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rtual Reality for Dental Implant Surgical Educa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 문성용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
  • 최봉두 ((주) 휴몬아이티 솔루션) ;
  • 문영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 Received : 2016.10.27
  • Accepted : 2016.11.30
  • Published : 2016.12.25

Abstra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virtual reality model for dental implant surgery and discussed about the method to make the surgical environment for virtual reality with practical patient data. The anatomical model for patient face was fabricated by facial and oral scan data based on CT data. The simulation scenario was composed step by step fashion with Unity3D. From incision and sinus bone graft procedure which is needed to this patient model to implant installation and bone graft was included in this scenario. We used the HMD and leap motion for immersiveness and feeling of real operation. Twenty training doctor was attended this simulation study, and surveyed their satisfactory results by questionnaire. Implant surgery education program was showed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tool for dental students and training doctors. Virtual reality for surgical education with HMD and leap motion had advantages, in terms of cheap prcie, easy access.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환자의 모델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수술환경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치과 임플란트 수술 술기를 배울 수 있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술 모델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자 한다. 환자의 안면 해부학적 모델은 실제 환자의 CT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면부위 골에 대한 삼차원 모델을 먼저 완성한 후 각각의 근육을 표현하고 안면부에 대한 삼차원 스캔 그리고 치아의 3차원 스캔 후 모델링을 통해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표현하였다. Unity3D를 활용해 단계별 시나리오를 게임으로 구성하였다. 처음 절개를 시행하는 단계에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에 필요한 상악동 거상술에 대한 술기를 표현하고, 임플란트 식립과정 그리고 골이식술을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포함하였다. 단계별로 중요한 과정의 효과적인 습득을 위해 HMD(Head Mount Display) 및 Leap motion과 연동하여 3차원 모델에 기구를 위치시키고 수술행위를 재현해볼 수 있게하여 몰입감을 높이면서 실제 수술을 하고있는 느낌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총 20명의 수련의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수술 교육 프로그램은 치과 대학생들과 수련의들의 교육 도구로서 수술 술기를 습득하고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통상적으로 수술 술기 교육 방법이 많지 않은 현실에서 HMD 와 Leap motion이라는 비교적 저렴한 기기를 이용하여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수술 교육은 장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obert M Yekes, John D.Dodson,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The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18:459-482, 1908.
  2. Gallagher AG, Ritter EM, Champion H, et al,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the Operating Room. Ann Surg, 241:364-372, 2005. https://doi.org/10.1097/01.sla.0000151982.85062.80
  3. Aggarwal R, Grantcharov TP, Eriksen JR, et al, An Evidence-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 for Novice Laparoscopic Surgeons. Ann Surg, 244:310-314, 2006. https://doi.org/10.1097/01.sla.0000218094.92650.44
  4. Ye-Na Kim, Su-ji Kim, Ji-Su Lee, Eun-Sun Cho, Stable 3D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treatment system Kinect and Unity3D. 2013년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 Khalifa YM, Bogorad D, Gibson V, et al Virtual Reality in Ophthalmology Training. Survey of Opthalmology, 51:259-273

Cited by

  1. 치과방사선사진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방사선촬영법 숙련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 대한 융복합 연구 vol.16, pp.12,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441
  2. Early Childhood Interactive Edutainment Content Production Platfor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vol.20, pp.12, 2016, https://doi.org/10.9728/dcs.2019.20.12.2397
  3. 심층 학습을 활용한 가상 치아 이미지 생성 연구 -학습 횟수를 중심으로 vol.42, pp.1, 2016, https://doi.org/10.14347/kadt.2020.42.1.1
  4. Virtual reality-based tooth carving education and practice system vol.21, pp.11, 2020, https://doi.org/10.9728/dcs.2020.21.11.1905
  5. 방사선과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vol.43, pp.6, 2016, https://doi.org/10.17946/jrst.2020.43.6.519
  6. 치과임상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자의 숙련도 수준이 과제부하와 사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vol.21, pp.8,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8.258
  7. 부정교합 모델을 적용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인식조사 vol.48, pp.3, 2016, https://doi.org/10.5933/jkapd.2021.48.3.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