activities that to improve welfare and find a suitable job for oneself.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 관련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의 1-7차 연도인 2007-2013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취업자인 17,037개의 표본이며, 일반화 추정 방정식 방법을 이용한 패널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적 특성에서는 연령, 성별, 최종 학력, 월 소득, 고용 형태가 유의하였으며 근무 관련 특성은 교육수준 대비 업무 난이도, 업무의 전공 일치도, 자기발전의 추구, 고용의 안정성, 일의 자율성과 권한, 직장내 인간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과 근무조건에 불만족할수록 이직 준비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는 후생을 높이고 자신에게 적합한 일을 찾기 위한 일련의 활동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ec.europa.eu/eurostat/statistics-explained/index.php/Unemployment_statistics#Youth_unemployment_trends.
  2. http://blogs.wsj.com/economics/2015/08/18/summer-break-fewer-young-people-seek-jobs/
  3. 통계청, 고용동향, 2015.
  4. F. McKee-Ryan, Z. Song, C. R. Wanberg, and A. J. Kinicki,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during unemployment: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No.1, pp.53-76, 2005. https://doi.org/10.1037/0021-9010.90.1.53
  5. N. O'Higgins, You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Policy: A Global Perspective, ILO Geneva, 2001.
  6.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2012.
  7. W. H. Mobley, "Some unanswered questions in turnover and withdrawal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7, No.1, pp.111-116, 1982.
  8. R. H. Topel and M. P. Ward, "Job Mobility and the Careers of Young Me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107, No.2, pp.439-479, 1992. https://doi.org/10.2307/2118478
  9. D. Shin, K. Shin, and S. Park, "An Equilibrium Analysis of lnter-and Intra-Sectoral Mobility of Workers,"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Panel Data Analyses : Employment and Quality of Life, 2007.
  10. 이선희, "직무만족과 개인-직무 부합도가 청년근로자의 이직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지 제21권, 제4호, pp.705-728, 2008.
  11. 금재호, "청년의 고용불안과 재취업," 노동리뷰 제1권, 제97호, pp.66-82, 2013.
  12. M. Corcoran, Mobility, persistence, and the consequences of poverty for children: Child and adult outcomes, Understanding poverty, 2001.
  13. 남재량, "청년실업의 동태적 특성과 정책 시사점," 노동리뷰 제1권, 제16호, pp.22-33, 2006.
  14. J. L. Price, "Reflections on the determinants of voluntary turn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Vol.22, No.7, pp.600-624, 2001.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6233
  15. W. H. Mobley, Employee Trunover: Causes, Consequencies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1982.
  16.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2016.
  17. 김은석, 정철영, "청년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이 이직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107-122, 2010.
  18. 이길순, "전문대학졸업생의이직행동에 관한연구," 직업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121-136, 1998.
  19. 김은석, "청년근로자의 직무만족이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47-64, 2014.
  20. 은화리, 대졸초기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1. 김윤영, 종업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2. 어윤경,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721-738, 2010.
  23. 차성현, 주휘정,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 정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177-215, 2010.
  24. D. N. Dicker, M. Roznowski, and D. A. Harrison, "Temporal tempering: An event history analysis of the process of voluntary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6, pp.705-716, 1996. https://doi.org/10.1037/0021-9010.81.6.705
  25. P. W. Hom and R. W. Griffe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est of a turnover theory: Creoo-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p.350-366, 1991. https://doi.org/10.1037/0021-9010.76.3.350
  26. 오성욱, 이승구, "대학생의 직업가치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pp.1-19, 2009.
  27. J. P. Meyer and N. J. Allen, "Testing the 'side-bet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9, No.3, pp.372-378, 1984. https://doi.org/10.1037/0021-9010.69.3.372
  28.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 No.2, pp.259-293, 199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4.x
  29. 고용노동부, 청년패널 2007 3차(2009)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2010.
  30. 김광수, 첫 직장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청년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1. R. Gardecki and D. Neumark, "Order from Chaos? The Effects of Early Labor Market Experiences on Adult Labor Market Outcomes," Industrial and Labour Relations Review, Vol.51, No.2, pp.299-322, 1998. https://doi.org/10.1177/001979399805100209
  32. J. L. Cotton and J. M. Tuttle, "Employee turnover. A meta-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No.1, pp.55-70, 1986. https://doi.org/10.5465/amr.1986.4282625
  33. P. W. Hom and R. W Griffeth, Employee Turnover, Ohio: South-Western Pub, 1995.
  34. J. L. Price and L. W. Mueller,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4, No.3, pp.543-565, 1981. https://doi.org/10.2307/255574
  35. J. G. March, and H. A. Simon,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1958.
  36.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리프 2015년 5월호, 2015.
  37. 황정미, 김순영, "한국의 여성비정규노동과 사회정책의 방향," 산업노동연구, 제12권, 제1호, pp.305-336, 2006.
  38. 배화숙,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업복지 차이 연구: 한국노동패널 6차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1권, pp.217-237, 2005.
  39. 차성현, 주휘정,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177-215, 2010.
  40. 박정현, 류숙진,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의도와 이직행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8.
  41. 장원섭, 김소영, 김민영, 김근호,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직업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41-164, 2007.
  42. 이우경, 최수일,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69-38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69
  43. 김성희, 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4.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5. P. Jorde-Bloom, "Teacher Job Satisfaction: A Framework for analysi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1, No.2, pp.167-183, 1986. https://doi.org/10.1016/0885-2006(86)90027-X
  46. R. M. Steers, Introduction to Organizational Behavior, Goodyear Publishing Company, 1984.
  47. L. M. Saari and T. A. Judge, "Employee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43, No.4, pp.395-407, 2004. https://doi.org/10.1002/hrm.20032
  48. L. W. Poter and R. M.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80, No.2, pp.151-173, 1973. https://doi.org/10.1037/h0034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