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for Vitalizing the Exportation of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Format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글로벌 예능 프로그램 포맷 특성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이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 유세경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Received : 2016.08.30
  • Accepted : 2016.10.21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features of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exported to Asia mostly with that of top 100 Global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exported globally in order to explore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to export globally. Two groups of entertainment program were analyzed in three ways, program category, cast, and material. Regarding program category, quiz game programs showed highest exportation in Global top 100 formats while only 14.3% of Korean entertainment formats exported. As for the cast members, Korean formats prefer well-known celebrities. On the other hand, Global formats produce programs featuring non-famous, ordinary people. Moving on to material of each formats, Global formats focus on puzzle/riddle whereas, Korean formats mainly focus on music/dance and family/parent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entertainment programs contain strong cultural aspects which generate disadvantages on exportation of these programs, compared to Global entertainment programs. In conclusion, to export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globally, quiz game format with ordinary people and using materials that delivers less cultural aspects are need to be developed.

본 연구는 포맷 수출된 한국 예능 프로그램과 글로벌하게 교역되는 해외 예능 프로그램 포맷의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예능 프로그램 포맷의 특성과 수출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포맷 수출 활성화를 위한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개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통계분석 결과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유형, 출연진, 소재에서 한국과 글로벌 예능 포맷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포맷 유형에 있어 해외 프로그램의 경우 퀴즈 게임 포맷 유형이 가장 많은 데 비해 우리나라 예능 프로그램은 리얼리티 포맷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출연진의 경우도 우리나라는 연예인(방송인)의 비중이 높은 데 비해, 글로벌 포맷의 경우 일반인의 출연비중이 높았다. 소재 역시 글로벌 포맷은 퍼즐/수수께끼가 많았고 우리나라는 음악/댄스 및 가족/육아, 시댁/친정, 아이들이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예능 프로그램 포맷이 해외의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 비해 문화적 특성이 강하여 포맷 수출이 불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프로그램은 문화적 상품으로 문화적 할인이 작용한다. 포맷 교역의 경우 완성된 프로그램 보다는 문화적 할인의 영향이 적으나, 여전히 지역화가 얼마나 용이한가는 수출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룰과 형식이 주요 요소인 퀴즈 게임 유형이 리얼리티 유형보다 지역화에 용이하고 출연진 역시 유명인 보다는 일반인의 비중이 높은 포맷이 지역화에 유리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기획부, "방송 프로그램 포맷 수출의 현황과 시사점," 2014.
  2. 홍원식, 성영준, "방송콘텐츠 포맷 유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포맷 유통 실무진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19권, 제2호, pp.151-179, 2007.
  3. A. Moran, Copycat TV : Globalisation, program formats and cultural identity, Bedfordshire, UK: Univ. of Luton Press, 1998.
  4. 은혜정, "국제적 유통 상품으로서의 TV 포맷의 최근 경향과 한국 포맷의 해외진출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6호, pp.327-360, 2008.
  5. J. Ellis, Visible fictions: Cinema, television, video, London: Routeldge and Kegan Paul, 1982.
  6. 홍순철, 정윤경, 전경란, TV포맷 프로그램 유형 분석 연구,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DMCF R&D 사업팀, 2009.
  7. 차찬영, 박주연, "TV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의 변화- 2000년대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3호, pp.526-564, 2012.
  8. 김동규, "한국 TV 방송프로그램의 유통메커니즘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4호, pp.40-73, 2002.
  9. R. E. Caves,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10. 정윤경, 김미선,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동기구축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10-220, 2013.
  11. S. Waisbord, "McTV Understanding the Global Popularity of Television Formats," Television & New Media, Vol.5, No.4, pp.359-383, 2004. https://doi.org/10.1177/1527476404268922
  12. 유세경, 이경숙, "동북아시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성,"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230-267, 2001.
  13. 김미선, 유세경,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44-54, 2014.
  14. 배진아, "방송 시장의 포맷 거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2호, pp.6-36, 2008.
  15. 박선이, 유세경, "포맷 교역 TV 프로그램의 혼종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187-232, 2009.
  16. 김정섭, 박주연, "지상파TV 주시청시간대 프로그램의 포맷 다양성 변화 연구: 2000년, 2005년, 2010년 가을시즌 편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1호, pp.289-313, 2012.
  17. 성영준, "해외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의 수입과 현지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09-110, 2009.
  18.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포맷 수출입 현황 조사연구, 2015.
  19. 표시영, 유세경, "채널 증가에 따른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다양성 변화 연구 - 종합편성 채널 개국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1호, pp.137-168, 2016.
  20. J. R. Landis and G. G. Koch,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ics, 제33권, pp.159-174, 1977. https://doi.org/10.2307/2529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