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Mandala coloring activity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apacity

만다라 색칠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10.28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research is based on Jungian psychology. The founder psychoanalysist Jung introduced the notion of unconsciousness. This researcher made Mandala figures as an intermedi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then took Mandala figures a research starting point. Until now, Mandala has been used therapy tool for emotional stability. But, this researcher tried Mandala coloring to develope cognitive and emotional abilities for early childhood. This paper is a result of experiment to recognize geometric and spacial conceptions for early childhood.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자 융의 이론에 근거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중개자로 만다라도형을 선택하여 유아의 무의식에 잠재하는 공간개념, 수학개념의 긍정적 의식화에 만다라 색칠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만 4, 5세 혼합 반 총 90명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로 설계되었다. 실험집단 42명에게 주2회씩 총 12주에 걸쳐 만다라 색칠하기 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평소의 교육과정을 따랐다. 본 연구결과 미술치료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만다라 도형이 심리적 안정감은 물론 유아의 수학적 능력 중 도형과 공간개념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계영희.김종민 (2008). GSP를 활용한 한국 전통문양의 테셀레이션 작도, 한국수학사학회지, 21(2), 71-80. Kye, Y. H. & Kim, J. M. (2008). 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tessellations via GSP(Geometer's SkechPad).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1(2), 71-80.
  2. 김상윤 (2010). 아동발달. 서울: 학지사. Kim, S. Y. (2010). Child developmemt, Seoul: Hakjisa.
  3. 김용운.김용국 (1998). 프랙털과 카오스의 세계. 서울: 우성. Kim, Y. W. Kim, Y. G., (1998). Fractals & Choas, Seoul: Woosung
  4. 김향미 (2011). 미술교육에서의 만다라 교재화. 한국과학예술포럼, 제9권, 61-71. Kim, H. M., (2011). Mandala as a teaching material in art education,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9, 61-71
  5. 배명자.권은주 (2005). 만다라(Mandala)를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美術治療硏究, 12(1), 1-25. Bae, M. J., Kwon, E. J, (2005). The study of mandala-bas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Art Theraphy Study, 12(1), 1-25
  6. 송명자 (200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Song, M. J., (2005).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7. 윤은주.이미옥 (2010).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성향이 있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17(6). Yun, E. J., Lee, M. O., (2010). Effects of mandala art therapy on the problem behavior of ADHD-prone infants, Art Theraphy Study, 17(6).
  8. 윤지영 (2001), 단청 문양과 색채에 관한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Youn, J. Y., (2001). A study on the pattern and color of Dan-Chung as a painting for a Buddhist temple, Department of Fine Arts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9. 이근매 (2013).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파주: 양서원. Lee, G. M., (2013). Art therapy. Paju: Yangseowon
  10. 이근무 (2009). 만다라의 수학적 환영-프랙탈 세계, 밀교세계, 5, 96-117. Lee, G. M., (2009). Mandala's mathmatical illusion-fractal world, Esoteric Buddhism World, 5, 96-117.
  11. 이봉화.최선남 (2011).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18(5), 1041-1059. Lee, B. H., Choi, S. N., (2011).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s on the brain quoti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t Theraphy Study, 18(5), 1041-1059.
  12. 이부영 (2014). 분석심리학 이야기, 서울: 집문당. Lee, B. Y., (2014). Stories on analytical psychology, Seoul: Jipmoon
  13. 정여주 (2004). 만다라와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Jeong, Y. J., (2004). Mandala & art therapy, Seoul: Hakjisa.
  14. 정여주 (2007). 만다라 그림과 난화기 원의 치료적 의미에 대한 관계고찰, 美術治療硏究, 14(1), 1-18. Jeong, Y. J., (2007).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 study on the relations of the therapeutic meaning between creating mandala and the circle on the scribbling stage, Art Theraphy Study, 14(1), 1-18.
  15. 정은주.박인전 (2007). 만다라를 적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14(1), 19-37. Jung, E. J., Park, I. J., (2007). The effects of mandala-based art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Art Theraphy Study, 14(1), 19-37.
  16. 조용순 (1991). 우리나라 단청문양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단청문양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Jo, Y. S., (1991). A Study on Korean danchung pattern's formativeness: Choseon danchung pattern,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Art Major, Master Thesis
  17. 차현희 (2012), 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뇌파와 전두엽 관리기능에 미치는 효과: 꼴라쥬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2(1), 73-91. Cha, H. H., (2012). Effect of group art therapy with mandala meditation on the brainwaves of the adult women and the control function of their frontal lobes, Korean Journal of Arts Therapy, 12(1), 73-91.
  18. 황해익.최혜진 (2007),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 파주: 양서원. Hwang, H. I., Choi, H. J., (2007). Pictorial math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Paju: Yangseowon
  19. Arguelles, Jose and Miriam(1972), Mandala, Boulder and London: Shambhala.
  20. Bransford, Brown & Cooking(1999).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1. Devaney, Robert L.(1990). Chaos, Fractal, and Dynamics Computer Experiments in Mathematics. Bostin: Addison-Wesley.
  22. Escher M. C.(1950), Exploring the Infinite, 김유경 옮김(2004), M. C. 에셔, 무한의 공간. 서울: 다빈치.
  23. Hall, Calvin S., & Nordby, Vernon J. (1973). A Primer of Jungian Psychology. 김형섭옮김(2013), 융 심리학 입문, 서울: 문예출판사.
  24. Jung, Carl Gustav, 이은봉 옮김(2010), 심리학과 종교, 서울: 창.
  25. Jolande Jacobi, 권오석 옮김(2012). C. G. 융 심리학 해설. 홍신사상신서 42. 서울: 홍신문화사.
  26. Koch, Christof(2012), CONCIOUSNESS: Confession of a Romantic Reductionist, 이정진 옮김(2014). 의식, 서울: 알마.
  27. Madeleine, O. S. (1993), 261 North American Indian Designs,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28. Mandelbrot, B.(1983).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San Francisco: Freeman.
  29. NAEYC & NCTM(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 Washington D.C.: NAEYC.
  30. Seidman, Irving(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박혜준. 이승연 옮김(2009).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지사.
  31. Winckel, Erna Van De, De l'inconscient a Dieu: Ascese Chretienne et psychologie de C. G. Jung. 김성민 옮김 (2010), 융의 심리학과 기독교 영성,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Cited by

  1.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30, pp.4, 2016, https://doi.org/10.7468/jksmee.2016.30.4.453
  2. 미술치료에서 프랙탈의 활용방안에 관한 소고 vol.20, pp.11,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