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Digital Medium Qua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Sustainable Use Intention: Application Scheme of OSMU based o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grandculture.net

디지털 매체품질이 학습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전문학의 원소스 멀티유즈(OSMU) 활성화를 위해 향토문화전자대전 사이트를 중심으로

  • 현영란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예술행정) ;
  • 정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 Received : 2016.08.01
  • Accepted : 2016.10.21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paper focus on the digital media quality of one source multi-use for the 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digital media and learning satisfaction/sustainable use intention through digital media. For this we used the cas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www.grandculture.net)'. Thus we conducted a survey of 418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a classical literature class which used the local culture DB.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quality of media content and media service quality affect the learning satisfaction even if media system quality does not affect the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satisfaction affect strongly. The result of multi regression showed that system quality increased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high group, but system quality did not effect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low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system quality is enhanced, learning satisfaction will be slightly increased, and if quality of contents and services is enhanced, learning satisfaction will be strongly increased.

본 연구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고전문학의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의 활성화를 위해 매체품질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향토DB)는 전국 234개 시 군 구의 향토문화 자료와 함께 설화, 민요 등이 구축되어 있어 고전문학의 OSMU가 가능한 매체이다. 이에 IS 성공모형을 적용하여 향토DB의 매체품질이 학습만족을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고전문학수업을 받은 418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향토DB의 콘텐츠품질과 서비스품질은 학습만족을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시스템품질의 학습만족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탐색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시스템품질을 높게 인식하는 집단에서는 시스템품질의 학습만족에 대한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시스템품질을 낮게 인식하는 집단에서는 시스템품질의 학습만족에 대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토DB의 시스템품질이 향상되면 학습만족은 조금 강화되는 반면 콘텐츠품질과 서비스품질이 향상되면 학습만족은 상당히 활성화될 것임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Y. R. Hyoun and S. Y. Chung, "A Study on the Pre-teachers' Awareness on Media Usage in the Clas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formation, Vol.19, No.4, pp.1133-1138, 2016.
  2. W. Delone and E.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48
  3. 유재록, "국내 문화콘텐츠 제공웹사이트에 관한 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2호, pp.43-64, 2006.
  4. 김경일,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 모형을 이용한 IMS성과 측정 모형의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2권, 제3호, pp.127-140, 2014
  5. C. M. Koo, Yulia Wati, N. H. Chung, "An Effect of Quality Factor of Tax Information System on User's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pp.65-85, 2013. https://doi.org/10.1111/j.1365-2575.2012.00399.x
  6. 홍순복, "세무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이 사용자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717-72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717
  7. 김진희, 이중정, "문화예술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사용자 만족과 향후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6권, 제2호, pp.55-98, 2003.
  8. A. Court, "Improv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Vol.32, No.5, pp.573-585, 1998. https://doi.org/10.1080/03043790701433061
  9. 이상수, 이유나,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 모형 개발," 제23권, 제2호, 교육공학연구, pp.135-159, 2007.
  10. 임철일, 홍미영, "이선희,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김동일 편, 교육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pp.353-368, 2015.
  11. 한혜진, "뮤지컬 문화공연 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즈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4권, 제2호, pp.180-184, 2006.
  12. 정광훈, 디지털교과서 기술표준 채택 방안 및 심의 기준 연구, 연구보고 2012-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3. L. F. Pitt, R. T. Watson, and C. B. Kavan, "Service Quality: A Measure of Information Systems Effectiveness," MIS Quarterly, Vol.19, No.2, pp.173-188, 1995. https://doi.org/10.2307/249687
  14. P. Seddon and M. Y. Kiew, "A partial test and development of DeLone and McLean's model of IS success," Australasi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4, No.1, pp.90-109, 2007.
  15. 조휘형, "스마트폰이 지각된 품질요인이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정된 DeLone &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델 관점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1, No.2, pp.167-180, 2012.
  16. 정철호, 정덕화,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94-303. https://doi.org/10.5392/JKCA.2009.9.7.294
  17. 범경기, 김원겸, "웹사이트 서비스품질요인,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8권, 제10호, pp.181-188, 2008,
  18. 김동일, 최승일, "백화점의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이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7권, 제7호, pp.134-143, 2007.
  19. J. E. Bailey and S. W. Pearson,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Vol.29, No.5, pp.530-545, 1983. https://doi.org/10.1287/mnsc.29.5.530
  20. A. Rai, S. S. Lang, and R. B. Welker, "Assessing the validity of IS Success Models: An Empirical Test And Theoretical Analysi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No.1, pp.50-69, 2002. https://doi.org/10.1287/isre.13.1.50.96
  21. S. T. Negash, T. Ryran, and M. Igbaria, "Quality and effectiveness in web-based customer support system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pp.757-768, 2003. https://doi.org/10.1016/S0378-7206(02)00101-5
  22. Y. S. Wang,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1, No.1, pp.75-86, 2003. https://doi.org/10.1016/S0378-7206(03)00028-4
  23.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pp.983-1003, 1989.
  24. J. J. Cronin Jr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July, pp.55-68,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