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6.03
  • Accepted : 2015.07.13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D University located in the capital area were selected to form 30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of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is 22.3. They are students in the $2^{nd}$ to $4^{th}$ year of university and the demographic background is relatively homogeneou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class (a teacher training course).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were pre-tested at the beginning of the term. Afte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class with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had the class with action learning program.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at the end of the term. For data analysis, ANCOVA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cores on post-test of the two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 scores on the pre-test. The results show that first, for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action learning program. Second, in the class for learners with lower degree of cognition and experience,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action learning program. Third, in terms of management of learning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learning strategies, both action learning program and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were not effective. In summary, for improv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action learning program, which is a learning method focused on learner's participation and practice,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ollective lecture among diverse teaching methods. Yet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intelligence and experience, active use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is required.

본 연구는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D 대학의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22.3세이며, 2-4학년 재학생으로 인구통계학적 배경은 비교적 동질적이다. 교육사회학(교직과목) 수업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는 학기 초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전 검사하였다. 이후에 실험집단은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기가 종료되는 시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 검사 점수를 고려하여 집단 간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경험적 수준이 낮은 학습자 대상의 수업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원 관리와 학습전략 활용 측면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 공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방법 중 전통적 집단강의보다 학습자들의 참여 및 실천학습 방법인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교수방법이지만, 대학생들의 지적, 경험적 측면의 초보적 수준을 고려할 때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헌, 최우재,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9권, 제4호, pp.147-176, 2003.
  2. 김연철, "기업체 직무교육 참여자의 액션러닝프로그램 경험의미 탐색: F.G.I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598-6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598
  3. 김연철, 한상길, "실천학습기법이 재무설계사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동기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지, 제32권, 제1호, pp.39-62.
  4. 김은경,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교과교육학회지, 제16권, 제3호, pp.771-797, 2012.
  5. 김윤민, 김윤희,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액션 러닝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302-322, 2010.
  6. 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부산지역 관광컨벤션산업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11권, 제4호, pp.95-124, 2005.
  7. 박수홍, 이정아, 홍광표, "대학 미술수업에서 팀역량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공학회지, 제24권, 제2호, pp.71-104, 2008.
  8. 봉현철, 봉현철교수의 성공적 학습을 위한 Action Learning Workbook, 다산서고, 2006.
  9. 봉현철, 성공하려면 액션러닝하라, 행성: B웨이브, 2011.
  10. 성낙돈, "대학에서의 역량기반 수업설계 방식의 적절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지, 제10권, pp.117-136, 2007.
  11. 심미정, 오효숙,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28-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28
  12. 심혜숙, 신영애, "성격유형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 한국심리유형학회지, 제13집, pp.25-44, 2006.
  13. 양애경, 감성지능, 학습동기, 학습자 스트레스 및 자기주도적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4. 양애경, 조호제,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학회지, 제8권, 제3호, pp.61-82, 2010.
  15. 이상수, "Blended learning을 위한 수업설계 원리," 한국교육공학회지, 춘계학술대회, pp.83-98, 2006.
  16.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교육개발원, 2003.
  17. 이현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4, 2012.
  18.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블랭크 차트'의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방법 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99-321, 2011.
  19. 장경원, 이지은,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315-339, 2009.
  20. 장경원, 고수일,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3.
  21. 정주영, 블렌디드 액션러닝(Blended Action Learning)지원시스템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2. 직업능력개발원,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3. 천대윤, 현장중심 액션러닝 변화혁신 리더십, 북코리아, 2008.
  24.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05.
  25. 한상길, 평생교육론, 공동체, 2009.
  26. J. Baumert, H. Fend, O'Neil,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27. Braun, Wolfgang, Daimler Chrysler: Global Leadership Development Using Action-Oriented and Distance Learning Approaches, In Boshyk, Yury(Ed), Business Driven Action Learning: Global Best Practice, New York: St. Martin's Press, 2000.
  28. S. D. Brookfield, Self-Directed Learning:From Theory to Practice(New Direction for Continuing Education), pp. 87-90,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1985.
  29. R. S. Caffarella and J. M. O'Donnell, "Self-directed adult learning : A Critical paradigm revisi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7, pp.199-234, 1987. https://doi.org/10.1177/0001848187037004002
  30. P. Candy, Self-Direction for life 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 Jossy-Bass, 1991.
  31.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iversity of Georg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7.
  32. S. Inglis, Making the most of action learning, Aldershot, England: Gower, 1994.
  33. M. Knowles, Self-Direction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 NY:Association Press, 1975.
  34. H. B. Long,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 or Studying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H. B. Long & Associates ed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pp.9-24).
  35. I. McGill and L. Beaty, Action Learning: A Guide for professional, management & educational development. 2nd ed., London:Kogan Page, Ltd. 2001.
  36. S. N. Willamson, Development of a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Nurse Researcher, Vol.14, No.2, pp.66-83, 2007. https://doi.org/10.7748/nr2007.01.14.2.66.c6022

Cited by

  1.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with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vol.24, pp.4, 2018, https://doi.org/10.4094/chnr.2018.24.4.443