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trength Perspective-based Cas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강점관점 사례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정신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 오영림 (용인송담대학교 사회복지과) ;
  • 정선미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 Received : 2016.09.23
  • Accepted : 2016.10.24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as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to reflect strength perspective and analyz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employees working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15 each), and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verified with those participants. The total 13 sessions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offered: three hours per session, and one session a month. The perception on clients(social distance, attitude towards mentally disorder people) and workers' competence(burnout, empowerment) were used as the measuring too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education.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t-test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case management education and clients decreased in relation with perception on clients, and attitude score towards clients improved. It was also verified that burnout decreased, and that empowerment improved in relation with the competence of the employees in the long-term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본 연구는 정신요양시설 종사자가 강점관점을 반영한 사례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권한강화를 기반으로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정신요양시설 2곳의 종사자 30명으로 기관별 15명이 할당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월1회, 3시간씩 총 13회기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사례관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사회적 거리감,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과 종사자의 역량(소진, 임파워먼트)이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 관련하여 사례관리 교육에 참여한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클라이언트와의 사회적 거리감이 줄어들었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역량과 관련하여 소진이 감소되었으며, 임파워먼트가 향상된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신요양시설 종사자를 위한 사례관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에 대한 후속 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채은희, 이효영, "우리나라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27-38, 2004.
  2. 서동우, "정신보건의 역사적 변화선상에서 본 우리나라 정신보건법의 문제와 개선안," 보건복지포럼, Vol.123, pp.42-56, 2007.
  3. 강석임,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30집, pp.97-130, 2011.
  4. 채은희, "우리나라 요양시설의 현황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9권, 제4호, pp,123-140, 2003.
  5. 김선주, 김교정, "사회복귀시설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과정에 대한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부산지역 사회복귀시설의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pp.221-232, 2013.
  6. 박선숙,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지한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사회복지 가치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82-9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082
  7. 민소영,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0권, 제1호, pp.39-65, 2008.
  8. 이경아, 하경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기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2호, pp.63-90, 2012.
  9. 국가인권위원회, "정신장애인 인권개선을 위한 각국의 사례연구와 선진모델 구축," 인권위원회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2009.
  10. 서미경, "정신보건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인권," 상황과 복지, Vol.20, pp.89-117, 2005.
  11. 정영문, 정신요양시설 운영현황과 기능전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2. 최일섭, 고기숙, "정신장애인의 서비스 이용,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7호, pp.331-359, 2007.
  13. 보건복지부, "지역정신건강사업 기술지원단 사업보고서," 보건복지부 내부자료, 2003.
  14. 국립서울병원, "정신요양시설평가," 국립서울병원 내부자료, 2002.
  15. 이선영, 이정숙,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3권, 제3호, pp.231-239,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3.231
  16. 김성용, 강상경, "정신요양시설 운영방식이 입소자의 자기-스티그마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제16권, 제4호, pp.173-198, 2012.
  17. 전혜숙,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 자신감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입소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563-57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563
  18. 이경우, "정신장애인시설종사자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산업정보대학원, 제2호, pp.369-407, 2001.
  19. 주옥남, 문승연, "정신보건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1호, pp.114-143, 2014.
  20. C. A. Rapp, "The Strengths Model: Case Management with People Suffering from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1. D. Saleebey,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4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6.
  22. 하경희, 이경아, 이근희, "사회복귀시설에서의 강점실천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6권, pp.82-106, 2010.
  23. D. Saleebey,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4th ed. Pearson Education, Inc, 2006.
  24. 서혜석, 이대식, 조장래, 정향숙, 이영희, 곽의향, 김미혜, 박우진, 조상임, 사례관리: 임상사례중심으로, 서울: 양서원, 2008.
  25. K. T. Mueser, G. R. Bond, R. E. Drake, and S. G. Resnick, "Models of community care for severe mental illness: A review of research on case management," Psychiatric Bulletin, Vol.24, No.1, pp.37-74, 1998.
  26. T. Bjorkma, L. Hansson, and M. Sandlund, "Outcomes of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strengths model compared to standard care: A rondomised controlled trial,"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s Epidemiology, Vol.37, pp.147-152, 2002. https://doi.org/10.1007/s001270200008
  27. 박정임,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8. 노혜련, 강미경, 김수영, "강점관점 사례관리사업의 효과적인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유사서비스기관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381-385, 2006.
  29.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4권, pp.99-126, 2002.
  30. 이주훈, 이충순, 황태연, 한광수, 이영문, "수서-일원지역주민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용인정신의학보, 제3권, 제2호, pp.188-202, 1996.
  31. C. Maslach and S. E. Jackson, "Burnout in Health Profession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pp.227-251, in Social Psychological of Health and Illness, edited by G. S. Sander, J. Su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2.
  32. 배숙경, 수퍼비전 기능이 노인복지실천가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3. 정해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4. 김문근, 서규동, 하경희, 정신질환자 요양 및 재활서비스 제공체계 개선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종: 보건복지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