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대인예민성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박민경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10.19
  • Accepted : 2016.11.07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method of improving social support in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75 students in six colleg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 program.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sensitivity negatively influenced social support. Second, interpersonal sensitivity negatively influence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ird, soci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life satisfaction. Fourth,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se study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reducing interpersonal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improving social support and expand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예민성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6개의 대학을 할당 표집하여 475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예민성은 사회적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예민성은 대학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예민성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대인예민성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상담 프로그램과 대인관계 및 가족관계 향상프로그램의 확대실시를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상일보(2016년 3월 7일자).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7523.
  2. 소병한, 전문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 현황 및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 이정윤,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 연구, 관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황윤경, 지방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스트레스지각 및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교육학 대사전, 교육과학사 편집위원, 1996.
  6. 김지애, 청소년의 대인예민성과 사회적지지가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 이훈진, "편집증 집단의 자기개념과 주의 및 기억 편향," 심리과학, Vol.9, No.1, pp.77-99, 2000.
  8. 홍영준, 이미경,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의 불안대인예민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pp.445-474, 2014.
  9. 백운학, "초등학교 아동들의 등교거부경향에 대한 고찰," 영남대학교 논문집, Vol.14, pp.343-365, 1981.
  10. 박진영, "지역대학 성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원, 학업탄력성, 자아 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3, pp.47-75, 2012.
  11. 박희수, 문승연,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3, pp.197-218, 2014.
  12. 옥경희,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 광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 Vol.8, pp.21-37, 2002.
  13. 이용호, 김희경, 김남송, "대학생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과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The Joumal of Digital Pollcy & Management, Vol.11, No.10, pp.483-492, 2013.
  14. 현채송, "사회적지지와 문제해결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연구, Vol.7, pp.27-41, 2004.
  15. 김지현,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박재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수준, 스포츠 참여 수준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문동영, "검도 수련자의 생활만족 및 사회적지지에 관한 분석," 대한검도학회지, Vol.22, No.1, pp.36-49, 2004.
  18. R. L. Kalish, "Late Adulthood; Perspective on Human Development, Berkely," Calif: Cole Publishing Co. P. 1, 1975.
  19. W. Wilson,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67, pp.294-306, 1967. https://doi.org/10.1037/h0024431
  20. 유상구, 체육수업과 여가활동의 연계지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1. 안현숙, "대학생의 웰니스, 대학생활만족 및 학습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pp.494-50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494
  22. 김준곤, "대학생활만족도의 차원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학생생활지도연구소, pp.35-49, 1991.
  23. R. M. Ryan and E. L. Deci, "Self- 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8-78,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24. 신원수, 인지적 대인문제해결 훈련이 등교거부 경향성 아동에 대한 문제 해결사고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5. 이혜경,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6. 박영배, "등교거부아의 잠재적 원인분석," 진주교대 논문집, Vol.13, pp.76-95, 1987.
  27. 김광웅, "아동의 성격특성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Vol.19, No.1, pp.1-27, 2006.
  28. 김세원, 사회적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용란숙,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0. 이종연, 이재신, "괴롭힘 경험을 가진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연구논집, Vol.4, pp.47-75, 2001.
  31. W. Furman and D. Buhrmester,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1, No.6, pp.1016-1024, 1985.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016
  32. 최염위, 사회적지지가 중국 도시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하남성 정주시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3. P. Boyce and G. Park, "Develoment of a scale to measure interpersonal sensitivity," Austraiasian Psychiatry, Vol.23 No.3, pp.341-351, 1989.
  34.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5.
  35. 김나영, 대학생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36. 김덕건,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pp.351-371, 2016.
  37. 홍창숙, 아동학대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편집성과 대인예민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8.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1976.
  39. J. S. House, "Social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1981.
  40.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41. 최애선,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2. Marvin R. Goldfried, Padawer, Wendy and Robins, Clive, "Social Anxity and the Semantic Structure of Hetero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3, No.1, 1984.
  43. 이재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청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 Vol.22, pp.51-89, 2000.
  44. 류경희,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Vol.41, No.21, pp.147-168, 2003.
  45. 박윤순,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6. 구자은,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7. G. A. Bernstein, S. L. Warren, E. D. Massic, and P. D. Thuras, "Family dimensions in anxious-depressed school refuser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13, No.5, pp.513-528, 1999. https://doi.org/10.1016/S0887-6185(99)00021-3
  48. 김동연, 의대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9. 김정남, 류미경, 박경민, "일부지역 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대한보건연구, Vol.25, No.1, pp.29-42, 1999.
  50. 하주영,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및 사회적지지가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Vol.17, No.2, 2010.
  51. 강석화,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2.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정신과외래환자의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 -R의 진단별 특성," 정신건강연구, Vol.1, pp.150-168, 1984.
  53. 이수연, 박은혜, "스마트폰 활용 멘토링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체, 중복, 건강장애연구, Vol.58, No.4, pp.169-193, 2015.
  54. H. L. Barnes and D. H. Olso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Olson, D. H., et al. (eds.)," Family inventories, (pp.33-48),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2.
  55. 민하영,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가정의 응집성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56. 황미현, 중학생의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긍정적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7.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58.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구조방정식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9. 이종환,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08.
  6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1. 오지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pp.873-8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873
  62. 이명진, 이정민, 이진민, 최봉준, 전진호, 손혜숙, "여대생의 사회성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pp.300-309, 2012.

Cited by

  1. Multi-View Concepts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vol.08, pp.06, 2018, https://doi.org/10.12677/AP.2018.86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