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among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김정은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9.01
  • Accepted : 2016.09.30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heck the effects of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41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after getting an approval for cooperation from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units for research on professional soldiers from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2015.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o analyze the rela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ositivity, family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Secondly,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all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und that the fitness of measuring and structural models was good, that their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their self-efficac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effective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ofessional soldiers.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방부의 승인을 거친 직업군인들에 대한 연구에 대해 육 해 공 해병대 부대의 협조를 구하여 장기복무 직업군인 241명에게 설문조사를 거쳤으며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은 긍정성, 가족의사소통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에 대해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을 위한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 K. S. Laschinger, J. Finegan, J. Shamian, and P. Wilk,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n staff nurses' work satisfac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pp.527-545, 2004. https://doi.org/10.1002/job.256
  2. 이목화, 문형구,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8권, 제2호, pp.143-221, 2014.
  3. M. Larson and F. Luthans, "Potential added valu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predicting work attitudes,"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Vol.13, No.1, pp.44-61, 2006.
  4. F. Luthans and C. M. Youssef,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Vol.33, No.3, pp.321-349, 2007.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0814
  5. J. B. Avey, T. S. Wernsing, and F. Luthans, "Can positive employees help positive organization chanag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s on relevant attitudes and behavior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44, No.1, pp.48-70, 2008. https://doi.org/10.1177/0021886307311470
  6. 정선우, 이영민, 임다영, "기초자체단체 공무원의 긍정심리자본 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인식의 구조적 관계분석," GRI연구논총, 제15권, 제1호, pp.35-55, 2013.
  7. 고성필, 이정동, 최정환, 정의영, "인과지도 분석을 통한 이주가 직업군인의 복무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4권, 제1호, pp.69-87, 2013.
  8. 박미은, "군 가족지원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시스템의 활용 방안," 한국군사사회복지학, 제2권, 제2호, pp.1-24, 2011.
  9. 국방부, 군인복지실태조사, 국방부, 2013.
  10. 정진철, 김성만, "가정친화 분위기가 일.가정 갈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6호, pp.2931-2950, 2008
  11. 조흥식, "육군 직업군인복지의 발전 방안," 한국사회과학," 제32권, pp.155-181, 서2010.
  12. 정명숙, 김광점,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18, 2006.
  13. 류병곤, 류은영,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제15권, 제3호, pp.239-262, 2013.
  14. 고영심, 강영순, "개인-환경적합성, 다중초점 몰입, 다중초점 조직시민행동간 차별적 영향관계와 몰입유형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9권, 제2호, pp.63-97, 2015.
  15. 정아람, 류기상,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3-28, 2016.
  16. 김재홍, "군 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연구," 한국거버넌스 추계학술대회, 제10권, pp.111-134, 2010.
  17. 김호용, 허찬영, "부사관의 사기와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8권, 제2호, pp.173-209, 2011.
  18. 최현묵, 군 리더의 감성지능이 부하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9. 황보식, "상관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특성이 초급장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민족문화논총, 제52권, pp.697-721, 2012.
  20. 박승범, 박현숙, "서번트 리더십이 군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해병부대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2권, 제1호, pp.297-318, 2015.
  21. R. Pillai and E. A. William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group cohesiveness, commi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Vol.17, pp.144-159, 2002.
  22. 송병호, "경찰서장의 리더십이 경찰관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0권, pp.69-112, 2005.
  23. S. M. Jex and P. D. Beliese, "Efficacy beliefs as a moderator of the impact of work-related stressors: A multilevel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4, No.3, pp.349-361, 1999. https://doi.org/10.1037/0021-9010.84.3.349
  24. 곽승호, 리더십이 집단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25. M. E. Bressler, Relationship Between Hope, Optimis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U.S. Army Reserve Soldiers, University of Houston Clear Lake, 2006.
  26. 유난숙, 군인가족의 건강가정성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27. 문채봉, 미국군의 삶의 질 검토 보고서와 한국군에 대한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011.
  28. A. D. F. Luthans Stajkovic,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4, No.2, pp.240-261, 1998. https://doi.org/10.1037/0033-2909.124.2.240
  29. M. G. Shahnawaz and Jafri. Md., "Psychological Capital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Journal of the Indian Academy of Applied Psychology October, Vol.35, pp.78-84, 2009.
  30. Akhtar Saleem, Ghayas Saba. Adil Adnan, "Self-efficacy and optimism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ank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Studies in Psychology, Vol.2, No.2, pp.33-42, 2013,
  31. 차동욱, 김정식,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몰입,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권, 제1호, pp.171-198, 2011.
  32. B. Schyns and G. V. Collani, "A new occupational self-efficacy scale and its relation to personality construct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1, pp.219-241, 2002. https://doi.org/10.1080/13594320244000148
  33.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and Company, 1997.
  34. N. Hurter, The role of self efficacy in employee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al thesis,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08.
  35. 장은경,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6. 정현숙, 정선영, "육군의 배우자가 인지한 군인 배우자의 군인직업 특성, 가족환경 특성과 복지 요구도," 한국군사회복지학회, 제5권, 제1호, pp.111-144, 2012
  37. 김진분, 최규련, "군인부부의 의사소통과 직업만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8권, 제4호, pp.1677-1692, 2007.
  38.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2000.
  39. 김효정, 정미애,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3-50, 2011.
  40. 김해룡, "직무자율성과 조직구성원 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제30권, 제3호, pp.193-225, 2006.
  41. 하형란, 강혜자, "경찰공무원의 조절초점이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6권, 제2호, pp.121-142, 2012.
  42. 김정은, "예비 특성화 고등학생의 강점기반 진로 상담 프로그램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긍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3호, pp.233-253, 2015.
  43. M. F. Scheier, C. S. Carver, and M.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No.67, pp.1063-1078, 1994.
  44. 최정혜,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 대처 전략 및 직업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10호, pp.55-68, 2005.
  45. 이기은, "연구원의 경력몰입과 직무태도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419-1440, 2006.
  46.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pp.1-1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47. 김순철, 민윤기, "진정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3-25, 2015.
  48. 황승배, 김동주, "중년위기 지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제36권, 제4호, pp.59-98, 2012.
  49. 조하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호적대상황에서의 대인관계도식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50. 김정은, "병사의 군생활 적응 위한 스트레스 대처모델 연구," 군사회복지학, 제6권, 제2호, pp.5-3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