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grams of Human Right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Directo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Gyeonggi-do, Gyeongsangbuk-do, Jeollanam-do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기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김선주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인권지킴이지원센터)
  • Received : 2016.10.04
  • Accepted : 2016.10.19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search for action strategy making it possible to compare and overcome a gap betwee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nd the present performance of human right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To this end, an empirical study was made on how high the level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and whether there was gap betwee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nd the present performance for 114 directors in Gyeonggi, Gyeongbuk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y shared the perception that human rights in residential care home were important. Seco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ap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human rights area in residential care home.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IPA matrix were presented in order to establish an action strategy making it possible to overcome a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러한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경북, 전남지역 시설장 114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주시설 인권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시설 인권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의 차이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수립하고자 IPA matrix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인권위원회, 2017-2021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 p.15, 2016.
  2. 2016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6.
  3. 백종만, "사회복지시설수용시설 수용자의 인권실태," 국회인권포럼, pp.7-21, 1998.
  4.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인 인권 상황 실태조사: 양성화된 조건부신고복지시설을 중심으로, 2005년도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2005.
  5. 임성택,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 그 현황과 대책," 저스티스, 제28권, pp.7-59, 2012.
  6. 김진우, "지적장애인 투표권부여 및 행사 관련 쟁점 연구," 경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 제1권, 제1호, pp.345-367, 2015.
  7. 고명식,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 김경희, 김미옥, "지적장애인 인권침해사건 해결과정에서의 딜레마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9권, pp.235-252, 2012.
  9. 박경수, 장혜경, "장애인거주시설 실천가의 인권딜레마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제2권, pp.249-272, 2013.
  10. 변경희,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의 인권보호 및 서비스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산학협력단, 2014.
  11. 송정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지적장애인거주 시설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12. 김선주,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771-78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771
  13. 김미옥, 정진경, 김희성, 최영식, 윤덕찬, "장애인 생활시설 인권교육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국가인권위원회, 2006.
  14.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1-13, 1977.
  15. 최기종, 박상현, " IPA를 이용한 관광지 평가: 산정호수 사례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0권, 제1호, pp,275-289, 2001.
  16. 이성대, 강경화, 염동문,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상남도지역 교육복지사를 중심으로," 청소년 문화포럼, 제41권, pp.133-157, 2015.
  17. H. Oh,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Vol.22, No.6, pp.617-627, 2001. https://doi.org/10.1016/S0261-5177(01)00036-X
  18. 김진연, 김영춘, "장애인서비스 제공자의 인권인식, 사회적지지, 사회통합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620-63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620
  19. 오윤수, 정현태, 이성대, "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285-297, 2014.
  20. 염형국, "장애인 법적 능력과 법 앞의 평등,"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10주년 기념 국제 컨퍼런스, pp.83-9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