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arents Recogniz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Character Education Conditions and Requirements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

  • 손은경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동례 (전남육아종합지원센터)
  • Received : 2016.09.22
  • Accepted : 2016.11.16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hildren learn character education situation and the desire of parents to recognize there is a purpose. In D city, the data collected was intended for 170 parents percentage of the frequency analysis SPSS program was performed multiple responses cross-valid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As a result, first, it has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need for Children Personality care and education of parents interest also highest. It was the concept of holistic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hildren can see that the same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ildren education and Personality contents were understood as a whole. Second, these activities were Children Personality to training status could see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are being made in this result assumed concentration of Children humanity education conducted in the home and work areas of daily life guidance and basic lifestyle at home talking It was made through the division. Children correct behavioral models for character education has given the values of the parent as the parent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ity of children. Third, Children need for parent participa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de a parent education involvement in what is the result of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out and it was found that it should be carried out life guidance program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거주하며, 공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학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다중응답 교차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님들의 유아 인성교육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인식했으며 관심도 또한 가장 높았다. 전인교육과 유아 인성교육의 개념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내용의 이해는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에서도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정에서 실시하는 유아 인성교육의 집중 및 활동분야는 기본생활습관과 일상생활지도 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에서 유아 인성교육의 활동은 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활동정도는 낮은 편이었고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인성교육의 방법과 정보의 부족이었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의 부모참여에 대한 필요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프로그램으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옥, 영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다음세대, 2014.
  2. 김숙자, 김현정, 박인아, 박현진,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II,"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337-358, 2012.
  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4. 정선영,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성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지원 정책 탐색 세미나," pp.11-109, 2013.
  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지원정책 탐색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정책세미나, 제2013권, 2013.
  7. 남궁달화, 인성교육론, 서울: 문음사, 1999.
  8. 김봉제, "도덕적 판단력 발달단계를 활용한 학급인성교육 목표설정 방법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제51권, pp.1-28, 2016.
  9. 이민정, 박주연, 황은민, "창의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제35권, 제6호, pp.421-437, 2015.
  10. 교육부, 2015년도 인성교육 강화 기본계획, 세종: 교육부, 2015.
  11. 홍순옥, 전수열, "인성교육 프로젝트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논총, 제16권, 제1호, pp.19-41, 2007.
  12. A. V. McGillicuddy-De Li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cognitive level.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s system: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7-24, 1985.
  13. K. H. Rubin, R. S. L. Mills, and L. Rose-Krasnor, Maternal beliefs and children's competence, In. B. H. Schneider, G. Attili, J. Nadel, & R. P. Weissberg (Eds.), Social competence in developmental perspective,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313-337, 1989.
  14. 손봉호,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pp.10-24, 2010.
  15. E. H. Berger, Parents as partners in education: families and school working together, Upper Saddle A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4.
  16. C. Gestwicki,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in early education, 3th education.
  17. 박혜린,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유아의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8. 김형재, 김형숙, 창의인성교육, 서울: 공동체, 2016.
  19. 원인숙,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 모의인식과 실태 비교, 경기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 우영효, "유아인성교육의 방향," 아동교육, 제13권, 제1호, pp.147-158, 2004.
  21. 장명림, "약계층 영유아 통합적 육아지원 방안연구(IV)-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정책세미나, pp.1-152, 2012.
  22. Thomas L. Friedman, the World Is Flat. International Creative Management, Inc. S. C. Kim, Y. S. Lee, J. L. Choi Translation. The world is flat, Publishing changhae, 2006.
  23. 김경신,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4. 김순환, 남옥선, 박선혜,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조사.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363-391, 2014.
  25. 장재경,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김지현, 초등학생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박현진, 아이들의 인격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8. 이지영,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교회부설과 일반 유아교육기관 학부모 중심으로,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9. 전향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인성특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0. 우남희, 김영심, 이은정, "저 출산 시대의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97-325, 2009.
  31.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5호, pp.297-324, 2012.
  32. 김명신,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박경옥,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4. 박현진, 김숙자, "유아 인성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 한국아동교육학회, 제21권, 제2호, pp.5-26, 2012.
  35. 이희선,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에 관한 부모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11권, pp.205-219, 1997.
  36. 이승미, 장영은, 박정윤, "가정-학교연계를 통한 유아 및 초등학생 인성교육 활성화방안: 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9권, 제4호, pp.5-47, 2011.
  37. N. Noddings and M. Slote, Changing notions of the moral and of moral ducation, In. N. Blacke, P. Smeyers, R. Smith, & P. Standish(Eds.), The Blackwell guide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xford: Malden, pp.341-355, 2003.
  38. 김훈의, "NFTM-TRIZ에 근거한 지속적인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구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474-48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