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e Image in the Cinema : Based on the Early Silent Film Period

영화 속 얼굴 이미지 : 초기 무성영화시기를 중심으로

  • 황지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Received : 2016.07.26
  • Accepted : 2016.09.22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Discussion of facial image of the movie starts is recognized as an art movie that started from silent film period. Critical discussions on the facial image initiated with the emergence of 'close-up' are performed in the context to claim the superiority of close-up format. Therefore, the trend of critical discussion on the facial image differs from two perspectives to perceive close-up in this era. The first perspective is to privilege both face and close-up since close-up is recognized as the unique tool to realize the face considering close-up as the independent body to have new aesthetic feasibility of the movie. The second perspective is to consider close-up as one of the plots in the movie language to complete its narration. In this case, it is perceived as just a short, which has no differentiation from the others, as long as the facial image does not interfere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on,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close-up to highlight the subject more than the other short is not recognized as the unique form to complete the movie, and because it has the meaning only when the subject and the format aim to maintain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on.

영화 속 얼굴 이미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영화가 하나의 예술임을 인정받기 시작한 무성 영화 시기부터 인데, 이 시기는 클로즈 업을 인식하는 두 관점에 따라 얼굴 이미지는 다른 의미와 기능을 갖게 된다. 첫째는 클로즈 업을 영화의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지닌 독립체로 보는 관점인데, 이 경우 클로즈 업은 얼굴을 재현하는 독자적 수단으로 이해되어, 얼굴 이미지와 클로즈 업 모두에게 특권적 지위가 부여된다. 둘째, 클로즈 업 또한 서사를 완성하는 구성체 중 하나로 보는 관점인데, 이 경우 대상의 지표 성을 부곽 시키는 클로즈 업의 특성이 이해되지 못하기 때문에, 얼굴 이미지 또한 서사의 완결성을 와해시키지 않는 선에서, 다른 쇼트와 변별점이 없는 하나의 쇼트로 이해된다. 이 시기의 논의는 영화의 미장센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와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기능과 의미를 갖게 될 얼굴 이미지의 미학적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클로즈 업의 자장 안에서만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속 얼굴 이미지에 대한 미학적 탐구의 가능성을 발견 했다는 점과, 이 시기의 비평적 담론이 현재까지도 유효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종화, 자료로 본 한국영화사1 1905-1954, 열화당, pp.15-25, 1997.
  2. 니콜 아브릴 지음, 강주헌 옮김, 얼굴의 역사, 작가정신, 2001.
  3. 게오르그 짐멜, 김덕영 옮김,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pp.108-109, 2005.
  4. 자크 오몽, 김호영 옮김, 영화 속의 얼굴, 마음산책, p.165, 2006.
  5. 벨라 발라즈, 이형식 옮김, 영화의 이론, 동문선, p.73, 2003.
  6. 르네 프레달, 김희균 옮김, 세계영화 100년사, 이론과 실천, p.110, 1999.
  7. 유지나, "몸-얼굴-공간의 연구: 잔다르크의 수난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46호, 2010.
  8. Mary ann Doane, "Scale and Detail in the Cinema," A Journal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Vol.14, p.90, 2003.
  9. 존힐, 마펠라 외, 안정효, 최세민 옮김, 세계영화연구, 현암사, p.47, 2004.
  10. 롤랑 바르트, 정헌 옮김, 신화론, 현대미학사, p.161, 1995.
  11. Walter March, In The Blink of an Eye: Aperspective on Film Editing, Silman-James Press, p.88,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